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출입 현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무역환경> 수출입 현황

글자크기

스리랑카 수출입현황

스리랑카 수출입현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2,823
국가정보 아시아>스리랑카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61
첨부파일

. 스리랑카 무역수지 현황

 

2011년에는 국제유가 인상 및 소비수요 증가로 인해 원유 생산이 전무하고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스리랑카는 원유 수입규모가 20억 달려 증가했으며, 경제 활황으로 차량구매 수요가 10억 달러나 증가하였다. 이에 2011 77억 달러 규모의 무역적자가 발생하였고, 적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는 2012년 초부터 유가와 자동차세를 급격히 인상하여 불요불급한 제품의 수입억제 정책을 실시했다. 하지만 2012년 무역적자는 94억을 기록했고, 2013년도에는 의류 중심 수출증가와 원유 및 생필품 수입감소로 적자가 감소폭을 보이는 듯 하였으나 2014년 다시 전년대비 8.9% 증가한 83억 달러를 기록했다. 상반기에는 수출 증가 및 수입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20.3% 무역적자 감소를 보였으나, 하반기에 수입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2014년 3분기부터 확장되기 시작한 무역수지 적자는 2015년 중순 들어 그 확장세를 완화시켰고 미미한 증가를 기록했다. 무역적자는 2014년 82억8700만 달러에서 2015년 84억3000만 달러로 1.7% 증가하였다. 수출량의 큰 감소에 비하여 적은 양의 수입 감소는 2015년 무역적자 확장의 원인작용이 되었다. 하지만 무역수지 적자를 GDP 기준으로 고려했을 때 2014년엔 10.4%, 2015년엔 10.2% 감소하여 2015년에 더 작은 감소폭을 보였다.


2016년 1월부터 4월 사이에 축적된 무역적자는 결국 2016년 총 무역수지가 적자가 되는 원인이 되었다. 2016년 한 해 수출이익의 감소는 중간재와 투자재 수입 증가로 인한 총 수입액 증가와 더불어 2015년 83억 달러였던 무역적자를 90억 달러까지 증가시켰다.

 

무역적자는 2016년 8,873백만 달러에서 2017년에는 9,619백만 달러로 증가했다. GDP 대비 무역적자는 2016년 10.9%에서 2017년 11.0%로 증가했다.
무역적자는 2018년의 첫 5개월 동안 약 4억 91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이는 2017년 대비 17.82% 증가한 것이다. 네덜란드와의 무역수지는 긍정적인 성장을 보였다.


무역수지 추이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년

2018(~5)

수 출

106

98

104

111

105

103 

113

45

수 입

203

192

180

194

189

194

209

95

무역수지

-97

-94

-76

-83

-84

-90

-96

-50

자료원: 중앙은행 Annual Report 2018, Sri Lanka Customs
주: 본 정보 작성시 2018년 5월까지의 자료만 제공돼 위 표의 2018년 자료는 5월까지의 자료임을 참고  


. 스리랑카의 국가별 수출입 동향

 

  • 수출

 

2016

스리랑카의 수출 성과는 국제시장의 원자재가 하락과, 스리랑카의 수출국의 미미한 경제성장에서 비롯되었다. 2016년 후반의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출수익은 0.14% 하락한 102억 달러에 그친 것은 1월부터 7월까지 지속된 농수산물 및 산업 수출의 하락 때문이다.

 

2017

수출액은 2016 103억 달러에서 2017년에는 10.2% 증가한 113억 달러를 기록했다. 산업 수출액 주로 2017년의 수출 이익 증가와 농업 수출 증가에 기인했다.

 

2018

전체 수출은 주로 산업 수출이 9.6% 성장하여 6.7% 성장했다. 산업 부문에서 가장 중요한 성장은 식품 음료, 동물 사료, 직물 제조에서 나타났다. 농업 수출은 2% 감소했지만 해산물 수출은 2018년에 12% 증가했다. 광물 수출은 2018년에 8.6 % 성장했다.


