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출입 현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무역환경> 수출입 현황

글자크기

쿠웨이트 수출입현황

쿠웨이트 수출입현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1,665
국가정보 중동>쿠웨이트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101
첨부파일

1. 수출입동향




가. 무역수지


쿠웨이트는 전체 수출의 95% 이상을 원유와 석유화학 중간원료 제품이 차지하고 있다. 그 외 수출 품목은 비료, 알루미늄, 플라스틱, 동괴스크랩과 같은 기타 금속 등의 제품이다. 원유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80%, 석유화학 중간재 제품은 전체 수출의 20%를 차지하고 있어 매년 높은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2014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저유가로 원유와 석유화학 제품을 수출하는 쿠웨이트의 2015년 수출액은 크게 감소하며 무역수지는 전년대비 69.5% 감소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며 2016년 무역수지 또한 감소으나, 2017년  기간 중 유가가 상승세를 보이며 무역수지는 전년대비 증가세로 반전되었다.


   


쿠웨이트 무역수지 현황


(단위: 십억 달러)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전망)

2019(전망)

수출

103.3

54.1

46.2

52.8

61.5

64.9

수입

27.3

30.9

30.8

25.9

32.1

33.0

수지

 75.9

23.1

15.5

26.9

29.4

31.8


주: 2018년 6월 기준


자료원: IMF, CBK


  


나. 수출




2017년 기준, 쿠웨이트의 주력 수출품목은 원유, 가솔린, 디젤, 나프타, 프로판가스, 부탄가스와 같은 석유화학 제품이며, 이 제품군 수출 의존도가 매우 높아 수츨액은 유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2016년 12월 OPEC 국가 원유 감산합의가 이뤄지고 2017년 상반기까지 유가 인상폭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하반기 들어 글로벌 경기 회복세로 중국과 미국 등을 중심으로 원유수요 증가, 미국-캐나다 송유관 누출사고, 중동의 정세 불안, 감산합의 이행과 같은 요소에 의해 유가가 45~60달러 대로 상승하며 2017년 쿠웨이트의 수출액은 전년대비 증가한 501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2018년 6월 미국의 이란 원유 수출 제재와 OPEC 산유국들이 원유를 다시 증산하는데 합의함에 따라 유가가 70달러 이상으로 인상되어었다. 쿠웨이트는 OPEC의 조치에 따라 원유를 증산할 예정이며,  원유 수출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인상된 유가와 원유 수출량 증가와 같은 요인으로 2018년 쿠웨이트 수출액은 전년대비 증가하여 615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 상위 10대 품목


(단위 : 백만KD, %)


연번

제품명(HS Code)

2016*년 수출금액

점유율

0

총계

13,508

-

1

원유(2709)

9,278

68.7

2

원유를 제외한 석유 및 역청유(2710)

2,771

20.5

3

석유가스와 기타 가스 상 탄화수소(2711)

476

3.5

4

비환식 알콜과 이들의 할로겐 유도체(2905)

181

1.3

5

벤젠, 시클로헥산 등을 포함하는 환식탄화수소( 2902)

166

1.2

6

1차 제품에 한정되는 에틸렌의 중합체( 3901)

134

1

7

광물 또는 화학비료, 질소(3102)

64

0.5

8

고무로만든 제품(4015)

30

0.2

9

1차 제품에 한정되는 스티렌의 중합체(3903)

28

0.2

10

프로필렌의 중합체나 그밖의 올레핀의 중합체(3902)

23

0.1


* HS Code를 기반으로한 2017년 수출통계는 아직 발표되지 않음.  

자료원: Central Statistical Bureau(2017년 12월 20일)



쿠웨이트는 제조업이 발달되지 않은 국가로 대부분의 품목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체 수입품목 중 쿠웨이트 정부가 진행하는 프로젝트 기자재 품목 수입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며 주 수입품목에 영향을 끼친다. 가장 수입액이 큰 품목은 자동차이다. 인구 수는 450만명으로 인근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시장이나, 1인 1자동차가 보편적이고 차 교체시기가 짧아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이다.  

