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출입 현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무역환경> 수출입 현황

글자크기

체코 수출입현황

체코 수출입현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1,578
국가정보 유럽>체코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113
첨부파일

. 주재국 무역수지

 

체코 수출입 실적 추이

(단위백만 달러, %)

무역수지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2010

133,020

17.2

126,600

20.0

6,420

2011

162,897

22.5

152,122

20.2

10,775

2012

157,167

-3.5

141,515

-7

15,652

2013

162,302

3.3

144,320

2.0

17,983

2014

175,017

7.5

154,233

6.1

20,784

2015

157,880

-9.8

141,366

-8.3

17,294

2016

162,716

3.1

143,041

1.2

19,675

2017

180,686

11.0

162,514

13.6

18,172

2018. 1~5

85,094

19.8

76,037

20.9

9,057

자료원: 체코 통계청(2018년 7월 기준)

 

  1. 체코의 수출입은 2000년도 이후 자리 수의 가파른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는데, 특히 2004 5 1 EU 가입 이후에는 수출의 급격한 증가로 2005년도부터는 무역수지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경제의 수출의존도가 급속히 확대돼 GDP 대비 수출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며, 주 수출시장인 서유럽 시장경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2017년 기준 GDP 대비 수출비중은 84.8%, 수입비중은 76.2%를 차지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최대 수출국은 독일, 슬로바키아, 폴란드 주변국이며, 주요 수입국은 독일을 비롯한 유럽 7개국이 10위권에 포함돼 있으며, 중국(2), 한국(10), 러시아(7위) 등이다. 중국, 러시아, 한국 외에는 대외교역의 유럽지역 의존도가 매우 높다.

 

  1. 체코 교역의 가장 특징은 유럽 지역에 과도하게 편중된 경향을 보이는데, EU 국가에 대한 수출입이 전체 수출입에서 90.2% 72.1%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반면, 아시아 국가들과의 수출입은 각각 5.4% 23% 수준에 지나지 않고 있어, 교역지역의 다변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체코 정부는 금융 위기 이후 수출시장 다변화를 지원하기 위해 수출보험의 부보지역 부보율을 확대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수출금융도 확대하고 있다.
  2.  
  3. 2017년 3분기 이후 수출입이 10% 이상의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체코 코루나 강세(환율하락)로 인한 환율의 영향이 크다. 2017년 4월 중앙은행은 기존 27코루나/유로 수준으로 환율을 유지했던 외환시장 개입을 중단해 이 후 체코 코루나가 강세(환율하락)를 보이면서 환율의 영향으로 2017년 3분기 부터 달러기준 수출입 금액이 증가했다.

최근 체코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6

Q1

2016

Q2

2016

Q3

2016

Q4

2017

Q1

2017

Q2

2017

Q3

2017

Q4 

2018

Q1

수출

40,820

(5.2)

42,535

(9.4)

38,838

(-0.2)

40,521

(-1.8)

42,515

(4.1)

44,260

(4.1)

44,436

(14.4)

49,476

(22.1)

51,545

(21.2)

수입

35,082

(1.9)

36,721

(6.3)

34,670

(-1.1)

36,568

(-2.0)

37,312

(6.4)

39,443

(7.4)

40,603

(17.1)

45,156

(23.5)

45,788

(22.7)

무역수지

5,739

5,814

4,168

3,953

5,202

4,817

3,833

4,319

5,757

주: 괄호 안은 증감률

자료원: 체코 통계청(2018년 7월 기준)

 

. 주재국 국가별 수출입

 

체코의 국가별 수출동향

(단위백만 달러, %)