국가별 수출동향

(단위: 백만 달러) 

순위

수입대상국

2014

2015

2016

2017

2018 (~5)

주요품목

1

미국

2,720

2,802

2,806

2,912

1,189

의류, 고무 

2

영국

1,116

1,031

1,044

1,035

424

의류, 고무

3

인도

625

645

551

689

291

차(tea), 연료

4

독일

497

475

505

538

246

의류, 고무

5

이탈리아

614

434

428

529

216

의류, 고무

6

중국

174

296

199

414

97

선박류, 차(tea)

7

벨기에

318

282

338

346

142

의류, 고무

8

UAE

276

274

275

274

124

차(tea), 연료

9

싱가포르

140

78

108

244

37

선박류, 서적 및 신문인쇄물

10

터키

260

181

154

232

87

차(tea), 의류

32

한국

73

64

69

62

 

의류, 고무

자료원: World Trade Atlas
주: 본 정보 작성 시 2018년 5월까지의 자료가 제공돼 위 표의 2018년 자료는 5월까지의 자료임을 참고


수입 

2017


수입액은 2017년에 9.4% 증가한 20,980백만 달러로 수입 증가에 역사적으로 가장 높은 가치를 기록했다. 한편 비 연료 수입액은 5.1% 증가한 17,552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2017년 총 수입액의 약 55%를 차지하는 중간재 수입은 11,436백만 달러에 달했다.


2018

전체 수입은 2017년 대비 11.8 % 증가했다. 주요 성장 품목은 110% 이상 성장한 차량수출에 기인한 비 식품 소비품목이다. 중간재는 주로 연료, 섬유 및 금 수입으로 17.9% 성장했다. 소비자 부문은 15.6%의 성장을 기록했지만 식음료 부문은 1.4% 감소했다. 


주요 국가별 수입동향

(단위: 백만 달러) 

순위

수입대상국

2014

2015

2016

2017

2018 (~5)

주요품목

1

인도

3,978

4,284

3,759

4,496

1,796

연료, 차량

2

중국

3,451

3,725

4,235

4,190

1,648

전자제품, 기계류

3

UAE

1,757

1,076

1,057

1,564

787

연료, 귀석류

4

싱가포르

1,271

922

1,007

1,293

629

연료, 귀석류

5

일본

941

1,392

928

1,038

729

차량, 기계류

6

USA

493

471

503

815

205

비행기 부품, 기계류

7

말레이시아

716

511

676

641

343

동식물성유지, 연료

8

태국

462

498

491

518

217

어패류, 토석류 및 소금

9

대만

443

460

495

482

189

의류, 플라스틱

10

홍콩

351

380

541

439

148

의류, 기계류

14

한국

414

308

339

336

117

기계류, 전자제품

자료원: World Trade Atlas

주: 본 정보 작성 시 2018년 5월까지의 자료가 제공돼 위 표의 2018년 자료는 5월까지의 자료임을 참고


. 스리랑카의 품목별 수출입 동향

 

  • 품목별 수출


2016 1분기까지 총 수출은 48억 정도를 기록했으며, 품목별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수출액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스리랑카 주요 수출품인 편직물, , 고무, 보석은 순위 변동이 없지만 그 외 품목들은 순위가 조금씩 바뀌었다. 2015년 낮은 수요와 국제 가격 하락 때문에 스리랑카 대부분의 수출량이 감소하였다. 특히 농산물 분야의 경우 전년 대비 2015 11.2% 가량 하락했는데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수출 2위 품목인 차(tea)와 해산물 수출의 감소로 뽑을 수 있다. 2015년 차의 수출량은 지난 5년간의 기록 중에 가장 하위를 차지했으며 지정학적인 발달, 수입국의 통화가치 하락, 원유 수익의 감소는 스리랑카에서 차를 수입하는 대표적인 러시아와 중동 국가들의 소비를 지체시켰다. 해산물의 경우 2015 1월 중순 EU의 스리랑카 해산물 수입금지법 때문에 EU국가들로의 수출이 작게는 반절, 크게는 5분의 1로 줄어들면서 전년 대비 2015년 해산물 총 수출량은 35.5%나 하락하였다. 또한 담배, 채소 및 농산물의 수출이익은 국제 시장 내 물가하락, 낮은 수요 등의 이유로 2015년까지 매해 24%, 23.1%, 2.9% 감소했다.


