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임무 해결을 위해 도전적 문제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는
도전혁신형 프로젝트 과제 기획, 평가, 성과관리 과업을 수행하는 자
- K-헬스미래추진단 내
PM의 역할 -
-
임무, 도전적 문제 관련 상세 기획 및 수행 기관 선정
-
연구 프로그램의 전주기적 관리 및 예산의 분배
-
과제 관리·평가를 통한 마일스톤 변경 및 중단 선언으로 사업 추진
-
연구 성과 활용을 위한 사업화 연계
-
-
-
소개
성창모 센터장은 현재 K-헬스 미래 추진단(한국형 ARPA-H) 미션PM 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고려대학교 그린스쿨 특임교수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KIRD 석좌교수(2019~2021년)를 역임했습니다. 또한 과기정통부 산하 '국가과학그랜드챌린지 이니셔티브(2020~2022년)'의 국가사업단장을 역임했으며 네이처 네비게이터와 디멘션스 AI를 활용해 바이오메디컬 연구 분야의 글로벌 네트워크/경쟁자, 펀딩 동향 등을 효과적으로 파악해왔습니다.
성창모 센터장은 (주)효성기술원 사장 겸 CTO로 5년간 기술원장을 맡았습니다. 1992년부터 2004년까지는 매사추세츠 로웰 주립대학교 화학 및 원자력 공학과 종신 교수로 재직하며 NSF, DARPA, 미 육군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22년간의 미국 거주를 마치고 2004년 부산 인제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습니다.
바이오화학공학 교수로서 보스턴 루트 128과 495에 있는 Johnson & Johnson, MilliporeSigma, Boston Scientific 등의 바이오메디컬 기업 과제를 수행하였고 32명 석박사와 7명 포스트 닥터를 양성하였습니다. 그는 생체 재료 및 나노공학 분야에서 100편 이상의 학술 논문과 150여번 초청강연을 하였으며, 미국 리하이대학교 재료 공학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
-
소개
홍기종 PM은 1988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생물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도미하여 Texas Tech University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이후 Texas Tech University Health Sciences Center, University of Kansas Medical Center에서 연구원으로 감염 면역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2006년 질병관리본부 (현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서 국내에서의 연구 및 행정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2014년까지 책임연구원, 보건연구관, 연구단장 등으로 정부 기관에서의 경력을 쌓은 후,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연구기획 디렉터, 인터파크 바이오융합연구소 등 중견기업의 연구개발 담당 임원 등을 거쳐 현재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에서 교수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귀국 후 20년간 주로 감염병 대유행에 대비하기 위한 백신과 진단기술의 개발에 주력해 왔으며, 주요 업적으로는 국립보건연구원 근무 기간 동안 탄저 백신, 조류독감 백신, 야토균 백신 등을 개발하였고 현재도 니파 바이러스, 일본뇌염, 세균성 이질 등의 mRNA백신개발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2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주관 ‘신변종 감염병 mRNA백신사업단 (KmVAC)’의 단장으로 선정되어 국내 mRNA백신개발 연구와 산업의 발전을 주도적으로 추진해왔습니다.
2024년 6월부터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K-헬스미래추진단’의 보건안보 분야 프로젝트 매니저(PM)로 임명되어, 새로운 팬데믹을 대응, 대비하기 위한 백신과 치료제 및 관련기술의 개발 임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가천대학교 감염병연구소 소장,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 융합분과위원, 대한면역학회 학술위원장, 대한바이러스학회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대한인수공통감염병학회 부회장, 대한백신학회지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CEVR)’ 편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국제백신연구소 자문위원을 거쳐, 2024년부터 한국파스퇴르연구소 과학자문위원,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라이트재단) 사업선정위원, 전염병 대비혁신연합 CEPI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의 과학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관심 분야
- 감염병
- 백신
- 치료제
- 팬데믹
- 보건안보
- 백신주권
- 글로벌허브
- mRNA기술
관련 영상
-
사업설명회
-
-
소개
김윤빈 PM은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하였습니다. 바이엘, 노바티스를 포함한 다국적제약사에서 20년 이상 근무하였으며, 특히 2006년에는 노바티스벤처펀드의 한국 투자사업을 시작 및 진두지휘 하였으며, 이후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싱가포르 노바티스 열대병 연구소에서 국제협력 및 연구 운영 총괄책임자로 근무하여 감염병 신약개발협력을 위한 500건 이상의 계약을 성사시킨바 있습니다.
2018년에는 한국제약사와 보건복지부, 미국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이 공동 설립한 글로벌헬스연구기금 (라이트펀드)의 창립 대표로 임명되어, 개발도상국의 의료불균형 문제해결을 위한 국내 헬스기술개발 지원활동을 주도하였으며, 2022-2023년까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글로벌제약전문 컨설턴트도 역임하였습니다.
