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가개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국가개황> 국가개황

글자크기

북한 국가개황

북한 국가개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6-11-25 조회수 2,158
국가정보 아시아>북한
원문 KOTRA
출처

external_image

자료원: CIA

가. 일반 사항

국가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약칭)

면적

  1. 122,138㎢(세계 96위, 2015년, CIA)
  2. 한반도 전체면적 222,784㎢의 55% 차지

위치

  1.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북위 39°2` 동경125°45`)

수도

  1. 평양직할시(Pyongyang)

행정구역

  1. 1직할시, 2특별구, 9도, 3지구
  2. - 직할시: 1곳(평양직할시)
  3. - 특별시 : 2곳(라선특별시, 남포특별시)
  4. - 도 : 9곳(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 황해남북도, 자강도, 양강도, 강원도)
  5. - 지구: 3곳(신의주 특별행정구, 금강산관광지구, 개성공업지구)

인 구

  1. 2,515만 5,000명(세계 50위, 2015년, CIA)
  2. 인구 밀도: 190명/㎢(세계55위, 2005년, CIA)

주요 도시

  1. 평양(283만 명), 남포(115만 명), 함흥(79만 명)

기후

  1. 대륙성 한랭기후(냉대 동계소우, 습윤기후)로 일부지역에서는 온대기후(온난습윤, 온대 하우기후) 
  2. 연평균 기온: 9.3℃(평양 10.4℃)
  3. 연간 강수량: 826mm(평양 986mm 특히 여름에 강수량이 많음)
  4. 연간 일조시간: 2,280~2,680시간

언 어

  1. 공용어: 한국어(서북 방언에 기초한 문화어를 표준어로 삼음)

독립일

  1. 1945년 8월 15일(일본으로부터)

건국일

  1. 1948년 9월 9일

정치이념

  1. 주체사상과 선군정치(先軍政治:·군이 앞장서는 정치)

정부형태

  1. 다당제(사실상 일당제)
  2. 사회주의 공화국(사실상 1인 독재체제)
  3. 주체사상 국가

국가원수

  1. 국가주석
  2. - 김일성(1998년 개정 김일성 헌법에 의해 공화국의 영원한 주석으로 추대)
  3. - 재임기간: 1948년 9월 9일~1994년 7월 8일
  4. - 생몰년: 1912년 4월 15일~1994년 7월 8일(82세)
  5. 국방위원회 위원장
  6. - 김정일(2012년 4월 13일, 최고인민회의 제12기 제5차회의를 통해 영원한 국방위원장에 추대)
  7. - 재임기간: 1994년 7월 8일~2011년 12월 17일
  8. - 생몰년: 1941년 2월 16일~2011년 12월 17일(70세)
  9.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조선노동당 제1비서, 조선인민국 최고사령관
  10. - 김정은(2012년 4월 11일 조선노동당 제1비서, 4월 12일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취임, 
  11. 2012년 7월 18일 공국국 원수로 진급)
  12. - 재임기간: 2011년 12월 17일~ 현재
  13. - 출생일: 1984년 1월 8일(31세)

입법부

  1. 최고인민회의
  2. - 대표: 김영남(現 최고인민회의, 1928년 2월 4일생)
  3. - 구성: 의장 1명, 부의장 2명, 대의원 687명(임기 5년)
  4. - 주요 업무: 헌법수정, 국가의 대내외정책의 기본원칙 수립
  5. - 권한: 국가예산과 그 집행정형에 대한 심의, 승인, 조약 비준 등의

행정부

(내각)

  1. 구성: 총리, 부총리, 위원장 그 밖의 필요한 성원들로 구성(임기 5년)
  2. - 총리: 박봉주(2013년 4월1일~현재 재임, 1939년 4월 10일 생, 75세)
  3. - 주요 업무: 국가인민경제 발전계획 수립 및 국가예산 편성, 화폐,은행제도 대책 수립등의 권한 임무

자료원: KOTRA, CIA, 조선중앙연감(2009), 통일부 「북한이해2014」

나 .  경제지표

명목 GNI

33조 844억 원(2015년, 한국은행)

실질경제 성장률

  1. -0.5%(2010년), 0.8%(2011년), 1.3%(2012년), 0.8%(2013년), 0.9%(2014년)