 

 주요 품목의 수출동향

(단위: 백만 달러)

순위

품목

2014

2015

2016

2017

2018(~5)

주요 국가

1

의류(편물제)

2,625

2,564

2,702

2,727

1,052

미국 , 영국

2

의류(편물제 이외)

2,057

1,990

1,895

2,012

879

미국, 영국

3

커피·차·향신료

1,852

1,669

1,524

1,876

696

터키, 러시아

4

고무류

935

787

800

874

365

미국 , 독일

5

선박

86

182

65

278

 

중국, 싱가포르

6

귀석, 반귀석, 귀금속

386

241

215

266

108

홍콩, 이스라엘

7

어패류

265

181

182

255

121

미국, 일본

8

전기기기

238

212

219

245

123

스위스, 인도

9

광물성 연료, 에너지

291

186

163

291

122

인도, UAE

10

과실·견과류

261

211

193

177

59

인도, 미국

자료원: World Trade Atlas(HS CODE 2단위)

주: 본 정보 작성 시 2018년 5월까지의 자료가 제공돼 위 표의 2018년 자료는 5월까지의 자료임을 참고


주요 수출품목은 헝겊, 차 및 고무제품이었으며 이 수출품의 대부분은 미국 및 유럽연합 국가로 수출되었다. GSP Plus Concession은 이러한 성장에 긍정적인 기여를 했다.

주요 수출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농수산물의 경우 2015년 포함 매해 동일하게 차의 수출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기타 향신료와 코코넛제품 (Fiber와 사료용으로 수출) 등이 주요 수출 품목이다. 하지만 2015년 스리랑카 총 수출의 13%를 차지하던 차의 비중이 5년 만에 가장 큰 하락세를 보이고 해산물 수출량의 감소로 농수산물 품목은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공산품으로는 의류수출이 전체 공산품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기타 담배, 고무제품, 다이아몬드 가공제품 등이 주요 수출품목이다. 광물 중에는 대량의 수출품목이 없으며 석영맥, 티탄소재 등 일부 광물을 수출하고 있다. 이러한 동향은 2017년에도 큰 변동없이 지속될 전망이나 2016년 EU국의 해산물 금지법이 해제되어 해산물의 수출량이 다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분야별 수출동향

(단위: 백만 달러)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5)

