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출입 현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무역환경> 수출입 현황

글자크기

몽골 수출입현황

몽골 수출입현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5,399
국가정보 아시아>몽골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65
첨부파일

. 개요

 

몽골의 대외무역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4년부터는 체제 전환 이전 수준을 초과했다. 2017년 몽골 수출은 62억 66만 달러, 수입은 43억 3,5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총 교역액은 105억 35백만 달러로 전년대비 27.3% 증가했다.  2018년 5월 기준 교역규모는 50억 6,4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것은 전년동기대비 26.1% ,10억 4,770만 달러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동 기간에는 136개국과 무역을 했으며 그 중 54개국에 수출, 135개국으로부터 물품을 수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도별 교역액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년

2017년 

2018년*

수출

4,780

4,384

4,269

    5,774

4,669

4,917

6,200 

2,885

수입

6,526

6,738

6,357

5,236

3,797

3,358

 4,335 

2,179

무역수지

-1,746

-2,354

-2,088

538

871.8

1,559

 1,865 

706

교역규모

11,307

11,123

10,626

11,010

8,466

8,275

10,535 

5,064

주*: 2018년은 5월까지의 통계

자료원: 몽골 통계청

 

몽골의 대외무역

(단위: 백만 달러)

구분

수출

수입

교역량

무역수지

1990년

660.7

924.0

1,584.7

-263.3

1991년

348.0

360.9

708.9

-12.9

1992년

3884

429.3

817.7

-40.9

1993년

382.6

379.0

761.6

3.6

1994년

367.5

258.4

625.9

109.1

1995년

473.3

415.3

888.6

58.0

1996년

424.3

450.9

875.2

-26.7

1997년

568.5

468.3

1,036.8

100.3

1998년

462.3

503.3

965.6

-40.9

1999년

454.2

512.8

967.0

-58.6

2000년

535.8

614.5

1,150.3

-78.7

2001년

596.2

637.7

1233.9

-41.5

2002년

524.0

690.4

1,214.4

-166.4

2003년

615.4

790.9

1,406.3

-175.5

2004년

869.1

1,019.3

1,888.4

-150.2

2005년

1063.9

1,177.3

2241.2

-113.4

2006년

1,542.0

1,435.0

2,977.0

107.0

2007년

1,947.5

2,061.8

4,009.3

-114.3

2008년

2,534.5

3,244.5

5,779.0

-710.0

2009년

1,885.4

2,137.7

4,023.1

-252.3

2010년

2,908.5

3,200.1

6,108.6

-291.6

2011년

4,817.5

6,598.4

11,415.9

-1,780.9

2012년

4,384.7

6,738.4

11,123.1

-2,353.7

2013년

4,269.1

6,357.8

10,626.9

-2,088.7

2014년

5,774.0

5,236.0

11,010.0

538.0

2015년

4,669.0

3,797.0

8,466.0

872.0

2016년

4917

3358

8275

1559

2017년

6,200

4,335

10,535

1,865

2018년*

2,885

2,179

5,064

706

주: 1) 1990~1994년 통계치는 ‘신아시아시대 한국과 몽골의 전략적 협력 방안,

p.60.(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에서 재인용, 2) 주2: 2018년은 5월까지의 통계

자료원: Mongolian Statistical Yearbook


2018년 5월 기준 전체 수출액은 28억 8,520만 달러이며, 이것은 전년동기대비 3억 6,660만 달러 혹은 14.6% 증가했다. 광물자원 관련 생산품이 24억 3,058만 달러(17.3%), 방직용 섬유와 방직용 섬유의 제품의 수출이 1억 6,629만 달러(9.9%)를 기록한 것이 전체 수출액이 증가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쳤다. 

동정광, 석탄, 구리정광, 아연정광, 형석, 몰리브덴 정광 등은 전체 광물성 생산품 수출의 98.6% 또는 전체 수출의 8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2018년 5월 기준 금 3,431.9kg를 수출하여 전년동기대비 수출량이 106kg 감소하였다. 금 수출가는 2017년에는 40,066.6달러였으나 2018년 5월에는 42,104.9달러로 2,038.3달러 증가했다.

전체 수출에서 광물성 생산품 84.2%, 금 5%, 방직용 섬유와 방직용 섬유의 제품 5.8%를 차지하고 있다.

