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R&D(연구개발) 정보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의약품 R&D 정보> R&D(연구개발) 정보

글자크기

염증 반응 제어하는 핵심기전 규명

염증 반응 제어하는 핵심기전 규명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출처,원문,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3-06 조회수 1,695
국가정보 아시아>대한민국
출처 한국연구재단
원문 https://www.nrf.re.kr/cms/board/general/view?nts_no=114417&menu_no=95&nts_no=&search_type=&search_keyword=&page
첨부파일


염증 반응 제어하는 핵심기전 규명
- 패혈증, 류마티스 관절염 등 염증성 질환 치료 기대 -


□ 국내 연구팀이 염증성 질병 치료제 개발의 초석을 마련했다. 최의주 교수(고려대) 연구팀이 과도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밝혔다.


□ 염증은 병원균의 감염이나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기 위해 면역 세포들이 일으키는 방어 작용이다. 염증 관련 신호전달계들은 항상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그렇지 못할 경우 패혈증,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염증성 질병을 일으킨다.


□ 연구팀은 과도한 염증반응에서 중추적 제어 기능을 하는 효소 ‘MST1’을 규명했다. MST1은 면역세포의 TNFα(알파)가 일으킨 염증반응을 억제함으로서 면역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ㅇ MST1은 단백질 인산화 효소로서 스트레스 신호 전달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염증 반응에서의 역할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ㅇ 면역세포가 병원체를 인식하면 TNFα를 분비하여 NF-κB(엔에프-카파비) 신호전달계를 활성화하는데, MST1은 TNFα에 대응하여 NF-κB를 억제함으로써, 면역반응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제어한다.


□ 최의주 교수는 “이 연구는 과도한 염증 반응을 제어하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한 것”이라며, ”염증성 질병 치료제 개발의 기반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 이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기초연구실)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국제학술지 ‘몰레큘라 셀(Molecular Cell)’에 2월 22일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