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업공고

home > 소식> 사업공고> 사업공고

글자크기

[종료] 2019년도 지역기업 개방형혁신 바우처(R&D) 지원계획 공고

2019년도 지역기업 개방형혁신 바우처(R&D) 지원계획 공고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출처,원문,시작일,종료일,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3-20 조회수 1,851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원문 http://www.k-pass.kr/notice/ancView.do?ancId=P0588&gubun=NEW
시작일 2019-03-21 종료일 2019-05-20
첨부파일

1. 사업개요

 

(사업목적) 지역 중소기업의 개방형혁신 촉진을 통한 기술역량 강화및 신규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내용) 지역기업과 대학, 연구기관, 연구개발전문기업 등과의 협업모델 구축을 통해 기술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신제품 상용화 촉진

 

< 2019년 지역기업 개방형혁신 바우처(R&D) 사업 개요 >

 

2019년 지역기업 개방형혁신 바우처(R&D) 사업 개요
구 분 세부내용 구 분 세부내용
사업명 지역기업 개방형혁신 바우처(R&D) 추진체계 산학연 컨소시엄
(지역 중소기업 참여 필수)
지원규모 238억원(국비 203, 지방비 35) 협약방식 단년 협약
지원기간 1년 기 술 료 영리기관 경상기술료 징수
지원한도 2~4.5억원 내외(유형별 상이) 신청접수 ’19.3∼5월
출연비중 사업비의 70% 이내 평가선정 ’19.5∼6월

 

※ 지원규모는 신규과제이며, 국비와 지방비 예산을 포함한 금액

 

 

2. 지원 상세내용

 

신규과제 선정계획 : 약 238억원(국비 203억원, 지방비 35억원)

※ 지역별 지원예산 및 세부내용은 ‘지역별 지원계획’ 참조

 

지원내용

 

○ 외부 대학, 연구기관, 연구개발전문기업 등의 기술 역량을 활용한 지역주력산업분야 지역기업의 협력R&D 및 기술 애로해소 등 지원

 

< 시·도별 지역주력산업 현황 >

시·도별 지역주력산업 현황
시·도 주력산업 시·도 주력산업
부산

바이오메디컬, 지능형기계부품, 지능정보서비스, 클린에너지

충남

바이오식품, 친환경자동차부품, 차세대 디스플레이

대구

의료헬스케어, 첨단소재부품, 분산형에너지

전북

농생명소재식품, 지능형기계부품, 해양설비기자재, 탄소복합소재

광주

디지털생체의료, 스마트가전, 광융합, 복합금형

전남

바이오헬스케어소재, 첨단운송기기부품, 에너지신산업, 청색청정환경

대전

바이오기능성소재, 로봇지능화, 무선통신융합

경북

바이오뷰티, 기능성섬유, 지능형디지털기기, 하이테크성형가공

울산

친환경자동차부품, 조선해양, 첨단화학신소재, 친환경에너지

경남

항노화바이오, 지능형기계, 나노융합부품, 항공

강원

웰니스식품, 세라믹복합신소재, 레저휴양지식서비스

제주

청정헬스푸드, 지능형관광콘텐츠, 스마트그리드

충북

바이오헬스, 스마트IT부품, 수송기계소재부품

세종

정밀의료, 첨단수송기기부품

 

* 강원지역은 주력산업 외에 Free Track으로 E-mobility산업도 병행 지원(지역별 지원계획 참조)

 

(지원유형) 외부자원을 활용한 ‘① 공동협력형R&D’, ‘② 문제해결형R&D’, ‘③ 전문기업주도형R&D’ 지원 (유형별 추진체계 및 지원내용 상이)

 

① (공동협력형R&D) 신제품을 개발 중이나, 고급인력 등 내부역량이 부족한 지역기업과 대학, 연구소, 기업 등과의 공동R&D 지원

 

☞ (추진체계) 지역 중소기업 주관의 산·학·연 컨소시엄

● 주관기관 : 시·도별 지역주력산업분야 중소기업 (해당지역에 사업장 보유)

● 참여기관 : 주관기업의 기술개발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전국에 소재한 기업*, 대학, 연구기관, TP, 지역특화·혁신센터, 지자체연구소, 연구개발서비스전문기업, ESP기업,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 혁신기관

* 참여기업의 경우 대기업은 참여 불가

☞ (공모방식) 자유공모

☞ (예산규모) 97억원

☞ (과제당 지원규모) 1년(’19.07.01.~’20.06.30.), 2억원 내외 지원

☞ (특이사항) 주관기업이 50% 이내 사업비 편성, 50% 이상은 참여기관 활용

 

② (문제해결형R&D) 공동의 기술 애로사항을 보유한 다수 지역기업의 신제품 개발을 지역별 테크노파크 주관으로 아웃소싱 개발 지원

 

☞ (추진체계) 지역별 테크노파크 주관의 산·학·연 컨소시엄

● 주관기관 : 비수도권 14개 시·도 테크노파크* (세종지역은 세종지역산업기획단에서 수행)

● 참여기관 : 지역주력산업분야 중소기업(해당지역에 사업장 보유), 2개 이상

* TP(주관)는 네트워킹을 통해 참여기업에 적합한 R&D서비스공급기관을 발굴하여 참여기업의 신제품 개발을 지원하고, 특화센터를 활용하여 직접 지원도 병행
(특화센터 인력은 참여연구원으로 편성)

☞ (공모방식) 정책지정

☞ (예산규모) 약 63억원

☞ (과제당 지원규모) 1년(’19.07.01.~’20.06.30.), 13개 시·도별 4.6억원, 세종시는 3.2억원 지원

☞ (특이사항) 지역기업(참여)은 사업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예산만을 편성
(기업당 2천만원 이내), TP의 인건비·간접비는 총사업비의 25% 이내에서 편성하고, 총지원금의 50% 이상 외부 지원기관을 활용하여 기업 지원

 

③ (전문기업주도형R&D) 연구개발서비스전문기업, 기술전문기업(ESP), 전문생산기술연구소 주관으로 기업수요를 발굴하여, 지역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 및 애로기술 해결 지원

 

☞ (추진체계) 연구개발서비스전문기업, 기술전문기업(ESP), 전문생산기술 연구소 주관의 산·학·연 컨소시엄

● 주관기관 : 연구개발서비스전문기업, 기술전문기업(ESP), 전문생산기술연구소

● 참여기관 : 지역주력산업분야 중소기업(해당지역에 사업장 보유) 필수

* 연구개발서비스전문기업, ESP기업은 과기부 및 중기부의 지정서 제출 必

☞ (공모방식) 자유공모

☞ (예산규모) 약 78억원

☞ (과제당 지원규모) 1년(’19.07.01.~’20.06.30.), 2억원 내외 지원

☞ (특이사항) 주관기관이 60% 이상 사업비를 편성하여 지역기업 애로해소 지원

 

해당지역 사업장 보유 여부 판단 기준

 

○ 공동협력형R&D의 주관기업, 문제해결형R&D의 참여기업, 전문기업주도형R&D 참여기업의 해당지역 사업장 보유 여부는 사업공고일 기준 해당 시·도에 사업장 또는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여부로 판단

* (일반사업장) 부가가치세법 제6조(납세지), 같은 법 시행령 제8조(사업장)에 근거하여 ‘사업자등록증’의 소재지 기준으로 신청자격 판단

* (부설연구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의 ‘기업부설연구소 인증서’의 소재지 기준(유효기간 포함)으로 신청자격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