1. 농산물

2,528

2,331

2,581

2,794

2,482

2,326

2,767

1,052

-       

1,491

1,412

1,542

1,628

1,341

1,269

1,529

599.3

-        코코넛제품

266

209

205

356

352

366

347

125.1

-        향신료

235

256

355

265

377

317

406.2

122

-        기타

536

454

479

545

412

374

484.8

205.6

2. 공산품

7,992

7,371

7,749

8,262

7,976

7,940

8,541

3,632.9

-        식음료 담배

503

348

284

235

289

328

392.7

193.6

-        섬유직물 의류

3,504

4,191

3,991

4,508

4,930

4,884

5,031.9

2,065.5

-        고무제품

568

885

859

888

888

768

835.4

349.1

-        석유제품

216

553

463

428

338

287

434.3

219.3

-        기타

1,383

2,015

1,774

1.690

1,817

1,678

1,847.4

805.4

3. 광산물

93

33

61

52

60

29

34.5

21.6

4. 기타

199

7

10

12

15

14.5

16.9

-

합계

8,626

10,558

9,773

10,394

11,130

10,505

11,360.4

4707.5

자료원: 스리랑카 중앙은행

 주: 본 정보 작성 시 2018년 5월까지의 자료가 제공돼 위 표의 2018년 자료는 5월까지의 자료임을 참고


  • 품목별 수입


2015년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석유 수입 가격과 수요의 하락 그리고 국제 원유가격 감소로, 광물성연료 및 에너지의 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차량류의 경우, 2015 9월 스리랑카 정부가 차량구매시 최대 담보인정비율(Loan-to-Value Ratio) 70%로 정했고, 같은 해 12 1일부터 시행되었기 때문에 2016년 까지의 차량 수입은 전년 대비 34.6%나 감소하였다. 곡물류의 경우 2013년까지는 캐나다와 파키스탄이 주요 수입국이었으나 총 곡물수입의 반을 차지했던 캐나다를 2017년 인도가 추월하여 2017 3분기 약 1 5천만 달러의 곡물을 스리랑카에 수출하고 있다.

 

2017

수입액은 2017 9.4% 증가한 20,980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비 연료 수입액은 5.1% 증가한 17,552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2018

수입은 1월부터 5월 사이에 110.6 % 증가한 스리랑카의 자동차 수입 증가로 인해 2018 1월부터 5월까지 15.6 % 증가했다. 중간재 수입은 주로 연료 수입, 보석 수입 및 금 수입으로 17.9% 증가했다.

 

주요 품목의 수입동향

(단위: 백만 달러)

순위

품목

2014

2015

2016

2017

2018 (~5)

주요 국가

1

광물성연료,

에너지

4,399

2,660

2,329

3,218

1,676

UAE, 싱가포르

2

기계류

1,388

1,556

1,748

1,677

724

중국, 인도

3

일반차량

1,496

2,294

1,500

1,498

956

일본, 인도

4

전자기기류

926

1,065

1,374

1,381

547

중국, 인도

5

편물

721

692

797

844

336

중국, 대만

6

철강

569

591

596

802

171

중국, 인도

7

플라스틱

701

730

709

721

346

중국, 인도

8

귀석,반귀석,

귀금속

175

161

514

772

486

싱가포르 UAE

9

면·면사면직물

582

568

680

654

288

중국, 인도

10

곡물

682

489

260

658

274

인도, 캐나다

자료원: World Trade Atlas(HS CODE 2단위)

주: 본 정보 작성 시 2018년 5월까지의 자료가 제공돼 위 표의 2018년 자료는 5월까지의 자료임을 참고


분야별 수입동향

(단위: 백만 달러)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5)

1. 소비재

3,654

2,995

3,183

3,853

4,714

4,319

4,502

2,194.8

식재료

1,567

1,304

1,368

1,634

1,628

1,627

1,841.1

781.2

-      곡류

18

24

18

282

135

13

114

107.8

-      당류

428

347

291

257

254

253

258

130.3

-      유제(Dairy)

345

307

291

339

251

249

315.8

137.9

-      기타

776

1,013

768

756

987

1,112

1973.1

1,037.6

기타 소비재

2,087

1,690

1,814

2,219

3,086

2692

2661.5

1,413.6

2. 중간재

12,275

11,569

10,554

11,398

9,638

9870

11,435.8

5,372.5

- 연료

4,795

5,037

4,308

4,597

2,700

2481

3,427

1,750.9

- 비료

407

311

239

272

290

136.7

102.8

100.6

- 화학품

702

670

734

808

870

856

834.5

374

- 섬유의류

2,320

2,266

2,046

2,328

2,296

2,705

2,724.2

1,129.5

- 기타

4,051

3,285

3,227

3,393

3,482

2,461

4,346.5

2,017.5

3. 투자재

4,286

4,590

4,253

4,152

4,567

5,198

4,894.7

1,988.9

- 기기장비

2,141

2,356

2,222

2,131

2,278

2,741

2,620.6

1,068.3

- 운송장비

1,064

992

668

707

931

880

674.9

275

- 건축자재

1,076

1,237

1,357

1,309

1,352

1,569

1,591.4

642

- 기타 투자재

4

5

6

5

6

8

7.8

3.0

4. 기타

54

29

14

14

16

13

146.8

65.3

합계

20,269

19,183

18,003

19,417

18,934

19,400

15,264

9,621.6

자료원: 스리랑카 중앙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