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 글자크기
보건산업 수출, 3분기 누적 첫 200억 달러 돌파, 역대 최고 실적… 의약품·화장품 15%대 성장
| 작성자 | 관리자 | ||
|---|---|---|---|
| 작성일 | 2025-11-04 | 조회수 | 76 |
| 첨부파일 | |||
보건산업 수출, 3분기 누적 첫 200억 달러 돌파, 역대 최고 실적…
의약품·화장품 15%대 성장
진흥원, 2025년 3분기 누적 보건산업 수출 실적 발표
|
◆ (총괄) ’25년 3분기 누적 수출*은 208.1억 달러(+12.5%)로 200억 달러 첫 돌파, 3분기 보건산업 수출**은 70.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함 * 의약품 78.8억 달러(+15.1%), 의료기기 44.3억 달러(+3.3%), 화장품 85.0억 달러(+15.4%) ** 의약품 25.1억 달러(+5.1%), 의료기기 15.3억 달러(+11.7%), 화장품 29.9억 달러(+16.7%)
◆ (주요특징) ①(의약품) 미국 및 유럽 중심의 바이오의약품 수요 증가, ②(의료기기) 미국, 중국, UAE 위주로 초음파 영상진단기 수출 증가, ③(화장품) 한류 및 K-뷰티의 글로벌 수요 증대 및 수출국 다변화로 화장품 수출 역대 최대실적 경신 |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2025년 3분기 누적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하였다.
□ [총괄] ’25년 3분기 누적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5% 증가한 208.1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 분야별로는 화장품 85.0억 달러(+15.4%), 의약품 78.8억 달러(+15.1%), 의료기기 44.3억 달러(+3.3%) 순으로 수출 실적이 높게 나타났다.
|
【보건산업 수출】(’24.3Q) 185.0억 달러 → (’25.3Q) 208.1억 달러(전년 대비 +12.5%)
•(의 약 품) (’24.3Q) 68.5억 달러 → (’25.3Q) 78.8억 달러(전년 대비 +15.1%) •(의료기기) (’24.3Q) 42.9억 달러 → (’25.3Q) 44.3억 달러(전년 대비 +3.3%) •(화 장 품) (’24.3Q) 73.6억 달러 → (’25.3Q) 85.0억 달러(전년 대비 +15.4%) |
|
[참고] 전산업 : (’24.3Q) 5,085억 달러 → (’25.3Q) 5,198억 달러 (전년 대비 +2.2%) ※ 주요 품목별 수출 증가율(‘25.3Q 누적기준) : 반도체 +16.9%, 자동차 +2.2%, 일반기계 △8.7%, 석유제품 △13.2% |
○ 미국·유럽에서 바이오의약품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기초화장용 제품류 수요 증가로 의약품·화장품 수출은 역대 3분기 누적 최대실적을 달성하였다.
- 의료기기는 초음파 영상진단기 수출 증가에 힘입어 소폭 증가하였다.
|
분기별 수출액 추이 |
|
산업별 수출액 추이(억 달러) |
|
|
|
□ [의약품] ‘바이오의약품’과 ‘기타의 조제용약’ 수출 증가로 ’25년 3분기 누적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1% 증가한 78.8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 ‘바이오의약품’(전체 의약품 수출의 62.7% 비중)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3% 증가한 49.4억 달러[동기 최대실적]의 실적을 기록하였다.
- 특히, 미국(12.7억 달러, +46.6%), 스위스(7.9억 달러, +132.3%), 네덜란드(4.3억 달러, +471.2%)에서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기타의 조제용약’(5.5억 달러, +9.5%) 수출은 일본(0.8억 달러, +28.3%), 중국(0.4억 달러, +35.1%), 태국(0.4억 달러, +37.3%) 등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 아시아지역 ‘기타의 조제용약’ 수출액: (’24.3Q) 2.9억 달러 → (’25.3Q) 3.4억 달러(+16.9%)
□ [의료기기] ‘초음파 영상진단기’와 ‘전기식 의료기기’의 수출 증가로 ’25년 3분기 누적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44.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 일반 의료기기 수출액: (’24.3Q) 3,773백만 달러 → (’25.3Q) 3,900백만 달러(+3.4%)
* 체외 진단기기 수출액: (’24.3Q) 518백만 달러 → (’25.3Q) 534백만 달러(+3.0%)
○ ‘초음파 영상진단기’(전체 의료기기 수출의 15.2% 비중)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6% 증가한 6.7억 달러[동기 최대실적]를 기록하였다.
- 미국(1.6억 달러, +18.0%), 중국(0.6억 달러, +25.7%), 인도(0.5억 달러, +23.9%)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아랍에미리트(0.5억 달러, +1,052.0%)에서 수출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 ‘전기식 의료기기’(4.6억 달러[동기 최대실적], +16.7%)는 미국(0.7억 달러, +40.3%), 일본(0.7억 달러, +12.1%), 태국(0.2억 달러, +51.1%)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다.
○ 반면, 수출 주력품목인 ‘임플란트’는 중국·미국 수출 부진으로 전년동기 대비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화장품] ‘기초화장용 · 색조화장용 · 인체세정용 제품류’의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25년 3분기 누적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한 85.0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 ‘기초화장용 제품류’(전체 화장품 수출의 74.5% 비중)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14.8% 증가한 63.3억 달러[동기 최대실적]를 기록하였다.
- 특히, 미국(12.1억 달러, +14.7%), 홍콩(4.6억 달러, +34.2%), 폴란드(1.5억 달러, +107.6%)를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를 보였고, 중국(12.0억 달러, △11.5%)은 감소하였다.
○ ‘색조화장용 제품류’(11.5억 달러[동기 최대실적], +17.9%)는 일본(2.7억 달러, +26.7%), 미국(2.3억 달러, +21.7%), 프랑스(0.4억 달러, 94.7%)를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였으나, 중국(1.8억 달러, △24.1%)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 ‘인체세정용 제품류’(4.2억 달러[동기 최대실적], +25.9%) 수출은 중국(1.1억 달러, +12.4%), 미국(0.9억 달러, +50.0%)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2025년 3분기 누적 수출 200억 달러 달성은 우리 보건산업 수출 기반이 견고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라고 밝혔다.
○ 이어, “대외정세 불안정 요인이 완화될 경우, 4분기에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보건산업 수출이 연간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기대감을 보였다.
○ 다만,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 공급망 리스크 등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통상환경 변화 및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문의 :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 산업통계팀 정주석 연구원 ☎ (043)713-8433
- 이전글 비욘드메디슨, 턱관절장애 디지털 치료제 ‘클릭리스’임상 성과 입증
- 다음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온라인 의료연수 웹사이트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사회적 영향 특별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