국가

2015

2016

2017

2018년 1월~5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점유율

1

독일

50,759

-9.4

52,683

3.8

59,291

12.5

27,777

18.8

32.6

2

슬로바키아

14,149

-3.4

13,563

-4.1

13,985 

3.1

6,237

16.6

7.3

3

폴란드

9,266

-11.4

9.383

1.3

11,013

17.4

5,224

21.0

6.4

4

프랑스

8,081

-8.8

8,419

4.2

9,225

9.6

4,369

20.8

5.1

5

영국

8,383

-5.6

8,527

1.7

8,869

4.0

4,302

19.8

5.1

6

오스트리아

6,428

-15.1

6,897

7.3

7,696

15.5

3,762

21.2

4.4

7

이탈리아

5,964

-7.2

6,951

16.5

7,376

6.1

3,461

16.5

4.1

8

네덜란드

4,358

-8.7

4,652

6.7

5,304

14.0

2,658

33.7

3.1

9

스페인

4,148

-0.4

4,577

10.3

5,205

13.7

2,599

19.6

3.1

10

헝가리

4,683

-3.9

4,669

-0.3

5,254

12.5

2,520

23.6

3.0

38

한국

507

-16.0

441

-13.2

456

3.5

197

6.1

0.2

총 수출

157,880

-9.8

162,716

3.1

180,686 

11.0

85,094

19.8

100

자료원: 체코 통계청(2018년 7 기준)


체코의 국가별 수입동향

(단위백만 달러, %) 


국가

2015

2016

2017

2018년 1월~5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점유율

1

독일

36,647

-9.0

37,840

3.3

41,887

10.7

19,551

19.4

25.7

2

중국

19,019

9.1

17,665

-7.1

20,481

15.9

9,508

27.3

12.5

3

폴란드

11,204

-6.2

11,825

5.5

12,553

6.2

5,807

18.4

7.6

4

슬로바키아

7,251

-11.1

7,272

0.3

7,863

8.1

3,758

22.1

4.9

5

이탈리아

5,726

-9.6

6,166

7.7

6,849

11.1

3,234

25.0

4.3

6

프랑스

4,295

-13.0

4,529

5.4

5,108

12.8

2,472

26.0

3.3

7

오스트리아

4,207

-12.4

4,150

-1.4

4,732

14.0

2,247

22.8

3.0

8

네덜란드

4,196

-19.1

4,069

-3.0

4,409

8.4

2,138

21.5

2.8

9

러시아

4,210

-32.8

3,428

-18.6

4,917

43.4

2,069

4.6

2.7

10

미국

3,319

-11.3

3,300

-0.6

3,993

21.0

2,007

22.8

2.6

13

한국

3,365

8.1

3,508

4.2

4,259

21.4

1,848

13.2

2.4

총 수입

141,366

-8.3

143,041

1.2

162,514

13.6

76.037

20.9

100

자료원: 체코 통계청(2018년 7월 기준)

 

. 주요 수출입 품목

 

체코의 품목별 수출현황 

(단위: 백만 달러, %)

품목

HS

Code

2016

2017

2018. 1~5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자동차

8703

18,707

10.1

21,613

15.5

10,211

11.5

2

자동차부품

8708

13,497

7.9

14,526

7.6

6,847

13.3

3

자동자료 처리장치

8471

7,790

-4.2

9,889

26.9

5,193

56.8

4

통신기기 및 부속부품

8517

4,760

-4.5

5,964

25.3

2,799

37.0

5

의자

9401

2,997

19.3

3,412

13.8

1,594

15.9

6

전기회로의

개폐·보호·접속용 기기

8536

2,382

4.8

2,771

16.4

1,437

31.8

7

전선 및 케이블

8544

2,613

0.4

2,972

13.7

1,430

21.1

8

자전거·자동차용전기식조명

8512

2,121

12.8

2,307

8.8

1,128

20.5

9

액체펌프 및 액체엘리베이터

8413

2,063

17.6

2,217

7.5

1,100

17.8

10

모니터, 프로젝터

8528 

1,924

5.6

2,273

18.1

1,003

22.3

총 수출

162,716

3.1

180,686

11.0

85,094

19.8

자료원: 체코 통계청(2018년 7월 기준)


