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정의
‘사용성평가’란 어떤 소프트웨어나 제품을 사용함에 편리함을 측정하는 것으로, 고령친화제품 사용자의 신체 상태와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 평가, 전문가관찰 평가, 전문가수행 평가로 구분하고 고령친화제품의 안전성, 조작성, 만족도, 수행성 등을 평가하는 것을 말함
※ ‘고령친화제품 사용성평가 결과’는 참여자의 주관적인 견해로 안전기준과 상충되는 부분도 있으며, 제품을 사용하는 참여자의 평가의견은 참고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타당함
사용성평가 방법
- 사용자(또는 수발자)평가 : 고령친화제품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 즉, 고령자를 말하며, 일부 품목은 그 특성상 고령자 뿐 아니라 수발자도 제품을 사용한다 할 수 있으므로 수발자의 입장에서 접근해야 하는 경우도 있음
- 전문가(관찰, 수행)평가 : 의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간호사, 의지보조기 기사 등 관련분야 교수 및 전문가를 포함하여, 전문가는 평가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속성을 충분히 이해하여 고령자의 인체특성을 고려할 수 있어야 함
사용성평가 지표 구성
- 고령친화제품 사용성평가 지표는 영역, 항목, 세부항목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영역별 특징
- 안전성 : 고령친화제품 품목별로 사용 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
- 조작성 : 평가 대상 제품의 구성요소들을 조작함에 있어 각 구성요소들이 기능적으로 잘 작동하는지 확인
- 만족도 :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기능적 측면 외에 조작의 간편성, 친숙성, 디자인 소음 등을 평가
- 평가(지표)항목은 고령친화제품의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품의 특성(옵션 기능)을 고려하여 평가 항목을 구성함
고령친화제품 사용성평가 프로세스
- 고령친화제품 사용성평가 개념 정립
- 사용성평가 범위 확정
- 사용성평가 종류별 영역 확정
- 평가대상 선정
- 고령친화제품 소비 실태 및 만족도 등을 고려한 품목 선정
- 참여기업 모집 및 제품 선정
- 평가(지표)개발
- 평가 영역별 항목개발
- 예비평가, 타당도 신뢰도 검증
- 사용성평가 실시 정량적 정성적
대상자 선정 및 교육
- 평가결과 분석 및 최종보고서
평가제품에 대한 개선방안 도출
- 정보제공 및 평가결과 피드백
- 기업체 : 신제품 개발 및 제품개선
- 소비자 : 고령친화제품 선정시 고려
사용성평가 시스템 운영 체계
사용평가 시스템 운영체계
- 보건산업진흥원
-
- 고령친화사용성평가 정보관리
- 품목별 사용성평가 지표 보급
- 고령자 특성 DB 구축 및 정보제공
- 전문가 자문 위원회
-
- 사용성평가 지표의 적정성 검토
- 제품 사용성평가 결과 개선방안
- 사용성평가 지표 신뢰도 및 타당도 검토
- 사용성평가 지표개발
-
- 사용성 평가 시행
- 사용성평가 결과보고서 작성
- 고령자 동적치수 측정 등
결과활용
- 고령친화제품 사용성평가 결과 보급을 통한 기술경쟁력 향상 및 제품개발에 필요한 정보 지원
- 안전성 및 편의성을 고려한 고령친화제품 사용성평가 결과를 소비자 제품선정 시 참고용으로 활용
산업체 지원 측면과 소비자 보호 측면의 사용성평가 정보
산업체 지원 측면 |
- 사용성평가 결과에 따른 기업 인센티브 제공
- 제품 업그레이드 및 신규개발에 피드백
- 해당 제품의 홍보에 사용성평가 결과 활용
- 안전성평가 자료를 기반으로 표준 개선 및 품질관리기준 개선
- 사용성 개선을 위한 신소재 및 설계기술 개발, 안전성 향상을 위한 핵심부품 및 기술 개발 등 R&D 지원
|
소비자 보호 측면 |
- 소비자를 위한 사용성평가 정보 DB 구축, 제품의 안전성 강화에 기여
- 고령친화제품의 기능 홍보 및 교육에 활용
- 국내외 제품 비교 자료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