   

      몽골 수출 세부 통계

      (단위: 천 달러, %)

      품목 분류

      2017년

      2018년*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합계

      4,916,335.4

      26.1

      2,885,170.8

      14.6

      산 동물 및 동물성 생산품

      67,416.8

      130.5

      25,513.7

      3.6

      식물성 생산품

      67,654.8

      22.8

      10,443.5

      -77.5

      동물성 식물성 지방과 기름 및 이들의 분해생산품

      388.2

      -44.6

      167.5

      242.9

      식료품

      23,007.9

      93.0

      21,178.2

      162.2

      광물성 생산품

      4,933,672.1

      41.6

      2,430,581.8

      17.3

      화학공업이나 연관공업의 생산품

      1,470.9

      -9.8

      814.6

      496.1

      플라스틱과 그 제품

      2,983.5

      -60.8

      1,043.9

      39.8

      원피 가죽 모피와 이들의 제품

      23,920.7

      -20.8

      10,602.8

      -26.5

      목재와 그 제품

      633.5

      47.7

      292.9

      -18.7

      목재나 그 밖의 섬유질 셀룰로오스재료의 펄프, 회수한 종이ž판지

      77.7

      39.8

      15.2

      -48.6

      방직용 섬유와 방직용 섬유의 제품

      335,466.0

      11.7

      166,291.2

      9.9

      신발류ž모자류ž산류ž지팡이ž시트스틱ž채찍과 이들의부분품

      2,492.4

      22.5

      436.6

      16.9

      돌 플라스틱시멘트석면운모나 이와 유사한 재료의 제품

      100.6

      -51.1

      21.6

      98.1

      천연진주ž양식진주ž귀석ž반귀석ž귀금속ž귀금속을 입힌 금속과 이들의 제품

      596,939.2

      -21.6

      144,875.4

      2.0

      비금속과 그 제품

      101,000.6

      17.2

      41,250.1

      -0.1

      기계류ž전기기기와이들의 부분품,녹음기ž음성재생기ž텔레비전의 영상과 음향의 기록기

      22,770.1

      -68.1

      10,525.5

      12.6

      차량항공기선박과 수송기기 관련품

      17,030.8

      -75.7

      19,672.4

      202.2

      광학기ž사진용기기ž영화용기기ž측정기기 검사기기ž정밀기기ž의료용기기, 시계, 악기, 이들의 부분품

      1,238.0

      11.8

      513.1

      10.5

      잡품

      98.8

      206.7

      10.7

      250.1

      기타

      2,228.7

      -16.5

      920.1

      -1.1

      자료원: 몽골 통계청 2018년 5월 보고서  

    주: 2018년은 5월 기준


    2018년 5월 기준 전체 수입액은 21억 7,880만 달러이며, 이것은 전년동기대비 6억 8,110만 달러, 45.5% 증가했다. 전체 수입을 품목별로 보면 원피·가죽·모피 제품과 목재 수입이 각각 22% 감소하고, 나머지 19개 품목은 모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물성 생산품 수입 중 석유제품 수입은 82.3%를 차지할 정도로, 몽골은 석유제품 수요가 많다.

    차량의 경우 2018년 5월 기준 승용차 20,638대, 화물차 7,415대를 수입했으며, 이것은 전년동기대비 승용차는 877대 감소하고 화물차는 3,522대로 증가한 수치이다. 화물차 수입의 최대국은 한국이다. 

     
      몽골 수입 세부 통계

    (단위: 천 달러)