체코의 품목별 수입현황

(단위백만 달러, %)



품목

HS

Code

2016

2017

2018. 1~5.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자동차 부품

8708

9,111

13.7

10,130

11.2

4,846

16.9

2

자동자료 처리장치

8471

5,409

-12.8

6,520

20.6

3,168

47.2

3

통신기기 및 부속부품

8517

4,669

-17.7

6,411

37.3

3,015

35.7

4

자동차

8703

3,850

17.7

4,490

16.6

1,843

1.4

5

의약품

3004

3,301

4.5

3,598

9.0

1,743

25.4

6

전자집적회로류

8542

2,332

8.5

3,191

36.9

1,538

38.0

7

석유 및 역청유(원유)

2709

1,686

-43.2

3,178

88.4

1,400

7.0

8

전선 및 케이블

8544

2,128

-0.3

2,495

17.2

1,230

23.1

9

자동자료처리장치 및

사무용기계의 부분품

8473

1,859

70.7

2,226

19.7

1,134

39.7

10

의자

9401

1,872

22.7

2,244

19.8

1,073

17.8

총 수입

143,041

1.2

162,514

13.6

76,037

20.9

자료원: 체코 통계청(2018년 7월 기준)

 

. 최신 동향 정보


2015년 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싸고 EU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를 발표함으로써, 체코의 주요 수출시장인 러시아와의 교역이 급속히 감소해 타격을 받았다. 체코의 믈라덱 산업통상부 장관은 EU 러시아의 경제제재로 연간 25 코루나( 1,224억 원) 기업 손실 8000여 개의 일자리 상실에 대한 우려 입장을 밝힌 있다실제로 2015 체코의 러시아 수출입 교역액 전년대비 36.8%, 2016년에는 1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코의 총 수출 자체는 코루나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러시아에 대한 수출 의존도는 과거에 비해 상쇄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2015년 달러 기준의 체코 대외 수출입은 각각 전년 동기대비 9.8%, 8.3% 감소하였으나 이는 코루나 대비 달러 강세로 인한 현상이며 코루나 기준시 수출입은 각각 7.0%, 8.7% 증가했다.


2016년 수출은 전년대비 3.1%, 수입은 1.2% 증가했으며 무역수지는 약 197억 달러로 전년대비 약 32억 달러 증가했다.  국가별 수출을 살펴보면, 여전히 독일이 32.4%의 점유율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슬로바키아, 폴란드, 영국 등 유럽국가로의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중국과의 투자 및 교역 증대를 위한 여러 가지 협력이 진행되고 있지만,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대비 7.1% 감소해 아직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수출품목에서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이 여전히 상위 품목으로 자리매김하며 전년대비 7%~10% 증가한 반면, 자동자료 처리장치 및 통신기기 및 부속부품의 수출은 감소했다.

 

2017년 수출입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11.0%, 13.6% 증가했다. 2017년 4월 중앙은행의 외환시장 개입 중단 이후의 지속적인 체코 코루나 평가 절상의 영향으로 달러 기준 수출입 금액은 체코 코루나 기준 수출입 금액보다 증가율이 크게 나타났다. 더불어 지속적인 임금 상승 및 2%를 초과한 인플레이션율 달성으로 내수시장이 활발해져 수출 대비 수입의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2018년 5월까지의 수출입도 경제호황 및 환율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대비 각각 19.8%, 20.9%의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입동향을 살펴보면 2016년도와 마찬가지로 2017년, 2018년에도 유럽 지역 의존도가 높아 수출, 수입 상위 10개국에 대부분은 유럽 국가가 차지했다. 자동자료 처리장치는 기저효과로 2017년 전년대비 26.9%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러시아와의 관계 회복 등으로 석유 및 역청유 수입은 마이너스에서 2017년 플러스로 전환되어 88.4% 수입 증가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