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출입 현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무역환경> 수출입 현황

글자크기

태국 수출입현황

태국 수출입현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7,614
국가정보 아시아>태국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62
첨부파일

. 태국의 수출입 현황


태국은 주로 자동차, 전기전자 산업의 부품소재를 수입해 완성품을 수출하는 가공무역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무역의존도가 100을 상회해 수출입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국가이다.


태국 수출은 2009년 세계 금융위기에 따른 감소를 제외하고는 2012년까지 증가세를 보였으나, 2013년 이후는 글로벌 경기침체와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감소 또는 둔화세를 보여왔는데 2016년부터는 미세하게나마 증가세로 반전 되었다. 2015년 태국의 수출은 2,108 4,300만 달러로 전년대비 6.3% 감소했으나 2016년의 경우 전년대비 1.3% 증가한 2,136 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17년 태국의 수출은 글로벌 경기 회복세에 따른  국제 교역 증가의 영향을 받아 전년 대비 10.4%로 크게 증가한 2,359 3,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태국의 수입은 수출과 마찬가지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4년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으나 2017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2015년 태국의 수입은 전년대비 11.5% 감소한 2,019 3,700만 달러를 기록한 데 이어 2016년에는 전년대비 3.1% 감소한 1,957 8,300만 달러에 머물렀다. 그러나 2017년 태국의 수입은 뚜렷한 증가세로 전환되어 전년대비 14.7% 증가한 2,245 7,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18년 1분기에는 교역 회복세가 더욱 두드러져 수출의 경우 전년 동기대비 11.9% 증가한 631 4,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수입은  전년 동기대비 17.5% 증가한 620 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태국 연도별 교역 현황

  1. (단위: 백만 달러, %)

  2.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7

    1분기

    2018

    1분기

    수출

    금액

    225,013

    210,843

    213,660

    235,931

    56,433

    63,140

    증감률

    0.0

    -6.3

    1.3

    10.4

    4.8

    11.9

    수입

    금액

    228,070

    201,937

    195,783

    224,576

    52,836

    62,060

    증감률

    -8.7

    -11.5

    -3.1

    14.7

    14.1

    17.5

    무역수지

    -3,057

    8,906

    17,877

    11,355

    3,597

    1,080

    교역액

    453,083

    412,780

    409,443

    460,506

    109,269

    125,200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3. 나. 태국의 국가별 수출 현황

  4. 태국의 주요 수출대상국은 중국, 미국, 일본, 홍콩, 베트남 호주, 말레이시아 등이다. 미국은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중국을 제치고 태국의 최대 수출대상국으로 부상했으나, 2017년부터 중국이 다시 태국의 최대 수출국의 자리를 차지했다. 2016년 기준 한국은 태국의 17위 수출국가로 수출액 40 1,400만 달러를 기록한 데 이어 2017년 수출 금액이 전년 동기대비 15.8%로 대폭 상승하였다. 태국은 2015년 말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 이후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등 국경무역의 확대를 꾀한 이래 2016년에는 수출 실적이 저조했으나, 2017년 라오스를 제외한 베트남(24.3%), 캄보디아(14.6%), 인도네시아(9.7%), 필리핀(26.3 %) 아세안 역내 국가로의 수출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5. 태국의 국가별 수출 현황

