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의약품 시장 현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의약품 시장정보> 의약품 시장 현황

글자크기

파키스탄 동물용 백신 시장동향

파키스탄 동물용 백신 시장동향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출처,원문,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06-08 조회수 1,685
국가정보 아시아>파키스탄
출처 KOTRA
원문 http://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66867&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
파키스탄 동물용 백신 시장동향

- 선진국 제품 위주의 고급 시장

- 현지 선호를 반영한 제품 공급 필요


 

 상품 개요

 

  ㅇ 상품명 : 동물용 백신(veterinary vaccine)

  HS Code : 300230

 

 시장현황

 

  ㅇ 시장동향

    - 파키스탄은 여전히 농축산업 중심의 국가로 동물용 백신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음. 현지 공식통계(Pakistan Economic Survey 2017/18)에 따르면, 파키스탄에서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약 70%가 농축산업에 종사하고 있음. 특히 축산업은 파키스탄 국내총생산(GDP)의 약 10%를 차지하며, 전체 수출 규모에서도 10%를 점유할 정도로 중요한 산업임.

    - 또한 최근에는 파키스탄에서 가정용 애완 동물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는 동시에 식품 위생에 대한 의식이 점차 고취되면서 동물용 백신 수요는 나날이 증가 추세임. 이에 따라 파키스탄 정부도 현지 연구기관을 통해 동물용 백신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아울러 현지 바이어 Mustafa Brothers에 따르면, 아직까지 파키스탄 축산 농장 중 동물용 백신을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농장의 비율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임. 따라서 향후 축산 위생에 대한 의식이 개선된다면 추가적인 수요가 대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 파키스탄 내 백신 수요를 종류에 따라 구분하면, 가금류() 백신이 전체 동물용 백신 시장의 약 38%를 차지하며, 나머지 가축(, , 염소 등) 백신이 시장의 62% 가량을 점유하고 있음. 돼지고기를 금기로 하며 닭고기를 즐겨 먹는 이슬람 국가의 특성상 단일 품종으로는 닭에 대한 백신 수요가 상당히 높다는 점이 특징임.

 

동물용 백신 예시

   

자료원: Ghazi Sons

 

  ㅇ 시장규모

    - 현지 바이어 Ghazi Sons 등에 따르면, 파키스탄 동물용 백신 시장은 연간 약 5,500~6,000만 달러 규모로 추정됨. 그 중에서 자국 내 생산 규모는 약 2,000~2,500만 달러이며 저가 제품을 위주로 생산하고 있음. 현지 주정부 접촉 결과, 5개의 지역별 연구소에서 백신을 생산 중인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수입시장 규모는 약 3,000~4,000만 달러 수준으로 집계되며 파키스탄에서 생산하기 어려운 고급 백신을 비롯한 나머지 수요를 충당하고 있음.

 

 수입동향

 

  ㅇ 최근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 2016/17 회계연도 기준 파키스탄의 동물용 백신 공식 수입규모는 약 3,544만 달러로 전년대비 7.5% 증가함. 특히 2014/15 회계연도(956만 달러)와 비교하면 수입규모가 3배 이상 급격한 상승을 보임.

    - 2016/17년 기준 미국산 수입이 약 1,354만 달러로 수입시장의 38.2%를 차지하고 있음. 그 뒤를 이어 프랑스(609만 달러), 이탈리아(467만 달러) 등 구미 선진국이 강세를 나타냄.

    - 이처럼 동물용 백신 시장은 여느 품목과 달리 파키스탄에서도 선진국의 고급 제품이 인기를 얻는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있음. 전 품목을 통틀어 파키스탄 수입시장의 25% 이상을 점유 중인 중국이 동물용 백신에서는 주요 수입대상국에 포함되지 않는 것도 이례적인 경우임.

    - 그 밖에 러시아(377만 달러) 2016/17년 들어 새롭게 주요 수입대상국으로 부상해 눈길을 끔. 현지 바이어들에 따르면, Sanofi(프랑스) 등 글로벌 백신 제조업체들이 2015년부터 러시아에 생산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으로 파악됨.

 

파키스탄 동물용 백신 수입현황

(단위: 달러, %)

순위

수입대상국

2014/2015

2015/2016

2016/2017

수입규모

증감률

점유율

1

미국

7,116,110

12,866,992

13,537,261

5.21

38.20

2

프랑스

172,907

6,934,979

6,087,542

-12.22

17.18

3

이탈리아

90,083

5,054,881

4,666,797

-7.68

13.17

4

러시아

-

-

3,769,635

-

10.64

5

인도네시아

583,953

1,602,354

1,831,426

14.30

5.17

6

영국

38,844

1,660,265

1,001,055

-39.71

2.82

7

한국

109,579

834,195

941,351

12.85

2.66

8

EU 기타

591,065

550,566

804,522

46.13

2.27

9

멕시코

-

8,671

640,771

7,289.95

1.81

10

스페인

123,788

912,287

525,176

-42.43

1.48

총계

9,557,515

32,963,454

35,438,603

7.51

-

자료원: Pakistan Bureau of Revenue

: HS 코드 3002.3000 기준

 

  ㅇ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 2014/15 회계연도 이후 최근 3년간 한국 제품 수입규모는 꾸준히 증가세를 기록함. 2014/15 회계연도에 약 11만 달러에서 2016/17 회계연도에는 약 94만 달러로 크게 증가함.

