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가개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국가개황> 국가개황

글자크기

중국 국가개황

중국 국가개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6-11-25 조회수 1,959
국가정보 아시아>중국
원문 KOTRA
출처

자료원: CIA

가. 일반사항

국명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영문: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위치

아시아 대륙 동부와 태평양 서안에 위치(*남북 위도차 약 49도, 동서 경도차 약 62도)
북위 53°33’(최북단) 헤이룽장성(黑龍江省)의 모허(漠河)
북위 3°40’(최남단) 난샤췬다오(南沙群島; 남사군도)
동경 135°5’(최동단) 헤이룽장(黑龍江)과 우쑤리장(烏蘇里江)의 교차 지점
동경 73°40’(최서단) 파미얼(?米爾; 파미르) 고원

면적

약 960만 ㎢(*면적:  세계 제4위, 한반도의 약 44배)

※ 육지 국경선의 총 길이는 약 2만 280㎞에 달하며 해안선 총 길이는 약 1만 8,000㎞임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나라는 총 14개 국가로 동쪽부터 시계 반대방향으로 북한, 러시아, 몽골,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 미얀마, 라오스,베트남 등이 있음. 중국 해역에는 약 7,600개의 도서(島嶼)가 있으며 섬들의 총 면적은 약 7만 2,800㎢임

기후

광대한 영토(남북 거리 약 5,500㎞, 동서 거리 약 5,200㎞)로 인해 지역별로 다양한 기후대가 분포.

주로 최남단지역의 열대기후, 서부지역의 건조기후, 동북지역의 한대 기후 등으로 구분.

전체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한 계절풍기후의 특징을 보이고 있음

수도

베이징(北京; Beijing)(*총 면적 16,411㎢로 서울(605㎢)의 약 27배)
※ 베이징(정식 명칭은 ‘베이징직할시’)은 일찍이 요(療), 금(金), 원(元), 명(明), 청(淸) 등 중국 고대 다섯 왕조의 수도(五朝帝都)를 거쳐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과 함께 다시금 명실상부 중국의 수도로 자리잡음. 1923년 화석인류인 ‘베이징원인(北京猿人)’이 발견되기도 했으며 2008년엔 제29회 베이징올림픽이 개최돼 유구한 역사만큼이나 현대 중국의 정치·문화 중심 도시이자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는 국제도시로 성장함

인구

13억 7,462만 명(2015년 말 기준)(*인구 세계 1위)

주요 도시

- 베이징(北京; 또는 약어로 ‘京’): 2,152만 명
- 톈진(天津; 또는 약어로 ‘津’): 1,517만 명
- 충칭(重慶; 또는 약어로 ‘?’): 2,991만 명
- 상하이(上海; 또는 약어로 ‘?’): 2,426만 명
※상주 인구수는 2014년 말 기준

- 4개 직할시(直轄市): 베이징, 톈진, 충칭, 상하이
- 23개 성(省): 허베이, 샨시, 랴오닝, 지린, 산둥, 윈난, 간쑤, 후난 등
- 5개 자치구(自治區): 네이멍구, 광시장족, 닝샤회족, 신장위구르, 시장티베트
- 2개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홍콩, 마카오

민족

한족(92%) 및 55개 소수민족(8%)

언어

한어(漢語; Chinese)[*표준어: 보통화(普通話; Mandarin)]

※한어는 표준어와 지방어(方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임

종교

5대 종교: 불교(B.C.2), 도교(2c경), 천주교, 이슬람교(7c경), 기독교(19c경) 등

※ 중국 헌법 제36조: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민은 종교 신앙의 자유를 가진다. 어떠한 국가기관, 사화단체 또는 개인이라도 중국 공민의 종교 생활에 간섭할 수 없으며 종교로 인한 차별을 해서도 안 된다. 국가는 정상적인 종교활동을 보장한다. 누구라도 종교를 이용해 사회 질서를 문란하게 하거나 공민의 건강을 해치거나 국가 교육제도에 반하는 활동을 해서는 안 된다. 종교 단체 및 관련 업무는 외국세력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

건국일

1949년 10월 1일

정부형태

(정부체제)

국가 체제: 인민민주독재의 사회주의 국가(*집권당: 중국 공산당)

국가기관: 최고 입법권을 가진 전국인민대표대회를 중심으로 국무원(최고 행정기관), 

최고인민법원(사법재판기관), 최고인민법원(사법검찰기관), 중앙군사위원회로 구성됨.

