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발간보고서

home > 자료실> 발간보고서

글자크기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45 [미국·일본, 주요 위드&포스트 코로나 대응 정책]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45 [미국·일본, 주요 위드&포스트 코로나 대응 정책] : 작성자, 카테고리,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글로벌 보건산업
작성일 2022-09-27 조회수 395
원문 https://www.khidi.or.kr/board/view?pageNum=1&rowCnt=10&no1=447&linkId=48881496&menuId=MENU01784&maxIndex=00488814969998&minIndex=00488270009998&schType=0&schText=&schStartDate=&schEndDate=&boardStyle=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첨부파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45 [미국·일본, 주요 위드&포스트 코로나 대응 정책]

 

◈ 목차


◈ 포커스

- 미국·일본, 주요 위드&포스트 코로나 대응 정책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미국 Neurocrine, Diurnal을 5,700만 달러에 인수

- 미국 NIST, Genome 편집 용어 표준화

- 미국 3M, 헬스케어 사업부문을 독립법인으로 분사할 계획

- 영국 Dove, 동물실험금지 정책 지지 서명 확산 노력

- 프랑스 Sanofi, 혈우병 치료제에 대한 FDA 우선심사검토 결정

- 덴마크 Novo Nordisk, 비만 위험 테스트 실시

- 중국, mRNA 기술 연구개발에서 상당한 성과 도출

- 바이오제약, ’22년 CDMOs 동향


◈ 의료서비스

- 미국, 의료관광 수입 약 19억 달러 감소

- 영국, 치과 아웃바운드 여행 증가

- 일본, 프라이머리 케어 도입을 위해서는 데이터 정비 및 활용이 중요

- 중국, COVID-19 백신공급을 통해 아프리카 지역으로 영향력 확대

- 인도, 의료관광 영역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스타트업 기업들

- 태국 Bangkok Dusit, 의료관광 투자 확대

- UAE, 두바이의 첨단의료시설로 고령 환자 의료서비스를 확대

- 글로벌 의료관광, ’25년까지 1,8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


◈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KeyCare, 가상치료 플랫폼 개발을 위한 자본 조달 성공

- 미국, ADPPA법안 주요 동향

- 호주의 CSIRO, 팬데믹 데이터 표준 개발 필요성 제기

- 일본 의료정책기구, 정보기반·시스템 정비를 위한 의견 제시

- 중국, 의료보건기관 네트워크 보안 관리 방법 마련

- 중국, 의료보건기관 네트워크 보안 관리 방법 마련

- WEF, 헬스케어 데이터 보안의 중요성 강조

- AI, 연합학습은 유방암 치료 개선의 열쇠

- 메드테크, AI 기술 발전의 장애요인 분석

 

 

◈본문


미국·일본, 주요 위드&포스트 코로나 대응 정책


일본은 입국자와 귀국자의 COVID-19 검사를 조건부로 면제하고 COVID-19를 인플루엔자와 동일하게 판단해 신규감염자 가운데 중증 환자만 확인하는 등 본격적인 위드 코로나 시대로 이행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은 상황. 또한 미국은 9월 신학기에 대면 수업을 진행하고 바이든 대통령이 코로나 후유증 대책에 총력을 기울이기 시작하는 등 뉴노멀로의 이행을 꾸준하게 진행


[1] 일본이 뉴노멀로 이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


■ 일본은 최근 COVID-19 감염증을 인플루엔자와 동등하게 취급한다는 방침을 놓고 논의를 시작


• 일본은 현재 COVID-19 바이러스를 감염증법상 ‘2류 상당(2類 相当)’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은 모든 환자의 이름과 진단경위를 보고해야 할 의무가 있는 상태


• 7차 유행 속에 감염자수가 사상 최다 규모를 보이고 현장의 사무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는 중증화 위험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계절성 인플루엔자와 동일하게 취급한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판단


• COVID-19 바이러스와 공생하는 위드 코로나 사회로 가기 위해서는 감염증법상 COVID-19를 2류에서 5류로 재지정하는 작업이 필요


• 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을 인플루엔자와 동일시할 수 없는 2가지 사실이 드러나면서 일본 정부는 과학적 근거에 입각한 뉴노멀 이행 계획을 제시하고 국민들의 이해를 얻어야 하는 상황


