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가개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국가개황> 국가개황

글자크기

벨라루스 국가개황

벨라루스 국가개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09-06 조회수 1,985
국가정보 러시아/CIS>벨라루스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170

자료원: CIA


Ⅰ. 국가 일반


1. 국가 개요


. 일반사항

 

국가명

벨라루스(Republic of Belarus)

유럽 동부와 CIS의 서부지역에 위치한 내륙국가로 라트비아 141km, 리투아니아 502km, 

폴란드 407km, 러시아 959km, 우크라이나 891km에 있는 내륙국(북위 53, 동경 28)

20만 7,600(한반도보다 약간 작), 국경 2,900km

민스크(Minsk, 198.2만 명)

행정구역

6개주 및 민스크시 등 7개 행정구역으로 구성

민스크주(142.7만 명), 그로드노주(104.4만 명),  브레스트주(138.5만 명), 고멜주(141.6만 명),

모길료프주(105.9만 명), 비텝스크주(118.0만 명), 민스크시(198.2만 명)

주요 도시

전체 인구의 78.1%가 도시에 거주하며 21.9%가 주요 도시에 거주.

고멜(Gomel), 모길료프(Mogilev), 비텝스크(Vitebsk), 그로드노(Grodno), 브레스트(Brest)

최고해발이 350미터 수준으로 전체 국토가 완만한 평지를 이루며, , 천연 늪지와 호수가 많음

온대 대륙성 기후로 11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우기로 일조량이 적으며, 기압이 낮음

[1월 평균기온 5(겨울최저 -23), 7월 평균기온 16.5]

서울과의 

6시간 차이(원래는 7시간 차이여야 하나, 현재 벨라루스는 연중 섬머타임 실시중임)

949.2만 명 (2018년 6월)     

인구증감률 -0.14% (2017년 대비 2018년 증감률)

평균연령 39.7세 (2017)

출산율 1,000명 당 10.8명 (2017)

인구밀도 45.7/km2 (2018)

평균 수명

벨라루스인 전체 평균 수명 : 74.4세   (남성 : 69.3세   여성 : 79.2세)   (2017년 기준)

민족구성

벨라루스인(81.2%), 러시아인(11.4%), 폴란드인(3.9%), 우크라이나인(2.4%),

기타 소수민족(3.2%)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으나 러시아어가 일상 언어로 널리 쓰임

문맹률

0.4% (2009년 인구조사)

러시아정교(80%), 가톨릭(15%), 개신교(2%), 기타(3%)

건국(독립)

1991년 7월 27일(소련연방에서 독립선언)

정부 형태

대통령 중심제(공화제), 의회 민주주의, 양원제

국가 원수

알렉산드르 루카쉔코(Alexander Lukashenko)(1994 7월부터 집권 중)

입법부

양원제 (상원 64, 하원 110)

자료원: 벨라루스 통계청, IMF, CIA

 

. 경제지표

 

GDP

1,051억 벨라루스 루블(544 달러)  (2017년)

실질경제성장률

2.4% (2017년)

1인당 GDP

5,836달러 (2017년)

실업률

1.0% (2017년)

물가상승률

6.0% (2017년)

화폐 단위

Belarusian Ruble (BYN)

평균 환

US$1=1.9324 BYN (2017년)   US$1=1.9887 BYN (2018년 상반기)

※ 환율 증감률: 20136%, 201452%, 2015 56.7%, 2016년 25.4%

397.4억 달러 (2018년 4월 1일 기준)

외환 보유고

38.3억 달러 (2018년 7월 1일 기준)

산업 구조

주요 자원: 토탄, 석회석, 이회토, 철광석, 석탄, 소량의 천연가스와 원유

주요 농산물: 곡류, 감자, 아마, 사탕무, 유제품

주요 산업: 정유산업, 가전산업, 반도체 산업, 자동차산업, 방직산업

교역 규모

수출: 292 1,200만 달러 (2017)

주요 수출국: 러시아(44.1%), 우크라이나(11.9%), 영(8.6%), 네델란드(3.9%), 독일(3.9%)

수입: 342 3,500만 달러 (2017)

주요 수입국: 러시아(57.2%), 중국(8.1%), 독일(5.1%), 폴란드(4.0%), 우크라이나(3.6%)

주요 교역품

수출: 기계 및 장비, 광물 제품, 화학품, 금속, 섬유, 식품

수입: 광물제품, 기계 및 장비, 화학품, 식품, 금속

자료원벨라루스 통계위원회, 벨라루스 중앙은행, GTS

   

. -벨라루스 관계

 

체결 협정

및 약정

투자보장협정, 외교부 간 협력약정(1997년)

