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발간보고서

home > 자료실> 발간보고서

글자크기

콘트롤타워의 역할과 기능

콘트롤타워의 역할과 기능 : 작성자, 카테고리,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정보 제공
작성자 임이슬 카테고리 전문가 인사이트
작성일 2017-07-03 조회수 3,264
원문
출처

콘트롤타워의 역할과 기능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조헌제 상무이사 

  

제약, 바이오산업을 4차 산업혁명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대표적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4차산업혁명기에는 제약, 바이오기술과 디지털기술,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이 융합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와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리고 자국이익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경제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차원에서 제약, 바이오산업이 본연의 역할과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부족한 부분을 적기에 규모있게 지원할 수 있는 혁신환경구축지원이 무엇보다 선행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선진국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신약개발역사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 제약, 바이오산업이 글로벌 시장이 요구하는 시장가치를 창출하고 글로벌 시장경제를 주도하기 위해서는 제약, 바이오산업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극복해야 하는 것들에 대한 규명과 기술혁신을 위해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필요하다.

IT분야 기술 뿐 아니라 다양한 학문분야와 다양한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시장이 요구하는 융합가치가 적기 지속적으로 도출될 수 있을 때 제약, 바이오산업은 현정부가 추진하는 고부가가치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케 된다.
 
이에 따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향후 제약, 바이오산업분야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분과 혹은 기구를 신설하게 될 경우 해당 분과 혹은 기구는 국내 제약, 바이오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이 무엇인지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와 접근이 있어야 한다.
 
또 글로벌시장이 요구하는 수준의 기술혁신을 위해 우리의 미보유 역량과 필요 역량에 관한 규명을 바탕으로 이를 보완하거나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인프라 구축방안 등 종합적인 지원 대책을 시급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제약,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을 표방하고 있는 각종 국가적 시책과 지원 프로그램 및 기 설립 운영 중인 인프라 조직들이 산업수요를 제대로 반영하여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하며 제약,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미보유 역량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고 있는지, 필요 역량을 적기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냉정한 검증과 평가도 요구된다.

 

※ 원문 출처 : 약사공론

('제약은 생산자 아닌 산업으로서 가치 중요' 기사 발췌, http://www.kpanews.co.kr/article/show.asp?idx=185168&category=P)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