  6.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국가명

2015

2016

2017

증감률

2018

1분기


합계

210,843

213,660

235,931

10.4

63,140

1

중국

23,311

23,582

29,405

24.7

7,244

2

미국

23,680

24,335

26,518

9.0

6,675

3

일본

19,741

20,424

22,069

8.1

6,525

4

홍콩

11,642

11,395

12,274

7.7

3,196

5

베트남

8,758

9,340

11,605

24.3

2,934

6

호주

9,612

10,238

10,491

2.5

2,824

7

말레이시아

10,020

9,543

10,318

8.1

2,809

8

인도네시아

7,706

8,029

8,806

9.7

2,482

9

싱가포르

8,587

8,040

8,171

1.6

2,222

10

인도

5,210

5,119

6,467

9.2

1,991

11

필리핀

5,900

6,353

6,935

26.3

1,899

12

캄보디아

4,882

4,609

5,279

14.6

1,675

13

네덜란드

4,203

4,201

4,758

10.0

1,475

14

독일

4,219

4,461

4,910

13.3

1,318

15

한국

4,036

4,014

4,648

15.8

1,235

16

미얀마

4,108

4,147

4,298

3.7

1,172

17

라오스

4,168

3,967

3,944

-15.4

1,116

18

영국

3,762

3,825

4,073

6.5

1,062

19

대만

3,473

3,335

3,985

19.5

1,005

20

스위스

2,366

4,840

4,093

-0.6

869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다. 태국의 국가별 수입 현황


태국의 주요 수입대상국은 중국, 일본, 미국, 말레이시아 등이다.  중국은 2014년부터 태국의 1 수입대상국의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대부분의 나라와의 수입이 감소세를 기록했을 때에도 매년 증가세를 나타냈다. 반면, 일본은 2013년까지 태국의 최대 수입 대상 국가였으나, 2014년부터 2위로 하락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016년부터 증가세로 전환하여 2016년의 경우 전년 대비 4.3% 증가한 73 1,799만 달러가 수입되었으며, 2017년에는 수입증가율이 더욱 확대되어(10.5%) 80 8,400만 달러가 수입되었다. 2018년 1분기 태국의 대 한국 수입은 22 6,600만 달러로 6위를 차지했다.

KOTRA 방콕 무역관이 우리나라의 태국 수입시장에서 수출경합도 지수(ESI; Export Similarity Index)를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가 태국 시장에서 가장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나라는 일본(52.97)이고, 대만(48.38), 중국(43.90), 미국(39.68), 말레이시아(37.66), 독일(36.4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경합도 지수(ESI; Export Similarity Index)는 양국의 수출구조가 유사할수록 경쟁이 높다는 가정 하에 특정시장에서 양국 간의 경쟁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ESI의 값이 100에 가까울수록 두 나라의 수출은 경쟁적인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1. 태국의 국가별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국가명

2015

2016

2017

증감률

2018

1분기


합계

201,937

195,783

224,576

14.7

62,060

1

중국

40,912

42,262

44,734

5.9

11,962

2

일본

31,133

30,864

32,390

4.9

8,696

3

미국

13,819

12,128

15,023

23.9

3,941

4

말레이시아

11,875

10,956

11,781

7.5

3,365

5

UAE

8,135

6,199

7,677

23.9

2,350

6

한국

7,015

7,317

8,084

10.5

2,266

7

인도네시아

6,537

6,414

7,410

15.5

2,189

8

대만

7,503

7,173

8,230

14.7

2,124

9

싱가포르

7,143

6,550

7,996

22.1

1,847

10

독일

5,525

5,902

6,140

4.0

1,727

11

스위스

4,639

4,147

7,275

75.5

1,710

12

사우디아라비아

4,916

4,888

6,175

26.3

1,659

13

프랑스

2,699

2,822

3,520

24.8

1,536

14

베트남

4,034

4,451

5,020

12.8

1,501

15

호주

4,199

3,452

4,477

29.7

1,261

16

인도

2,619

2,586

3,943

52.5

1,153

17

홍콩

1,568

1,606

2,943

83.3

1,142

18

태국

2,576

2,913

3,315

13.8

916

19

필리핀

2,349

2,729

3,268

19.7

874

20

카타르

2,992

2,452

2,543

3.7

857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라. 태국의 품목별 수출 현황 


태국은 아세안의 자동차 및 전기전자 산업 생산 허브이며, 주요 수출품목은 컴퓨터(HDD), 자동차 및 관련 부품, 전자집적회로, 화물차, 정제유, 에어컨 등이다. 


2016년 태국의 주요 수출 품목 중 수출 증가폭이 컸던 품목은 자동차(23.8%), (94.4%), 통신기기(10.2%) 등이며, 수출 감소폭이 컸던 품목은 화물차(-20.8%), 천연고무(-11.3%), 정제유(-29.5%) 등이다. 2017년의 경우 수출 호조에 따라 20대 주요 수출 품목 중 자동차(-6.5%), 에어컨(-0.6%), (-21.3%), 사무용 기기(-9.0%)를 제외한 모든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2018년 1분기의 경우 2017년 글로벌 반도체 가격 상승 및 컴퓨터 산업 호황에 따른 수출 증가세가 이어졌으며, 2017년 주춤했던 자동차 수출도 회복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1. 태국의 품목별 수출금액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HS Code

    품목명

    2015

    2016

    2017

    증감률

    2018
    1
    분기

     

     