    - 현지 바이어들은 선진국과 유사한 수준의 품질을 한국산 동물용 백신의 선전 요인으로 꼽고 있음. 중국산 제품이 파키스탄 동물용 백신 시장에서 부진한 원인도 무엇보다 품질 문제라는 점을 고려하면 적절한 평가로 보임.

 

□ 현지 바이어 인터뷰

 

  ㅇ 업체명: Ghazi Sons / 담당자: Mr. Imran Ghazi(CEO)

    - Ghazi Sons는 동물용 사료, 백신 전문 수입, 유통업체로 활동 중임. 파키스탄 카라치(Karachi)에 소재하며 농장 등을 대상으로 전국에 걸친 유통망을 보유함.

    - 기존에 이 업체는 미국, 이탈리아, 인도네시아에서 동물용 백신을 수입 중임. 업체 대표 Mr. Imran Ghazi에 따르면 파키스탄 동물용 백신 시장은 이미 규모가 상당한 수준이며 향후 2배 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가능성도 충분한 상황임. 또한 다른 가축에 비해 육류 소비가 많은 가금류 백신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도 언급함.

    - 바이어에 따르면, 지역별로는 신드(Sindh)주와 펀잡(Punjab), KPK(Khyber Pakhtunkhwa)주가 주요 수요처로 꼽힘. 아직까지 발루치스탄(Balochistan)주의 경우는 전체 농장의 10% 미만이 백신을 사용 중인 것으로 추정됨.

    - 또한 바이어는 한국산 동물용 백신에 대해 미국, 프랑스산 제품과 유사한 품질을 보인다는 긍정적인 견해를 밝힘. 따라서 향후 파키스탄 동물용 백신 시장에 관심을 가진 한국 업체들과 흔쾌히 대화할 용의가 있음도 강조함.

 

  ㅇ 업체명: Mustafa Brothers / 담당자: Mr. Muhammad Usman Ali(CEO)

    - Mustafa Brothers도 동물용 백신 및 첨가제를 수입, 유통하는 업체임. 펀잡주 파이잘라바드(Faisalabad)에 위치하며 마찬가지로 파키스탄 전역에 걸쳐 동물용 백신 제품을 공급함.

    - 바이어는 기존에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국 등에서 제품을 수입하고 있음. 업체 대표인 Mr. Muhammad Usman Ali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출신의 업체들이 파키스탄 동물용 백신 시장에서 끊임없는 광고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음을 언급함. , 우수한 품질의 백신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가축에 질병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는 인식이 파키스탄 농장주, 바이어들 사이에 널리 보급된 상황임.

    - Mustafa Brothers 역시 한국의 동물용 백신 업체와 연락할 의사가 있으며 특히 가금류 백신을 중심으로 논의하기를 희망함을 첨언함.

 

  ㅇ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인터뷰에 응한 바이어에 따르면, 현재 파키스탄에서 수입 중인 주요 동물용 백신 제품의 원산지별 가격대는 아래 표와 같음. 주로 미국, 프랑스, 한국 업체들이 파키스탄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 원산지와 브랜드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음.

 

원산지별 동물용 백신 가격 현황

브랜드

원산지

종류

단가(달러)

Cevac

미국

뉴캐슬병(New Castle)

25-35

Engromix

프랑스

감보로병(Gumboro)

55-65

Merck Animal Health

미국

광견병(Rabies)

25-35

Vibrac

프랑스

구제역(FMD)

25-40

L

한국

아플라톡신(Aflatoxin)

25-40

자료원: 현지 바이어(Ghazi Sons, Mustafa Brother, Sadat International)

: 유리용기(vial) 개당 가격

 

백신 유리용기(vial) 예시

 

자료원: Sadat International

 

    - 바이어 인터뷰 결과, 파키스탄 동물용 백신 시장 내 주요 경쟁국 및 기업으로는 프랑스(Ceva Sante Animale, Engromix), 미국(Zoetis, Lohmann Animal Health International, Merck Animal Health), 체코(Dyntec al. s r. o.), 독일(Boehringer Ingelheim) 등이 존재함.

    - 한국의 경우 현재까지 대기업(L) 중심으로 파키스탄에 동물용 백신을 수출 중인 것으로 파악됨.

 

□ 유통구조 및 관세율 등

 

  ㅇ 유통구조

    - 동물용 백신은 파키스탄에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유통 중임. 먼저 카라치, 라호르(Lahore) 등 대도시의 경우는 단위 수요가 높으므로 수입상이 축산 농장을 직접 방문하면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따라서 대규모 농장을 둘러싼 수입상들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임.

