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글자크기

인공지능(AI) 영상분석 시스템, 원격모니터링 등의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실증적 근거 마련 필요

인공지능(AI) 영상분석 시스템, 원격모니터링 등의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실증적 근거 마련 필요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보도시작시간,보도시작일,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2-02-23 조회수 3,447
첨부파일

인공지능(AI) 영상분석 시스템, 원격모니터링 등의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실증적 근거 마련 필요

한국보건산업진흥원,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 연구보고서 발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 보건산업정책연구센터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 연구(연구책임자 김지은 책임연구원)’ 보고서는 최근 보건산업의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이해를 돕고자 국내외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 국내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사례활용 제고를 위한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외 디지털 헬스 서비스활용 효과를 검토한 결과,

 

          * 키워드 검색으로 선정된 문헌 중 본 연구주제와 부합한 문헌을 검토함(국외문헌 492건 중 46, 국내문헌 515건 중 24)

 

 

환자 대상의 디지털 헬스 서비스에 활용되는 기술은 웹기반(Web-based), 모바일헬스(mHealth), 원격의료(telehealth)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건강 혹은 질환 상담과 혼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헬스 중재(DHI)* 방식으로 제공된다.

 

               * 디지털 헬스 중재(Digital Health Interventions, DHI)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보건의료 분야의 목표(환자 증상개선, 병원 운영 효율 등)를 달성하기 위한 개입으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 모바일 등), 컨텐츠와 함께 디지털 헬스 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임

 

 

서비스 대상은 주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질환들로 심혈관(심부전, 뇌졸중), 당뇨 및 고혈압(고지혈증), 정신질환 등이며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증상관리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질환별로 다양한 기술과 중재법이 사용되고 있어 활용 효과에 대한 일관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일부 중재법에서 효과를 가져오는 사례를 참고하여 국내 임상현장의 수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국내외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효과지표를 고려한 정신질환과 암질환 대상의 연구도 필요하다고 제시되었다.

[환자 대상의 국내외 디지털 헬스 서비스 효과지표 비교]

구분

효과지표

국외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 체중, 임상수치(당화혈색소), 자기관리능력, 투자수익률(Return on Investment), 비용 등

(심부전,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임상수치(Brain Natriuretic Peptide), 심부전관련 입원횟수, 삶의 질, 질보정생존연수(Quality Adjusted Life Year), 점증적비용효과비(Incremental Cost Effective Ratio), 투자수익률(Return on Investment)

(우울, 불안 등 정신질환) 증상지표(GAD-7, PHQ-9), 수용성, 회복기간 및 회복률

(암질환) 임상지표, 암통증평가, 경제성

국내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 임상수치(혈당, 혈압), 체질량지수, 환자만족도 등

(심부전,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심혈관위험도, 삶의 질, 재활기능검사 등

 

전문가 자문을 통해 국내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국내에서 많이 활용되거나 향후 활용이 많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례인공지능(AI) 영상분석 및 임상진단 결정지원, 원격모니터링 및 원격의료, 모바일 앱, 플랫폼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전자의무기록 및 전자처방/의뢰, 디지털 치료제, 음성인식시스템 등이 제시되었다.

 

 

국내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도와 효과 높이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과 서비스에 별도 수가 혹은 보조금 지급의 보상체계 마련, 제품 개발 후 시장진입 및 허가절차 등의 신속 대응과 관련 법규제 정비 및 완화, 실사용데이터(RWD)* 확보를 통한 실사용증거(RWE)* 확립 등의 안전성과 유효성 강화, 데이터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및 개인정보 보호 등 데이터 활용을 위한 제도 보안, 산업 생태계 전반에 대한 지원 등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RWD: Real World Data, RWE: Real World Evidence

 

 

향후 새로운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도입을 위해서는 관련 ·제도적 지원 뿐 아니라 보상체계, 안전성, 유효성 등을 검증하는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될 필요가 있다.

 

 

코비드19 팬더믹으로 보건의료서비스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시기에 본 연구결과가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효과적인 도입 방안을 모색하고 관련 정책 수립을 논의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해당 보고서는 진흥원 홈페이지(www.khidi.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향과 정보-보건산업정책연구 게시판)

 

문의 : 진흥원 보건산업정책연구센터 황정민 책임연구원(043-713-8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