    합계

    210,843

    213,660

    235,931

    10.4

    63,141

    1

    8471

    컴퓨터 및 부품

    11,414

    10,467

    11,779

    12.5

    3,295

    2

    8703

    자동차

    9,399

    11,633

    10,879

    -6.5

    2,912

    3

    8708

    자동차부품

    6,714

    6,926

    7,720

    11.5

    2,109

    4

    8542

    전자집적회로( IC)

    7,609

    7,669

    8,256

    7.7

    2,081

    5

    8704

    화물차

    8,160

    6,466

    7,307

    13.0

    1,969

    6

    2710

    정제유

    6,810

    4,802

    6,083

    26.7

    1,789

    7

    8415

    에어컨

    4,526

    4,844

    4,813

    -0.6

    1,650

    8

    1006

    4,544

    4,372

    5,162

    18.1

    1,398

    9

    4001

    천연고무

    4,977

    4,415

    6,028

    36.5

    1,185

    10

    4011

    타이어

    3,403

    3,559

    4,392

    23.4

    1,182

    11

    7108

    3,738

    7,266

    5,715

    -21.3

    1,169

    12

    8517

    통신기기

    2,237

    2,465

    4,220

    71.2

    1,111

    13

    7113

    보석류

    3,641

    3,547

    3,666

    3.4

    1,067

    14

    3901

    에틸렌폴리머

    3,403

    3,016

    3,291

    9.1

    954

    15

    8443

    프린터

    2,977

    2,954

    2,997

    1.5

    799

    16

    8407

    엔진

    1,148

    1,112

    1,473

    32.5

    712

    17

    1604

    생선

    2,621

    2,551

    2.664

    4.4

    688

    18

    8473

    사무용 기기부품

    3,325

    3,159

    2,875

    -9.0

    658

    19

    1602

    육류

    2,187

    2,260

    2,503

    10.7

    639

    20

    3907

    기타 폴리에스테르

    1,901

    1,851

    2,068

    11.7

    609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마. 태국의 품목별 수입 현황


    1. 태국의 주요 수입 품목은 원유, 전자집적회로, , 통신기기, 자동차 부품 등이며, 원유의 경우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비중이 가장 큰 품목이며, 자동차 및 전기전자 산업의 완성품 생산을 위한 부품소재를 수입하고 있다.
    2.  
    3. 2016년 태국의 주요 수입품목 중 증가폭이 컸던 품목은 자동차부품(11.2%), 정제유(19.9%), 기타 전기기기(24.2%) 등이며 수입 감소폭이 컸던 품목은 원유(-21.6%), 금(-17.8%), 항공기부품(-21.1%), 천연가스(-39.7%) 등이다.

    4. 2017년 경우 지난 3년간 감소세를 이어왔던 원유 수입이 전년 대비 28.0%로 크게 늘어났으며, 정부 차원의 보석세공산업 지원 정책에 힘입어 금과 다이아몬드 수입 역시 전년대비 각각 88.5%, 135.5% 증가했다. 2018년 1분기 최대 수입 품목은 원유 및 역청유 였으며, 전자집적회로, , 통신기기 및 자동차 부품이 2~5위를 차지했다.


    5. 태국의 품목별 수입 현황 
    6.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HS Code

