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동향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Vol.564(2025.09.08)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25-09-09 | 조회수 | 768 |
첨부파일 |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Vol.564(2025.09.08)
- Global Bio-Health Industry Trend
◈ FOCUS
- 글로벌 팬데믹 대비와 보건의료 주권: 차세대 mRNA 백신·치료제 개발 및 국제 협력 전략
◈ 무역통상
- 인도, 미국 관세 불확실성 속에서 새로운 제약 수출 시장 모색
- 트럼프, 제약업계에 COVID-19 데이터 공개 요구하며 약값 상승 경고
- 일본, 10년간 650억 달러 투자로 인도 글로벌 공급망 허브로 부상
- 대만 기술 기업들, 텍사스를 미국 투자 거점으로 선택
- 쿡 메디컬, 트럼프 관세 비용을 미국 고객에게 전가할 것이라고 발표
- 트럼프, 수입 의약품에 대한 고율 관세 계획으로 약값 상승 위험 초래
- 인도-EU, 미국 관세 후 자유무역협정 협상에 관심 집중
- 인도 하리아나주, 8개 주요 경제 부문 50% 관세 부과로 타격
- 미 법무부-국토안보부, 관세 회피 및 밀수 대응 ‘무역 사기 TF’ 출범
◈ 디지털헬스케어
- 트럼프 행정부, ARPA-H의 AI·예방의료·사이버보안 분야 예산 대대적 삭감
- 영국 PocDoc, 스마트폰 기반 제2형 당뇨병 예방 검사 출시
- 로스앤젤레스-캘리포니아대, AI 오류 잡는 시스템 개발
- 인도 바이옴 테라퓨틱스-엠브리요, AI 기반 의료기기 공동개발 협력 계약 체결
- 싱가포르, AI 기반 자동 진료 기록 도구 ‘Anzu’ 승인
- FDA, AI 의료기기 사전승인 시스템 PCCP 지침 발표로 혁신 가속화
- 스코틀랜드 보건부, 2025-2026년 국가 디지털헬스케어 전략 이행 현황 발표
- FDA·EMA, AI 기반 디지털 엔드포인트 임상시험 도입 가속화로 신약개발 혁신 주도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FDA, 2024년 58건의 제네릭 의약품 첫 승인으로 환자 치료 접근성 대폭 확대
- 영국 보건부, 제약업계와 의약품 가격 협상 결렬로 23% 환급률 유지 강행
- 사우디 SFDA, EU MDR 기준 의료기기 규제 체계 도입
- 영국 MHRA, AI 의료기기 중심 혁신 승인 경로 대폭 확대로 글로벌 규제 패러다임 전환 선도
- 마이크로봇 메디컬, 모듈식 로봇 수술 시스템 특허 획득
-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AI 기반 예측 유지보수 기술 도입으로 2029년 8,013억 달러 규모 달성 전망
- 글로벌 항산화 화장품 시장, 2033년까지 연평균 7.9% 성장하며 210억 달러 규모로 확대 전망
- FDA, 소액 수입품 관세 면제 규정 폐지로 K-뷰티 등 해외 화장품 직구 시장에 큰 변화 예상
◈ 의료서비스
- 인도, 2047년까지 글로벌 의료관광 허브 도약 목표
- 독일, 복잡한 규제 속 원격의료 제도 확장
- 요르단, 2025년 의료관광객 9만 2천 명 돌파
- 오만, 비전 2040 실현 위한 의료관광 투자 확대
- 튀니지, 의료관광으로 지중해 주요 허브 도약 모색
- 태국, 원격진료 확대를 위한 특별 소위원회 출범
- 상하이-윈난, 의료 협력으로 최고 수준의 진료 플랫폼 구축
- 중국-아랍 의료협력연합 창립, ‘건강 실크로드’ 협력 본격화
◈ 글로벌 행사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Vol.563(2025.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