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의약품 시장 현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의약품 시장정보> 의약품 시장 현황

글자크기

말레이시아의 스마트 시티

말레이시아의 스마트 시티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출처,원문,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2-25 조회수 5,751
국가정보 아시아>말레이시아
출처 한국무역협회
원문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overseasMrktNews/overseasMrktNewsDetail.do?pageIndex=3&nIndex=1786022&type=0&searchReqType=detail&searchStartDate=&searchEndDate=&categorySearch=ALL&searchKeyw


말레이시아의 스마트 시티

 

 

□ ASEAN 스마트시티 네트워크(ASEAN Smart Cities Network, 이하 ASCN)

 

 

○ 2018년 4월 아세안 의장국인 싱가포르가 제 32차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ASCN에 대한 구축안을 발표하고 11월 ASEAN 스마트시티 프레임워크를 채택하면서 ASCN이 공식적으로 출범됨.

 

 

-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의 모든 기술과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인 동시에 역내 불균형을 완화하고 궁극적으로 국가 전체 경제성장의 동력이 되어 ASEAN 역내 경제통합을 이룰 수 있는 효과적 방법으로 간주 됨.

 

 

- (ASCN 대상 시범도시) 국가별로 3개의 도시를 지정하되 브루나이와 싱가포르는 각각 1개, 라오스 2개, 말레이시아는 4개 도시 (조호바루, 코타키나발루, 쿠알라룸푸르, 쿠칭)를 지정·제출하여 총 26개 시범도시 확정.

 

 

[표1] ASEAN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ASEAN 회원국 (도시수)

시범도시

브루나이(1)

반다르세리베가완

캄보디아(3)

바람방, 프놈펜, 시엠립

인도네시아(3)

반유왕이, 자카르타, 마카사르

라오스(2)

루앙프라방, 비엔티엔

말레이시아(4)

조호바루, 코타키나발루, 쿠알라룸푸르, 쿠칭

미얀마(3)

만달레이, 네피도, 양곤

필리핀(3)

세부, 다바오 시티, 마닐라

싱가포르(1)

싱가포르

태국(3)

방콕, 촌부리,푸켓

베트남(3)

다낭, 하노이, 호치민


(자료원 :
Information Paper on the ASEAN Smart Cities Governance Workshop) 

 

 

 

- (중점 산업 분야) 스마트시티를 새로이 발굴 하는 것 이외에도 기존·노후 도시에 대한 스마트시티 조성·확산 가능하며 각 지역별 도시별 발전 전략과 방향 및 문화적 배경 및 발전 정도에 따라 도시별 프로젝트가 상이함.

 

 

- 스마트시티와 연계된 다양한 산업 또는 분야(교통, 수질관리, 에너지, 헬스 케어, 교육, 공공복지 등)에서 시범도시에 맞는 분야를 선정하여 집중 개발.

 

 

□ 말레이시아의 도시화와 스마트 시티

 

 

○ 현재 말레이시아의 도시화율은 80%에 육박하며 이에 따른 환경문제 및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 2025년 쿠알라룸푸르에만 약 870만명이 거주할 것으로 추정되며 말레이시아의 도시화율은 2050년에 9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됨.

※ 도시화율이란 전체 인구 중에서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함.

 

 

- 교통체증, 환경 공해, 생활폐기물 증가, 비효율적인 도시행정시스템 등의 다양한 도시문제에 직면

 

 

- 도시화에 따른 부작용 해결을 위해 인프라 프로젝트, ICT 기술이 적절히 융합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등을 계획실행 중에 있음.

 

 

□ 말레이시아 스마트 시티 구축현황

 

○ 현재 말레이시아는 스마트시티 분야의 ASEAN 역내 선두주자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음.

 

 

- 주요 대도시에 도시 인프라를 갖춘 말레이시아는 현재 자동화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최적화 등 기존 도시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음.

 

 

- 말레이시아의 ASCN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음.

 

[표2] 말레이시아의 ASCN 시범도시의 인구밀도와 도시별 프로젝트

 

 

시범도시

인구밀도

(Square Kilometer)

도시별 프로젝트

조호르바루

1,450

-도심데이터 측정 및 관리 시스템(Urban Observation)

- 도시 통합 수도 관리 청사진

코타키나발루

6,890

-통합 대중교통 시스템

- 통합 폐기물 관리 시스템

쿠알라룸푸르

1,364

- KL Urban Observatory(도심 데이터 측정 및 관리)

- 지방자치제의 지속가능한 폐기물 관리

쿠칭

1,301

- 통합 대중교통 시스템

- 통합 수해 관리 및 재난 대응 시스템

 

 

 

(자료원 : Information Paper on the ASEAN Smart Cities Governance Workshop)

 

 

○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건축환경, 건강, 에너지, 교육, 수송, 통신(디지털미디어)의 6개 세부분야로 분류됨.

 

 

-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정부와 민간이 합동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의 주력 사업분야는 교통망과 통신망 개선임.

 

 

- 현재 말레이시아 전역에서는 대중교통 인프라 개선, 도심과 교외를 구분하여 각각 100MPS와 20MPS 수준의 브로드밴드 통신망을 정비하는 사업이 진행 중임.