    - 한편 소도시나 산간 지역의 경우는 딜러를 통해 주로 개별 매장에서 백신이 판매됨. 따라서 소규모 수요를 보유한 고객이 필요에 따라 매장을 방문해 구매하고 있음.

 

  ㅇ 관세율

    - 동물용 백신 품목의 현지 관세율은 11%이며 기타 세금 등을 함께 고려하여 에이전트와 함께 신중하게 가격을 책정할 필요가 있음.

 

현지 수입관세 및 기타 세율

HS 코드

관세

(Customs Tariff)

일반 판매세

(General Sales Tax)

원천세

(WithHolding Tax)

3002.3000

11%

17%

6%

자료원: Pakistan Customs Tariff

 

    - 현지 담당기관(Federal Board of Revenue) 확인 결과, 이 품목의 경우 일반 관세(11%) 외에 국가별로 관세율이 상이하게 적용되는 경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한국뿐 아니라 최대 수입대상국인 미국산 제품에도 동일한 관세율이 부과되고 있음.

 

  ㅇ 수입규제, 인증

    - 파키스탄 식약처(Drug Regulatory Authority of Pakistan, 이하 DRAP)에 따르면 외국 기업이 동물용 백신을 파키스탄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사 제품을 DRAP에 필수적으로 등록해야 함.

    - 등록 절차는 대부분 현지 에이전트를 통해 진행하며, 신청서 작성 후 DRAP에 제출하면 제품 종류에 따라 6개월~1년 정도의 등록 기간이 소요됨.

    - DRAP 기준에 부합한 제품에 대해 등록이 완료되면 향후 5년간 유효하며 만료 전에 갱신 신청 시 연장도 가능함. 그 밖에 별도의 수입규제 혹은 필수 인증은 존재하지 않음.

 

□ 시사점  

  

  ㅇ 현지 에이전트 확보

    - 한국 기업이 파키스탄 내 에이전트를 확보할 경우 DRAP 제품 등록 절차를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음. 따라서 기존에 정부 및 민간 부문을 대상으로 납품 경험을 보유한 현지 에이전트를 발굴하는 일이 우선 과제임.

    - 또한 펀잡주 등 주정부에서 진행하는 백신 보급 프로그램에도 외국 기업이 등록 후 참여 가능하므로 에이전트를 통해 적극 참가한다면 새로운 공급 기회를 기대할 수 있음.

    - 카라치 무역관에서 파악한 주요 에이전트 후보 업체들은 아래 표와 같음.

 

현지 에이전트 후보업체

업체명

담당자(직위)

이메일

홈페이지

Mustafa

Brothers

Mr. Muhammad

Usman Ali(CEO)

colmutstafa2000@yahoo.com

www.mustafabrothers.net

Kausar Group

of Companies

Mr. Attique Malik

(Director)

attique@kausar.com.pk

www.kausar.com.pk

Ghazi Sons

Mr. Imran Ghazi

(CEO)

mail@ghazisons.com

www.ghazisons.com

자료원: 카라치 무역관 자료

 

  ㅇ 공공조달 입찰공고 조회

    - 동물용 백신 관련 파키스탄 조달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공공조달 입찰을 통해 제품을 공급하는 방안도 추가로 모색 가능함. 이를 위해서는 파키스탄 조달청(Public Procurement Regulatory Authority, 이하 PPRA) 홈페이지(www.ppra.org.pk)를 꾸준히 주시할 필요가 있음.

    - 적격 조달 공고가 확인될 경우 현지 에이전트를 통해 적극적으로 참가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함. 상세 내용은 PPRA 홈페이지에서 수시로 확인 가능함.

 

  ㅇ 현지 소비자 선호를 반영한 제품 공급

    - 바이어 확인 결과, 파키스탄에서는 경구 백신(oral vaccine), 살포용 백신(spraying vaccine)이 널리 사용됨. 이는 비용 절감과 더불어 편의성을 고려한 선호로 보임.

    - 따라서 주사용 백신(injectable vaccine) 보다는 앞서 언급한 종류의 제품에 집중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함.

    - 또한 파키스탄 바이어들은 유통기한이 제조일 기준 24개월 이상인 제품을 선호하고 있음도 참고하는 것이 좋음. 끝으로 백신 포장의 경우 유리용기 개당 100회분(100 doses/vial), 500회분(500 doses/vial), 1,000회분(1,000 doses/vial) 용량이 파키스탄에서 보편적이라는 점도 수출 시 감안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Pakistan Economic Survey, Ministry of Agriculture & Livestock, Federal Board of Revenue, Drug Regulatory Authority of Pakistan, Pakistan Customs Tariff, Public Procurement Regulatory Authority, Ghazi Sons, Mustafa Brothers, Kausar group of Companies, Sadat International, KOTRA 카라치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