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출입 현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무역환경> 수출입 현황

글자크기

아랍에미리트 수출입현황

아랍에미리트 수출입현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2,150
국가정보 중동>아랍에미리트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181
첨부파일

1. 수출입동향

 

. UAE 교역동향

 

WTO 회원국인 UAE 국가 내 제조기반이 미미해 재화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대내 경제상황과 대외 교역규모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UAE 교역 규모는 2009 경제위기 시절 교역량이 급감하였으며, 2013년에서 2015년간 유가의 영향으로 또 한 차례의 하락세 이후 최근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UAE 통계청에서 최신 통계자료를 발표하지 않는 관계로 UAE 교역 최신 동향을 파악하려면 외부 조사기관의 자료를 이용해야 한다.

     

UAE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단위: 백만 달러)

연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수출

379,489

380,340

333,362

298,651

169,650

수입

294,967

298,611

287,025

270,882

204,343

수지

84,522

81,728

46,338

27,769

-34,693

자료원: Trade Map


. UAE 국가별 수출입 현황

 


2018년 6월 기준, 입수 가능한 최신 통계는 UAE 연방통계청(Federal Competitiveness and Statistics Authority)이 발표한 2017년 3분기 누적 교역 통계와 Trade Map의 2017년 통계이다2017 3분기까지 UAE는 인도, 중국, 미국 등과 활발한 교역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UAE 수입, 비석유 수출(재수출 포함)을 합산한 총 교역가치는 8,006 디르함으로 집계되었다. 이중 인도 전체의 10.2%816 디르함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8년 2월 인도와 UAE간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으로 양국간 무역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UAE 주요 교역국(2017년 3분기 누계 , 비석유 부문)

(단위: 백만 디르함, %)

순위

국가명

총 시장 가치

교역 비중

1

인도

81,637

10.2

2

중국

69,006

8.6

3

미국

60,931

7.6

4

터키

36,932

4.6

5

이란

31,477

3.9

6

독일

27,665

3.5

7

이라크

26,465

3.3

8

사우디아라비아

26,301

3.3

9

일본

25,727

3.2

10

영국

22,518

2.8

총계

800,636

100.0

: 2018년 6기준 최신 정보


자료원: Federal Competitiveness and Statistics Authority


 


비석유, 재수출을 모두 포함하여 UAE의 주요 수출국으로는 인도, 이란이라크 등으로 인도는 전체의 11.2%, 이란은 9.7%, 이라크는 8.1%를 차지하며 주요 수출국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란의 경우, 재수출 물품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2018년 5월 미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 핵합의 탈퇴와 경제 제재 재개로 인해 이란과의 금전적 거래가 어려울 전망이다.



UAE 주요 수출국(2017년 3분기 누계)

(단위: 백만 디르함, %)

순위

국가명

총 시장 가치

교역 비중

1

인도

33,548

11.2

2

이란

29,226

9.7

3

이라크

24,488

8.1

4

터키

14,591

4.9

5

사우디아라비아

14,469

4.8

6

 오만

14,251

4.8

7

미국

13,799

4.6

8

홍콩

10,425

3.5

9

벨기에

10,411

3.5

10

중국

10,230

3.4

총계

300,768

100.0

: 2018년 6기준 최신 정보


자료원: Federal Competitiveness and Statistics Authority


 


2017년 3분기까지 UAE 총 수입액은 약 4,999 디르함에 이른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 미국, 인도, 독일 등이 있으며 이 중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체의 11.9%를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기계설비 교역으로 인해 미국도 상위권에 위치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의 2.4% 122억 디르함을 차지하며 10를 기록하였다.

 

UAE 주요 수입국(2017년 3분기 누계)

(단위: 백만 디르함, %)

순위

국가명

총 시장 가치

교역 비중

1

중국

59,271

11.9

2

미국

50,506

10.1

3

인도

48,089

9.6

4

독일

24,736

5.0

5

일본

23,723

4.8

6

터키

   22,342

4.8

7

이탈리아

14,195

2.8

8

영국

13,748

2.8

9

프랑스

12,214

2.4

10

한국

12,208

2.4

총계

499,868

100

: 2018년 6기준 최신 정보


자료원: Federal Competitiveness and Statistics Authority


 

. UAE 품목별 수출입

 

UAE 주요 수출 품목(2017년 3분기 누계)

(단위: 백만 디르함)


순위

HS Code

품목명

시장가치

1

7108

5,333

2

7102

다이아

36,301

3

7113

귀금속

32,349

4

8517

전화기

19,705

5

8703

자동차

18,596

6

7601

알루미늄

12,860

7

8803

항공부품

7,507

8

3901

폴리에틸렌

7,131

9

8407

점화 및 회전 피스톤 엔진

5,014

10

8411

터보제트 및 가스터빈

4,392

: 2018년 6기준 최신 정보


자료원: Federal Competitiveness and Statistics Authority


  

UAE 주요 수입 품목(2017년 3분기 누계)

(단위: 백만 디르함)


순위

HS Code

품목명

시장가치

1

7108

95,089

2

7102

다이아몬드

34,874

3

8703

자동차

28,106

4

8517

전화기

24,992

5

8411

터보제트 및 가스터빈

14,797

6

7113

귀금속

14,280

7

8802

기타 항공기

12,146

8

8803

  항공부품

9,308

9

2710

석유와 역청유

7,621

10

8471

컴퓨터

6,275

주: 2018년 6월 기준 최신 정보

자료원: Federal Competitiveness and Statistics Authority


. 최신 동향

 

UAE는 전통적으로 동서양과 아프리카를 가로지르는 전략적인 입지와 달러에 대한 고정환율 제도 등의 이점으로 교역의 허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오고 있다. 특히 그간 경제제재가 있던 이란이나 대외 신용도가 낮은 아프리카 등지의 업체들이 UAE 내에 회사를 설립하고 상품 대금을 지불한 뒤, 최종 배송은 제3국으로 요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2018년 5월 미국의 이란핵합의 탈퇴 선언과 함께 UAE 내의 9개 이란 회사 및 개인에게 은행 거래 중단을 선언하고 UAE가 이에 동의하면서 UAE 재수출 1위 국가인 이란과의 거래가 어려워질 전망이다.

 

유가 하락으로 경제의 소비 수준이 제한되면서 UAE 전체 상품 수입은 2016년까지 2년 연속 0.8%씩 감소하였다. 2016년에는 '기계 및 전자 부품'이 가장 큰 수입 품목이었으며 이는 UAE와 같이 제조업 기반이 미미한 국가의 자본재 수입 의존을 잘 나타내고 있다.




최근 시리아, 이라크 등 인근 지역의 정세 불안으로 인해 UAE를 통한 재수출 물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UAE를 비롯한 아랍 국가들의 對카타르 국교단절(2017.6.5~) 장기화와 이에 따른 교역국들의 우려는 UAE의 수출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하지만 2017년 유가 회복세와 더불어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인프라 프로젝트는 UAE 산업 다각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교역량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