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출입 현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무역환경> 수출입 현황

글자크기

이라크 수출입현황

이라크 수출입현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2,334
국가정보 중동>이라크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183
첨부파일

1. 수출입동향


가. 주재국 무역수지(수출, 수입)

 

  1. 이라크는 과거 전쟁 등으로 인해 주된 산업기반이 취약하지만 적극적인 석유자원 개발 및 대외수출을 통해 무역수지 면에서는 견실한 흑자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라크의 연도별 교역 실적


(단위: 억 달러)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총수출

840

424

284

374

485

총수입

452 

332

196

222

216

수지

388

103

88

152

269

주*: 예상치


자료원: IHS (2018년 7월 확인)

 

나. 주요 동향

 

이라크의 수출실적과 수입실적은 국제원유가격의 변동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원유가 수출실적의 99%에 달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원유가격 및 원유 생산량에 따라 수출실적이 급등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수입은 수출과 상관 없이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기록하다 2014년 ISIS 사태 이후 하락하고 있으나 그 폭은 수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수출실적이 증가하면 무역수지 흑자도 같이 늘어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수출상품이 원유에 국한돼 있지만, 국내산업기반이 취약하다 보니 수입은 거의 모든 산업 부문에 걸쳐있다. 심지어는 막대한 원유를 수출하는 자원부국임에도 불구, 국내 정제시설 부족으로 정유제품도 수입하는 실정이다. 이라크의 수입은 방대한 인프라 복구·개발 수요를 반영 기계류, 전기장비, 자동차 및 부품, 철강제품 등 플랜트 기자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2016 이라크의 주요 수출입 품목(HS Code 2단위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수출품목

수출액

비중

수입품목

수입액

비중

1

원유·석유

46,778,778

98.0

기계류

3,729,619

13.0

2

귀금속류

769,261

1.6

전기·전자 장비

2,863,794

10.0

3

과일 및 견과류

65,476

0.1

철강제품

1,217,160

4.2

4

동물가죽

27,438

0.1

자동차 및 부품

1,073,116

4.2

5

펄프

19,658

0.1

플라스틱류

1,059,142

3.7

주 : 이라크 정부 발표의 정확한 통계 부재로 대이라크 수출국의 수출금액을 합계한 금액임 

자료원: ICT Trademap (2018년 7월 확인)

 

최근 국제적인 저유가로 인해 이라크의 석유 생산 및 수출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절대적인 가치는 크게 감소하는 추세이다. 반면 수입의 경우도 저유가 상황이 국가재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다수의 개발 프로젝트들이 지연되거나 취소되면서 크게 줄어드는 형국이다. 수입은 2013년 말까지 각종 건설프로젝트 추진에 필요한 자본재 및 일반 소비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2014 ISIL 사태 발발 및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전반적인 수입도 감소하고 있다그러나, 2017년에는 유가가 다소 안정화되고, ISIS 사태도 마무리 되면서 수출과 수입 모두 다시 회복세에 들어섰다. 2018년도는 유가가 상승한 가운데 이 기조를 지속 유지할 시 총 수출액이 2017년 대비 상승해 총 무역수지 흑자 확대가 예상된다.


 


한편, 국가별로는 터키, 중국, UAE, 한국 및 미국이 대 이라크 수출 5강을 형성한 가운데, 세관에서 통계적 잡히지 않는 인근국인 터키와 이란을 통해 들어오는 수입규모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이란의 이라크 시장진출은 여러 면에서 흥미로운데, 이라크에서 시아파 정치인들의 입김이 세지면서 이란의 이라크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도 강해지고, 그것이 양국간 경제협력 면에서도 그대로 반영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경우 대 이라크 수출도 활발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이라크로부터의 에너지 수입으로 대 이라크 적자폭이 큰 편이다. 터키 또는 중국의 경우 건자재, 전기전자제품, 생활용품 등 전 분야에 걸쳐 저가 품목이 이라크 시장에 퍼져있는 상황이다.

 

2016년 대이라크 주요 수출입국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대이라크 수출

수출액

비중

대이라크 수입

수입액

비중

1

터키

7,637

22.3

중국

10,663

21.6

2

중국

7.548

22.1

인도

9,974

20.2

3

UAE

5,364

15.7

미국

6,319

12.8

4

한국

1,440

4.2

한국

5,036

10.2

5

미국

1,266

3.7

이탈리아

3,258

6.6

자료원: ITC Trademap(2018년 7월 기준 확인 가능한 최신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