 

 

○ 2018년 2월, 중국의 ICT대기업 알리바바는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스마트시티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적용하고 스마트시티 지원

 

 

- 알리바바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바탕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운영되는 말레이시아 시티브레인(Malaysia City Brain) 이라는 AI기반 플랫폼을 개발하여 말레이시아의 스마트 시티에 적용하면서 도시행정 시스템의 디지털화를 촉진

 

 

- 스마트시티 적용 첫 단계에서 쿠알라룸푸르가 교통 효율성 향상과 도시 내 이동성 개선을 목표로 교통관리에 시티브레인을 사용하였음.

 

 

- 시티브레인은 AI 시스템을 통해 교통량 및 특정 차선 속도 같은 요약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교통국, 관측소, 대중교통시설, 지도앱 등에서 영상 및 이미지, 음성인식과 같은 대량의 데이터를 추출분석한 뒤 머신러닝을 사용해 공무원이 관련 시스템 운영 효율을 개선하고 보안 위험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상황을 제시하는 매커니즘 제공

 

 

- 본 플랫폼을 통해 도시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며 이는 응급출동, 구급차 요청, 교통통제, 교통신호제어를 포함해 여타 도시 관리시스템과 연결되어 응급차량 출동을 위한 가장 빠른 노선 확인, 신속한 사고 발견 및 처리를 가능케 하여 도시 내 교통흐름을 최적화할 수 있음.

 

 

[그림1] 말레이시아 디지털경제협회(MDEC)와 알리바바의 'City Brain' 협력문서 교환

 

  external_image

 

 

(자료원:MDEC)

 

 

○ 말레이시아의 실리콘밸리, 사이버자야(Cyberjaya)

 

 

- ASCN 프로젝트와는 별개로 말레이시아 정부는 IT기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인구 저밀도 자립도시를 세우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사이버자야에 투자함.

 

 

- 말레이시아의 신행정수도인 푸트라자야(Putrajaya)에 인접하고 있는 사이버자야는 단순히 IT 인프라 구축을 넘어 스타트업들의 인큐베이팅 역할과 기업들이 도시환경 구축에 필요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현하는 테스트베드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짐.

 

 

- 말레이시아 재무부가 2014년 설립한 스타트업 육성기관인 글로벌 혁신 창조센터(MaGIC)은 사이버자야에서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고 있음.

  

 

[그림2] 사이버자야에 위치한 MaGIC 사무실 전경

 

   external_image

 

 

(자료원: MaGIC 홈페이지 )

 

 

- MaGIC에 입주한 스타트업들은 정부 지원으로 제공되는 업무공간, 강당, 회의실 등을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마트자야에 입주해 있는 다국적 기업들과 공동 프로젝트 진행, 스마트시티 구축에 참여하는 정부기관들이 제공하는 각종 프로그램 참여, 멘토-멘티 매칭으로 인한 인적자원 교류 및 개발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음

 

 

- 말레이시아 정부가 스마트시티 관련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으면 이를 MaGIC 과 연계해 스타트업들이 정부 현안 해결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함.

 

 

□ ASEAN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한국이 첫 시범사업 주자로

 

 

○ 한국은 ASEAN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말레이시아 정부와 함께 코타키나발루에서 첫 시범사업을 시작할 예정임.

 

 

- ASEAN은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7월 아세안 차원의 연합체인 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ASCN)를 출범함.

 

 

- 10개 회원국에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추진할 26개 도시를 선정하고 아세안 비회원국가들로부터 파트너십과 도시별 참여 제안을 받고 있음.

 

 

- 한국은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가 한국형 스마트시티(K-스마트시티)를 적용하기에 적합한 도시로 보고, 프로젝트 참여를 제안했으며 시범사업에 착수하였음.

 

 

- 이와 관련해 한국 국토교통부와 말레이시아 주택지방정부부는 지난 9월 의향서(LOI) 체결하였으며 말레이시아 의회에서 관련 예산안을 통과시키면 한국 정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계획임.

 

- 코타키나발루 스마트시티 사업은 기존 도시를 스마트시티로 변혁시키는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등이 사업 파트너로 참여

 

 

- 이번 사업으로 스마트 출입국 시스템 등 한국 정보통신기술(ICT)을 적극적으로 수출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임.

 

 

□ 시사점

 

○ ASCN 시범도시중 70%가량이 인구밀도가 낮은 신흥국형 도시이므로 ASEAN은 단순히 도시에 ICT기술을 접목하는 것이 아닌, 도시화에 맞추어 인프라 확장과 IT기술의 접목을 동시에 구축하는 방향으로 스마트시티 개발을 추진할 것으로 보임.

 

 

-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7년 말레이시아의 교통정체 경제비용은 55억링깃(약 1조 4000억원)에 달함.

 

 

-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는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교통망과 통신망 구축을 기초로 한 인프라 개선임.

 

 

- 따라서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기업은 이와 같은 실정을 인지하고 스마트시티 구축 유형과 목표에 맞추어 전략을 짜야 할 것

 

 

○ 말레이시아 인프라 사업의 진출 전략으로는 현지 기업과 긴밀한 협업 및 연계가 필수적일 것임.

 

 

- 외국 기업에 투자 제약이 많은 편이고,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 대기업들이 경쟁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지역 토착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우회 전략이 주효할 것으로 판단됨.

 

 

-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말레이시아 전역에서 추진되고 있으나 아직 성공 사례나 구체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므로 상황을 주시하며 투자기회를 노리는 것이 필요

 

 

 

 

 

 


참고 : TECTOK, 아시아경제, ASEAN 대표부, 한국무역협회 내부자료,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