※인민정치협상회의: 제1차 전인대 개최 전까지 중국 사회주의 운동을 상징하는 최고 권력기구로서 역할을 수행함. 전인대 출범 이후 중국 공산당과 정부의 정책 및 법령을 선전하거나 대외업무를 협의하는 조직으로 바뀜

국가원수

(실권자)

- 시진핑(習近平): 現 중국공산당중앙위원회총서기,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공중앙군사위원회 주석(2013년 3월 취임)

- 리커창(李克强): 국무원 총리, 중공중앙정치국상무위 위원 (2013년 3월 취임)

자료원: 중화인민공화국정부, 중국국가통계국, 주중한국대사관 등 종합

 

나. 경제지표

GDP

(2011년)48조 4,124억 위안/(2012년)53조 4,123억 위안/(2013년)58조 8,019억 위안

(2014년)63조 5,910억 위안/(2015년)67조 6,708억 위안

경제성장률

(2011년)9.5%/ (2012년)7.7%/ (2013년)7.7%/ (2014년)7.3%/ (2015년)6.9%

1인당 GDP

(2011년)3만 6,018위안(약 5,800달러/ (2012년)3만 9,544위안(약 6,300달러)

 

(2013년)4만 3,320위안(약 6,900달러)/ (2014년)4만 6,652위안(약 7,500달러)

 

(2015년)4만 9,351위안(약 7,990달러)/

실업률

(2011년)4.1% → (2012년)4.1% → (2013년)4.0% → (2014년)4.1% → (2015년)4.05%

(자료원: 국가통계국 ‘도시지역 등록 실업률(城鎭登記失業率)')

물가상승률

(2011년)5.4% → (2012년)2.7% → (2013년)2.6% → (2014년)2.0% → 2015년)1.4%
(자료원: 국가통계국 ‘주민소비가격지수(居民消費價格指數)’)

화폐단위

위안(元), 인민폐(RMB)라고도 함

환율

6.2284RMB/US$(2015년 평균 기준)

외채

1조 4,162억 달러(2015년 말 기준)

외환보유고

3조 3,304억 달러(2015년 말 기준)

산업 구조

1차산업: 9.5%(2011년), 9.5%(2012년), 9.4%(2013년), 9.2%(2014년), 9.0%(2015년)

2차산업: 46.1%(2011년), 45%(2012년), 43.7%(2013년), 42.7%(2014년), 40.5%(2015년)

3차산업: 44.3%(2011년), 45.5%(2012년), 46.9%(2013년), 48.1%(2014년), 50.5%(2015년) 

교역 규모

교역량: 3조 6,419억 달러(△22.5%, 2011년), 3조 8,674억 달러(△6.2%, 2012년), 

4조 1,600억 달러(△7.5%, 2013년), 4조 3,015억 달러(△3.5%, 2014년), 

3조 9,564억 달러(▼8.0%, 2015년)

수출: 1조 8,993억 달러(△20.3%, 2011년), 2조 487억 달러(△7.9%, 2012년),

2조 2,090억 달러(△7.8%, 2013년), 2조 3,432억 달러(△6.0%, 2014년),

2조 2,748억 달러(▼2.9%, 2015년)

수입: 1조 7,416억 달러(△24.9%, 2011년), 1조 8,184억 달러(△4.3%, 2012년),

1조 9,500억 달러(△7.2%, 2013년), 1조 9,592억 달러(△0.4%, 2014년),

1조 6,816억 달러(▼14.2%, 2015년)

무역수지: 1,577억 달러(▼14.46%, 2011년), 2,303억 달러(△46.0%, 2012년),

2,590억 달러(△12.4%, 2013년), 3,831억 달러((△47.9%, 2014년),

5,932억 달러(△54.8%, 2015년) 

주요 교역품

수출품: 자동화데이터 설비 및 부품, 의류, 방직 및 직물제품, 휴대폰 등

 

수입품: 집적회로(IC), 원유, 농산품, 철광석, LCD 등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중국인민은행, 중국외환관리국, 중국상무부, 국가해관총서 등

 