    품목명

    2015

    2016

    2017

    증감률

    2018

    1분기


    합계

    201,937

    195,783

    224,576

    14.7

    62,060

    1

    2709

    원유 및 역청유

    19,452

    15,245

    19,515

    28.0

    6,301

    2

    8542

    전자집적회로

    9,356

    9,481

    11,267

    18.8

    2,882

    3

    7108

    7,204

    5,921

    11,162

    88.5

    3,027

    4

    8517

    통신기기

    6,109

    6,413

    7,690

    19.9

    1,813

    5

    8708

    자동차부품

    5,301

    5,897

    6,290

    6.7

    1,648

    6

    2710

    정제유

    2,984

    3,578

    4,355

    21.7

    1,182

    7

    2711

    천연가스

    5,370

    3,237

    3,864

    19.4

    985

    8

    7326

    철강제 기타제품

    3,471

    3,422

    3,755

    9.7

    932

    9

    8471

    컴퓨터

    3,425

    3,128

    3,731

    19.3

    1,064

    10

    8802

    항공기부품

    3,088

    2,435

    3,572

    46.7

    1,663

    11

    7403

    정제동

    1,649

    1,743

    2,384

    36.7

    683

    12

    8523

    음향저장장치

    1,929

    1,965

    2,320

    18.1

    670

    13

    0303

    냉동어류

    1,517

    1,789

    2,098

    17.3

    560

    14

    8473

    사무용 기기용품

    2,691

    2,186

    2,060

    -5.8

    574

    15

    8536

    전기회로 접속용 기기

    1,856

    1,912

    2,021

    5.7

    541

    16

    8543

    기타 전기기기

    1,603

    1,991

    1,967

    -1.2

    506

    17

    7102

    다이아몬드

    842

    791

    1,864

    135.5

    591

    18

    8409

    엔진부품

    1,631

    1,708

    1,802

    5.5

    494

    19

    8414

    펌프

    1,661

    1,859

    1,747

    -6.0

    499

    20

    8541

    반도체

    1,414

    1,559

    1,741

    11.6

    475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2016년 기준 태국의 용도별 수입은 소비재 수입이 전년 대비 5.8% 증가했으며, 가정용 전자제품을 중심으로 직물 및 화장품 수입 등이 모두 증가했다. 반면, 원자재 및 중간재 수입은 원유 및 천연가스, 컴퓨터부품 및 액세서리 수입 감소로 인해 전년대비 7.6% 감소한 1,025억 40만 달러를 수입하는데 그쳤다.


    2017년 태국의 용도별 수입은 수출호조로 인하여 전반적인 증가세를 나타냈다. 원유 및 전기전자부품 등 원자재와 중간재 수입이 전년 대비 53.5%로 크게 증가했으며, 자본재 수입 25.2%, 기타수입 11.0%, 소비재 수입 10.2%, 내구성 소비재 수입이 3.6%의 비중을 차지했다.

    태국의 주요 용도별 수입액 증감률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5

    2016

    2017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비중

    소비재

    20,029

    1.5

    20,228

    5.8

    22,783

    7.3

    10.2

      의약품

    2,383

    5.6

    2,429

    1.9

    2,604

    7.2

    1.2

      화장품

    1,858

    6.8

    2,002

    7.7

    2,129

    6.3

    1.0

    내구성소비재

    7,307

    4.8

    7,683

    5.1

    7,915

    3.0

    3.6

      가정용 전자

    918

    5.6

    1,009

    10

    952

    -5.6

    0.4

      직물

    1,933

    2.2

    2,096

    8.4

    2,239

    6.8

    1.0

    가구 및 부품

    830

    9.1

    862

    4.3

    912

    5.4

    0.4

    원자재 및 중간재

    110,885

    -17.6

    102,032

    -7.6

    119,243

    16.9

    53.5

      원유

    19,521

    -41.2

    14,704

    -22.3

    19,858

    35.0

    8.9

      천연가스

    4,672

    0.9

    2,902

    -37.9

    3,412

    17.6

    1.5

      화학

    11,468

    -12.5

    10,922

    -4.5

    12,860

    17.7

    5.8

      플라스틱

    7,292

    -4

    7,398

    1.5

    7,942

    7.4

    3.6

      전기전자부품

    26,175

    -0.4

    25,471

    -2.7

    28,310

    11.1

    12.7

      전기부품

    2,860

    15.5

    2,933

    2.6

    3,105

    5.8

    1.4

       컴퓨터부품 및     액세서리

    4,190

    -5.8

    3,564

    -14.9

    3,891

    9.2

    1.7

       IC 및 부품

    9,390

    -3

    9,428

    0.4

    11,143

    18.2

    5.0

      원사 및 직물

    1,768

    -6

    1,742

    -1.5

    1,768

    1.5

    0.8

    자본재

    53,138

    -3.5

    51,770

    -2.5

    56,207

    8.6

    25.2

      컴퓨터

    1,901

    -7.7

    1,674

    -12

    1,803

    7.7

    0.8

      통신장비

    7,828

    -0.7

    7,802

    -0.3

    9,201

    17.9

    4.1

    기타 수입

    18,601

    1.1

    19,168

    3

    24,531

    28.0

    11.0

       자동차

    2,045

    -12.4

    2,151

    5.2

    10,307

    2.7

    4.6

       자동차부품

    7,244

    -1.6

    7,889

    8.9

    8,365

    6.0

    3.8

     자료원: 태국중앙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