    품목 분류

    2017년

    2018년*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합계

    4,336,271.3

    29.2

    2,178,782.5

    45.5

    산 동물 및 동물성 생산품

    57,154.6

    39.8

    28,243.8

    34.1

    식물성 생산품

    78,128.5

    -28.4

    75,579.9

    151.1

    동물성 식물성 지방과 기름 및 이들의 분해생산품

    30,340.0

    8.3

    11,695.4

    5.6

    식료품

    378,674.7

    15.0

    162,080.1

    19.9

    광물성 생산품

    987,821.0

    36.4

    468,779.6

    35.1

    화학공업이나 연관공업의 생산품

    315,038.7

    15.8

    135,447.4

    20.3

    플라스틱과 그 제품

    182,467.0

    33.2

    81,619.6

    33.1

    원피 가죽 모피와 이들의 제품

    7,842.7

    47.5

    2,828.7

    -22.5

    목재와 그 제품

    40,303.6

    32.6

    10,025.7

    -22.7

    목재나 그 밖의 섬유질 셀룰로오스재료의 펄프, 회수한 종이ž판지

    50,848.5

    11.4

    22,220.8

    13.2

    방직용 섬유와 방직용 섬유의 제품

    72,329.8

    14.2

    33,128.2

    29.9

    신발류모자류산류지팡이시트스틱채찍과 이들의부분품1081.4

    16,998.5

    26.1

    7,287.8

    32.2

    돌 플라스틱ž시멘트ž석면ž운모나 이와 유사한 재료의 제품

    80,302.7

    -3.1

    36,240.2

    41.9

    천연진주ž양식진주ž귀석ž반귀석ž귀금속ž귀금속을 입힌 금속과 이들의 제품

    1,927.9

    23.6

    891.6

    34.6

    비금속과 그 제품

    333,818.4

    58.3

    206,013.3

    99.8

    기계류ž전기기기와이들의 부분품,녹음기ž음성재생기ž텔레비전의 영상과 음향의 기록기

    920,844.5

    35.3

    479,294.3

    48.2

    차량항공기선박과 수송기기 관련품

    622,675.0

    43.0

    345,695.6

    68.0

    광학기ž사진용기기ž영화용기기ž측정기기 검사기기ž정밀기기ž의료용기기, 시계, 악기, 이들의 부분품

    62,739.1

    3.3

    27,013.4

    22.6

    잡품

    34.4

    -80.7

    21.0

    21.6

    기타

    95,981.8

    11.8

    43,999.5

    40.4

    자료원: 몽골 통계청 2018년 5월 보고서 
    주: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1. 경제발전과 자원개발을 위한 기계 및 원자재 그리고 승용차, 트럭 등 운송수단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업이 극히 취약한 산업구조를 반영해 제조업 상품이 주를 이룬다. 긴 겨울과 시설농업 부족으로 채소류 수입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국가별 주요 수출품으로는 중국은 석탄과 구리, 러시아는 형석, 캐나다와 스위스,영국은 금, 이탈리아와 영국은 염소 캐시미어 등이다.


주요 교역국별 교역 품목

 

구분

수출

수입

대(對)중국

석탄, 구리, 원유, 캐시미어 등

석유제품, 철강, 음료, 쌀 등

대(對)러시아

육류, 형석, 양털 등

석유제품, 밀가루, 전력, 쌀 등

대(對)미국

형석, 텅스텐 등

닭고기, 중장비 등

대(對)일본

캐시미어, 의류 등

승용차, 불도저 등

대(對)한국

광물, 의류, 가죽 등

자동차, 중장비, 석유제품 등

 

. 국가별 수출입 현황

 

  1. 국가별 주요 수입품은 중국으로부터는 트럭, 디젤유, 식료품, 러시아로부터는 석유, 디젤연료, 설탕, 일본과 독일로부터는 승용차, 미국으로부터는 트럭, 한국으로부터는 트럭과 승용차를 포함한 운송수단을 수입하고 있다.
  2.  
  3. 몽골은 2017년에는 전 세계 69개국으로 수출했으며 국가별로 보면 중국 84.9%, 영국 10.6%, 독일 0.2%, 러시아 1.1% 각각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총 수출의 96.8%를 차지하고 있다. 수입의 경우 세계 152개국으로부터 수입을 했으며 러시아 28%, 중국 32.6%, 미국 4.8%, 일본 8.4%, 한국 4.6%를 각각 차지하며 이는 총 수입의 78.4%를 구성하고 있다.

2017년 국가 수출입 현황



자료원: 몽골 관세청

  1.  

  2. 2018년 5월 기준 54개국으로 수출했으며 국가별로 보면 중국 90.8%, 영국 5.4%, 러시아 1.1% 각각 차지하며 총 수출의 97.3%이다. 수입의 경우 세계 136개국으로부터 수입을 했으며 러시아 27.9%, 중국 31.2%, 미국 5.1%, 일본 9.2%, 한국 4.8%, 독일 3.1% 각각 차지하며 총 수입의 81.3%를 구성하고 있다.

  3.  

    1. 1990 체제 전환 이후부터 몽골의 대외무역은 대상국과 품목이 점차 다양해지면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 메이저 국가들인 중국, 러시아, 미국, 캐나다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고, 광물자원과 섬유 목축업 관련 제품 수출과 광물제품, 자동차, 기계 장비류 등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

    2. 이러한 몽골 대외무역의 구조적 특징은 지난 20년간 지속돼 왔으며, 그동안 외부 충격에 대비할 있는 구조조정을 아직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몽골의 대외무역 구조는 광물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서 국제 원자재 가격과 세계 경기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어, 광업, 목축업과 섬유 이외의 분야에 대한 개발 비교우위에 입각한 제조업 육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3. 수출의 경우, 갈수록 광물자원의 비중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것은 광업이 몽골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불가피하지만  몽골경제의 지속 성장과 내실화를 위해 산업과의 조화를 이룰 있도록 산업정책을 펼쳐나가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