다. 한-중 관계

주요 

체결협정

한·중 정부 간 과학 및 기술협력에 관한 협정(1992년 10월 30일 발효)
한·중 정부 간 무역협정(1992년 10월 30일 승격)
(*1991년 12월 체결되고 1992년 2월 1일 발효된 민간 무역협정에서 승격)
한·중 정부 간 경제·무역 및 기술협력공동위원회 설립협정(1992년 10월 30일)
한·중 정부 간 투자 증진과 상호 보호에 관한 협정(1992년 12월 4일 승격)
(*1992년 5월 체결되고 1992년 7월 26일 발효된 민간협정에서 승격)
한·중 정부 간 건설분야에서의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1993년 2월 7일)
한·중 정부 간 해상운송에 관한 협정(1993년 6월 26일)
한·중 정부 간 우편 및 전기통신분야협력에 관한 협정(1993년 8월 23일)
한·중 정부 간 환경협력에 관한 협정(1993년 11월 27일)
한·중 정부 간 문화협력에 관한 협정(1994년 4월 27일)  
한·중 정부 간 소득세의 이중과세 회피 및 탈세방지를 위한 협정(1994년 9월 28일)
한·중 정부 간 세관분야 협력 및 상호지원에 관한 협정(1995년 4월 29일)
한·중 정부 간 민간항공운수에 관한 잠정협정(1994년 10월 31일)
한·중 정부 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위한 협정(1995년 2월 11일)
한·중 정부 간 EDCF(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공여에 관한 교환각서(1994년 12월 13일)
한·중 정부 간 형사사법공조조약(2000년 3월 24일)
한·중 정부 간 사증절차 간소화 및 복수입국사증발급에 관한 협정(1998년 12월 12일)
한·중 정부 간 어업에 관한 협정(2001년 6월 30일)
한·중 정부 간 범죄인 인도조약(2002년 4월 2일)
한·중 정부 간 연금가입 상호면제를 위한 잠정조치협정에 관한 교환각서(2003년 5월 23일)  
한·중 정부 간 민사 및 상사 사법공조조약(2005년 4월 27일)
한·중 정부 간 소득세의 이중과세회피 및 탈세방지를 위한 협정 제2의정서(2006년 7월 4일)
한·중 정부 간의 사회보험에 관한 협정(2013년 1월 16일)
한·중 FTA 협상 타결(2014년 11월 10일)
한·중 FTA 정식서명(2015년 6월 1일)
국회 비준(2015년 11월 30일)
한·중 FTA 발효(2015년 12월 20일)

·

교역 규모

 

양국 교역량: 2,206억 달러(△17.1%, 2011년), 2,151억 달러(▼2.5%, 2012년),
2,289억 달러(△6.4%, 2013년), 2,353억 달러(△2.8%, 2014년), 2,274억 달러(▼3.3%, 2015년)
대중(對中) 수출: 1,342억 달러(△14.8%, 2011년), 1,343억 달러(△0.1%, 2012년),
1,459억 달러(△8.6%, 2013년), 1,453억 달러(▼0.4%, 2014년), 1,371억 달러(▼5.6%, 2015년) 
대중(對中) 수입: 864억 달러(△20.8%, 2011년), 808억 달러(▼6.5%, 2012년),
831억 달러(△2.8%, 2013년), 901억 달러(△8.5%, 2014년), 903억 달러(△0.2%, 2015년)
무역수지: 478억 달러(△5.6%, 2011년), 535억 달러(△12.1%, 2012년),
628억 달러(△17.3%, 2013년), 552억 달러(▼12.1%, 2014년), 468억 달러(▼15.2%, 2015년)   
(*무역수지 2011~2015년 한국 흑자)

주요 교역품

대중 수출품: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센서, 석유제품, 무선 통신기기 등
대중 수입품: 컴퓨터,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센서 등

투자교류

한국의 대중(對中) 투자: 2015년 말 기준(누계), 총 520억 8,335만 달러(*5만 1,910건) 
중국의 대한(對韓) 투자: 2015년 말 기준(누계), 총 81억 983만 달러(*9,648건) 

주: 한국의 대중 투자 통계자료는 한국수출입은행에 신고된 투자금액 및 투자건수

중국의 대한 투자 통계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에 신고된 투자금액 및 투자건수

자료원: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수출입은행, 중국상무부, 주중한국대사관, FTA무역종합지원센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