1 인당 GNI

  1. 138만 원(한국은행)

GDP(PPP)

  1. 503억 달러(2014년 어림값, 세계 94위, CIA)

1 인당 GDP

  1. 2,010달러(2014년 어림값, 세계 155위, CIA)

명목 GDP

  1. 854달러(2014년 어림값, 세계 159위, CIA)

화폐단위

  1. 북한원(KPW)

환 율

US$ 1 = 98.5 kpw 북한원(2014년, EIU)

산업구조

서비스 부문(정부, 기타) 32.1%, 농림어업 20.9%, 광공업 34.8%

주요 교역국가

  • 수출: 중국(71.0%), 한국(16.6%), 인도(2.0%), EU(4.4%), 태국, 싱가포르
  • 수입: 중국(73%), 한국(19%)

주요 교역품

  1. - 수출: 석탄, 철광석 등 광물성 생산품(18억 9,100만 달러, 전체 58.8% 차지)
  2. 섬유제품 6억 3,600만 달러(전체 수출의 19.8% 점유)
  3. 철강·금속 제품 2억 4,500만 달러(전체 수출의 7.6% 점유)
  4. 동물성 제품 1억 1,900만 달러(전체 수출의 3.7% 점유)
  5. 기계·전자기기 1억 700만 달러(전체 수출의 3.3% 점유)
  6. - 수입: 원유, 정제유 등 광물성 연료
  7. 섬유제품이 6억 5,300만 달러(전체 수입의 15.8% 점유)
  8. 기계·전자기기 5억 9,300만 달러(전체 수입의 14.4% 점유)
  9. 플라스틱·고무 3억 1,500만 달러(전체 수입의 7.6% 점유)
  10. 수송기기 2억 9,000만 달러(전체 수입의 7% 점유)

교역 규모

- 무역총액(단위: 달러)

북한: (2013년)73.4억/(2012년) 68.1억/(2011년)63.6억/(2010년)41.7억

남한: (2013년)10,752.2억/(2012년)10,674.5억/(2011년)10,796.4억/(2010년)8,916억

남한/북한: (2013년)146.5배/(2012년)156.7배/(2011년)169.8배/(2010년)213.8배

- 수출(단위: 달러)

북한: (2013년)32.2억/(2012년)28.8억/(2011년)27.9억/(2010년)15.1억

남한: (2013년)5,596.3억/(2012년)5,478.7억/(2011년)5,552.1억/(2010년)4,663.8억

남한/북한: (2013년)173.8배/(2012년)190.2배/(2011년)199.0배/(2010년)308.9배

- 수입(단위: 달러)

북한: (2013년)41.3억/(2012년)39.3억/(2011년)35.7억/(2010년)26.6억

남한: (2013년)5,155.9억/(2012년)5,195.8억/(2011년)5,244.1억/(2010년)4,252.1억

남한/북한(배): (2013년)124.8배/(2012년)132.2배/(2011년)146.9배/(2010년)159.9배

자료원: 한국은행 북한조사통계, 통일부, CIA, EIU REPORT 2015, KOTRA북한대외무역동향 2013

 

다. 남-북한 관계

주요협정체결

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1992년 2월 19일 발효)

  1. 남북교류·협력공동위원회 구성·운영에 관한 합의서(1992년 5월 7일)
  2. ‘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의 ‘제3장 남북교류·협력’의 이행과 준수를 위한 부속 합의서(1992년 9월 17일)
  3. 남북사이의 투자보장에 관한 합의서(2000년 11월 11일 가서명)
  4. 남북사이의 청산결제에 관한 합의서(2000년 11월 11일 가서명)
  5. 남북사이의 소득에 대한 이중과제방지 합의서(2000년 11월 11일 가서명)
  6. 남북사이의 상사분쟁 해결 절차에 관한 합의서(2000년 11월 11일 가서명)

교역상품

  1. 한국의 반출: 섬유류(44.6%), 전자전기제품(32.5%), 기계류(7.2%)
  2. 한국의 반입: 섬유류(37.4%), 전자전기제품(28.9%), 농림수산물(7.0%)

자료원: KOTRA,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