 

2017 수입액은 약 259억 달러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시장이 침체됨에 따라 전년대비 수입액이 감소다. 올해에는 민간 소비 증가, 지속적인 정부의 프로젝트 발주에 따른 프로젝트 기자재 수요가 상존하고 있어 2018년 수입 금액은 전년대비 증가한 321억 달러로 전망된다.

  


수입 상위 10대 품목


(단위: 백만KD, %)


연번

제품명(HS Code)

*2016년 수입금액

점유율

-

총계

9,269

-

1

사람을 수송할 수 있는 승용 자동차와 그밖의 차량(8703)

805

8.7

2

무선 통신망 전화기를 포함하는 전화기 와 송신용, 수신용 기기(8517)

365

3.9

3

귀금속으로 만들거나 귀금속을 입힌 금속신변장식용품과

그 부분품(7113)

210

2.3

4

하역, 리프트, 포크리프트 트럭, 기계류의 부분품(8431)

114

1.2

5

철강으로 만든 관과 중공 프로파일(7304)

109

1.2

6

다리와 교량, 탑, 지붕과 같이 철강으로 만든 구조물과 그 부분품(7308)

101

1.1

7

화폐가치가 없는 주괴, 잉곳, 금은괴(7108)

98

1.1

8

광통신망 케이블(8544)

96

1.0

9

밸브류(8481)

79

0.9

10

열교환기(8419)

73

0.8


* HS Code를 기반으로한 2017년 수입통계는 아직 발표되지 않음.

자료원: Central Statistical Bereau(2017년 12월 20일)


  


다. 국가별 수출입 
 


2017년 기준으로 쿠웨이트 주요 수출국가는 한국(18.1%), 중국(16.9%), 인도(11.5%), 일본(11.2%), 대만(6.8%)이다. 주요  수출품목은 원유이다. 2017년 기준으로 쿠웨이트 주요 수입국가는 미국(19.9%), 중국(12%), 사우디 아라비아(7.5%), 독일(5.8%), 일본(5.5%) 이다. 쿠웨이트는 주요 수입국가로부터 일반 소비재, 내구성 소비재, 산업용 기계류 등 자본재를 수입하고 있다.





주요 교역국




수출

비중(%)

수입

비중(%)

한국

18.1

미국

19.9

중국

16.9

중국

12

인도

11.5

사우디 아라비아

7.5

일본 

11.2

독일

5.8

 대만

6.8

    일본

 5.5


주: 2018년 7월 20일 기준


자료원:  Trademap


 


라. 최신 수출입 동향


 


쿠웨이트 수출에서 원유의 수출비중이 가장 크기때문에 유가변동에 따라 수출금액이 달라진다. 2016년 국제 원유가격 하락에 따라 수출금액은 2015년보다 감소한 46.2억 달러를 기록다. 그러나 OPEC 산유국의 석유 감산 합의 및 글로벌 경기 회복세에 따라 2017년 하반기 유가가 60대로 인상되며 2017년 수출금액은 528억달러로 나타났다. 쿠웨이트는 국내 생산기반이 미약해 국내 수요의 대부분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쿠웨이트 수입은 지속적인 증가를 유지하고 있다. 2017년 쿠웨이트 수입액은 259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또한 2018년 쿠웨이트 수입은 321억 달러로 전망된다. 이러한 쿠웨이트의 수입에는 농축산물 등 필수 제품, 민간 부문의 소득 증가에 의한 내구재 구입, 프로젝트 관련 자본재의 구입 수요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8년 쿠웨이트의 수출입은 전년 대비 증가한 936 달러로 예상된다. 원유 수출은 국제유가 상승기조 및 원유 생산량 증대에 따라 수출금액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현재 국가개발계획으로 진행되고 있는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더욱 증대할 것으로 발표하였다. 이에 프로젝트에 공급되는 자본재 수입 증가로 민간 소비시장이 활기를 띌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유가 상승 및 정부의 자국민 고용 확대에 따라 소비심리가 회복되며 내수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민간 소비수요의 증가와 프로젝트 관련 자본재 수입이 증가하면서 수입물량은 2017년에 이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