• 첫째는 COVID-19 감염이 뇌를 위축시킨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는 점으로, 코로나에 감염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과 비교해 뇌 내 회백질(灰白質), 안와전두피질(眼窩前頭皮質), 해마방회 (海馬傍回)가 감소했으며 이러한 뇌의 위축은 증상이 심각했던 감염자에게서 확인


• COVID-19 감염증이 장기적으로 봐서 알츠하이머를 포함한 치매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앞으로도 코로나 감염자의 상태를 장기간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


• 두 번째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반복 감염되면 1차 감염 당시에는 없었던 새로운 증상들이 나타나고 장기간 지속될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으로, 이는 ‘한 번 감염되면 다시 코로나에 감염되더라도 가볍게 지나간다’는 낙관론이 코로나 바이러스에는 통용되지 않음을 의미


■ 한편 감염증 대책 전문가인 다니구치 기요스(谷口清州) 국립병원기구 미에(三重)병원 병원장은 코로나 팬데믹과 관련해 가동 허용치(Surge Capacity) 구축 문제를 제기


• 가동 허용치란 ‘대규모 재해나 팬데믹이 발생해 의료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을 때 이를 수용하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일 수 있는 의료제공 측의 능력’을 의미


• 일본은 감염증 대책과 관련한 근본적인 시스템이 부족하기 때문에 정부는 향후 병원에 병상확보를 요청하면서 일정한 강제력을 행사한다는 방침이지만 현장에서는 반발하는 상황


• 급성질환에 충분하게 대응하려면 병상과 의료진에 일정한 여유를 확보해야 하는데 병상 가동률이 낮아지면 곧바로 병상과 인력을 줄인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한번 감축한 인력과 대응능력을 곧바로 원상 복구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


• 남은 방법은 특정 의료기관에 위기관리를 위한 가동 허용치를 마련해 두는 의료기관의 기능 집약화로, 전체적으로는 필요하지만 제한된 수요만 있는 전문기능을 핵심병원에 집약하고 위성 진료소 등을 설치해 지역 의료기관과 연계해 진료를 보는 형태


• 가동 허용치 확보를 위해서는 유사시 인재확보를 목표로 평상시에 인재풀을 구축해 둘 필요가 있지만 개별 의료기관이 각각 실행하기보다 지역의료연계추진 법인제도를 활용해 인재풀을 광역 의료권별로 일원 관리하는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효율적


• 이를 통해 가동 허용치를 위한 전체적인 비용을 상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평상시는 여유 인원을 다른 의료기관 지원으로 돌릴 수 있기 때문



[2] 미국은 코로나 정책의 중심을 감염 예방에서 후유증 대책으로 이동하기 시작


■ 미국은 ’22년 3월 바이든 대통령이 뉴노멀 이행을 선언하고 사회경제 활동 제한을 철폐했으며 이후 코로나 사망자가 계속 감소하면서 의료제공 체제도 평시에 가까운 상태로 복구


• 바이든 대통령은 ’22년 4월 ‘COVID-19의 장기적 영향 대처에 관한 각서’를 내고 보건복지부(HHS)에 120일 이내에 후유증 연구체제 및 후유증 환자 구제대책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명령


• 이에 HHS는 8월초 △National Research Action Plan on Long COVID(약칭: The Research Plan) △Services and Supports for Longer Term Impacts of COVID19(약칭: Service

Report)이란 2가지 보고서를 발표


• COVID-19 후유증 연구를 확충하는 것은 후유증에 시달리는 개인, 가족, 커뮤니티에 적절한 예방, 치료,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로 보건부 외에 13개 정부기관이 협력


• The Research Plan 책정상의 기본원칙은 △환자의 치료와 성과 향상을 연구노력의 초점이 되도록 할 것 △공평한 후유증 의료 접근성 확립 △미국 정부 내외에서 현지 실시되고 있는 후유증 연구를 가속 △후유증의 영향이 큰 이들이나 커뮤니티와 협력해 우선도 높은 니즈에 대처


• 한편 Service Report는 연방정부가 주(州)정부, 지자체, 민간 전문가 및 조직과 협력해 제공하는 지원 및 서비스를 상세하게 해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