  1. 이중과세방지협정(2002년)
  2. 무역협정, 경제, 과학 및 기술 협력에 관한 협정벨라루스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한국 산업자원부 간의 협력 협정(2004년)
  3. 감사원 간 교류협력약정(2005년)
  4. 소방방재처 간 협력약정, 상공회의소간 협력 약정(2006년)
  5. 문화협정, 항공협정, 기술표준분야 협력약정, 관세분야 협력약정과학연구단지 간 협력약정(2007년)
  6. 외교관 및 관용여권 소지자 사증면제 협정, 벨라루스 민스크와 대한민국 서울 사이에 우호관계 조약, 벨라루스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와의 협력 약정(2008년)
  7. 민스크와 서울 수도 간의 협력 프로그램(2009년)
  8. 교육과학기술협력센터 설립에 관한 협정, 체육-스포츠분야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2011년)
  9. 증권거래기관간 협력약정(2012년)
  10. 서울소방재난본부와 민스크시 비상사태 본부 간 우호협력 양해각서(2013년)
  11. 포천시-모길료프 시 장기 호혜적 협력도모에 관한 양해각서(2014년)
  12. 제2회 한-벨 정책기획협의회 개최(2015년)
  13. 협의 중인 협정 및 약정: 형사사법공조협정, 범죄인 인도협정, 원자력 협정세관상호지원
  14. 협정기술표준원 간 업무협력 약정

교역 규모

우리나라의 대벨라루스 수출: 1,353만 7,000달러(2018년 1-6월), 2,864만 4,879 달러(2017년), 2,846만 9,499달러(2016)4,702만 6,000달러(2015), 4,095만 5,000달러(2014)

우리나라의 대벨라루스 수입: 1,738만 7,000달러(2018년 1-6월), 4,461만 2,722달러(2017년), 3,716만 2,633달러(2016)4,694만 달러(2015), 4,489만 4,000달러(2014)

교역품

수출: 원동기/펌프, 합성수지, 농약및의약품, 자동차부품, 고무제품 등

수입: 반도체, 광학기기, 기타직물, 칼륨비료, 계측제어분석기 등

투자 교류

대벨라루스 투자: 1('14 6 SK 하이닉스가 현지 기업 Softeq의 펌웨어 사업부 인수)

대한 투자: 현재까지 없음

교민

벨라루스 거주 동포 현황(고려인 포함): 1만 4,000(민스크에 약 660) 추정

교민현황: 100(유학생이 50~60명으로 많은 비중 차지)

국가 전화코드

375

국가 약호

BY

시차

한국과의 차는 1년 내내 6시간

자료원: KITA, 관세청, 한국수출입은행, 외교부


. 사회적 특성

 

벨라루스, 즉 하얀 러시아(White Russia)라는 뜻의 국명에서 드러나듯이 주민들은 흰색을 좋아해 흰옷을 입고 가옥의 벽도 희게 칠한다. 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도 흰 피부와 회색 눈동자를 가지고 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의무교육이며 무료이다. 공공의료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다.

 

언어

 

벨라루스에 처음 도착하는 사람들은 벨라루스의 공용어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을 갖게 된다. 벨라루스가 독립국이며 벨라루스어가 따로 있고 우크라이나나 카자흐스탄 등 다른 CIS 국가들이 러시아어보다 자국 고유어를 장려하는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니 벨라루스도 러시아어보다 자국어를 적극 장려할 법도 한데, 러시아어가 너무나 자연스럽게 통용되고 있으니 그런 질문을 할 만 하다. 


벨라루스에서는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가 모두 국어(national language)이다. 벨라루스어는 당연히 벨라루스의 국어이고, 러시아어도 1995년 국민투표를 통해 국어로 채택됐다. 그런데, 일상생활에서는 러시아어가 벨라루스어보다 더 많이 쓰이고, 그러면서도 길거리의 주요 도로표지판이나 관공서 건물에는 벨라루스어 표지판이 자주 눈에 띈다.


구소련권 내 러시아어 공용 실태

 

러시아어는 구소련 지역 내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으나각국에서 러시아어의 지위는 서로 다르다.


  ㅇ 국어(national language): 러시아벨라루스

  ㅇ 공용어(official language): 카자흐스탄키르기즈스탄

  ㅇ 통용어(language for interethnic communication): 타지키스탄

 

여타 구소련 국가들은 자국어만을 국어로 지정하고 공용어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즉 러시아어가 일상적으로 특히 구소련 시대를 거친 장년층을 중심으로 통용되고 있을 뿐이다그런 점에서 벨라루스는 러시아 이외에 러시아어가 공식적인 국어로 지정돼 있는 유일한 국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