관심 분야
- 미충족의료수요
- 난치질환
- 희귀질환
- 치료제
- 진단
- 백신
- 디지털헬스기술
담당 프로젝트
관련 영상
-
사업설명회
-
-
소개
조영재 PM은 2002년 서울의대를 졸업 후 동대학원에서 보건학석사, 의학박사를 받았고 2011년부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에 있습니다.
임상의사로서 호흡기내과 전문의, 중환자의학 세부전문의 취득 후 중환자 진료시스템 전반에 대한 운영과 함께, 특히 중환자실에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및 중증원내폐렴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심한 중증호흡부전 환자들을 위한 체외막산소공급시스템(ECMO)을 전문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최소칩습시술로서 중환자들의 조기 기계환기이탈 및 재원기간 감소를 위해 경피적확장기관절개술을 1,000건 이상 시행하면서 중환자전담전문의들에게 술기를 교육, 전파하였고 원내 신속대응팀 "SAFER"를 초기에 설립, 운영하여 성공적으로 정착시켰으며 팀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판데믹을 거치며 폐 초음파를 진료 현장에 도입하였으며 비칩습적양압환기가 필요한 수면호흡장애 분야, 중재적 기관지내시경 및 칩습적 호흡기 시술 분야에서도 필요한 진료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미국 펜실베니아대학 의공학과 및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에 장,단기 연수를 다녀온 이후 새로운 중개연구로서 환자유래 폐장세포 획득 및 폐 장기칩,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3D 세포배양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이며 미국과 유럽, 국내 기초과학자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산업부 첨단바이오 분과 PM, 한국표준협회 ISO TC 276 전문위원 및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동물대체시험법 총관운영협의체 운영위원을 맡고 있으며 연구 결과들의 특허 출원 및 등록, 레드바이오 분야 창업 및 MPS 분야 국가검증센터를 만드는데 기여하는 등 바이오헬스 혁신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학술지 부편집위원, 대한중환자의학회 표준화이사, 대한수면학회 정책이사를 맡고 있고, 대한중환자의학회 젋은연구자상(2019), 대한내과학회 학술상(2021),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한마음학술상(2024)를 수상한 바 있습니다. 2024년 9월부터 K-헬스미래추진단 바이오헬스 혁신 분야 PM으로 파견근무를 시작, 국내 최초로 우주의학 분야 과제를 기획하였습니다.
관심 분야
- 첨단바이오
- 혁신의료기술
- 중개의학
- 우주의학
- 미래의학
관련 영상
-
사업설명회
-
-
소개
이승규 PM은 2025년 3월부터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인 ‘K-헬스미래추진단’의 복지‧돌봄 분야 프로젝트 매니저(PM)로서 초고령사회의 건강수명 향상을 위한 새로운 복지‧돌봄 서비스 혁신 임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분자생물학(학사, 석사), MBA, 기술정책학(박사) 등 다양한 전공을 바탕으로 균형 있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과학기술을 활용한 복지와 돌봄 시스템 혁신을 추구하고자 합니다.
K-헬스미래추진단 합류 전에는 SK주식회사 생명과학그룹(현재 SK바이오팜)에서 Angiogenesis와 Stroke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후 19년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 근무하면서 바이오, 메디컬, 헬스케어 분야의 기술예측, 미래유망기술 발굴,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등이 가져올 미래사회 예측, 통일한국의 국가혁신체계 통합 방안, 과학기술을 이용한 삶의 질 향상 방안, 사회경제시스템 혁신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도전혁신형 R&D 정책 등 다양한 연구 경험을 쌓았습니다. 특히 2018년부터는 과기정통부 사회문제과학기술정책센터 센터장을 맡아 사회적 난제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해결 R&D 정책을 수립하는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보건의료 R&D 분야에서는 2011년 연구중심병원육성사업(R&D) 기획 총괄책임자를 시작으로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회위원회 전문위원, 미래의료원정대 미래예측분과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2018년 이후 현재까지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 연구위원을 맡아 국내 HT 혁신시스템 구축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관심 분야
- Ax 기반 시스템 혁신
- 극초고령사회 대비
- 지속 가능한 돌봄과 복지
- 건강 수명 향상
- 의료와 돌봄의 연계
-
-
소개
이창현 PM은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기기산업학과 교수이며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로 2004년부터 재직중입니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의무장 및 대한흉부영상의학회의 여러 이사역할들을 맡아 왔으며 2017년부터 IWPFI, International Workshop for Pulmonary Functional Imaging, 학회의 board member로 선임되었고 2015년부터 Society of Advanced Body Imaging(SABI, formerly SCBTMR, Society of Computer Body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의 Fellow로 선임되어 국내외 학술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018년에는 의료기관의 방사선량관리 소프트웨어(Dose M)을 개발하여 해외에 수출하여 국내보건의료산업에 기여하였고 진단용 방사선량 측정 및 관리의 전문가로 IAEA에 한국 대표로 수차례 참석하는 등 보건의료산업에 기여한 공로로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최근 주요 연구성과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CT 영상매칭 기술개발을 통한 환경유해인자 노출 폐질환의 구조적 및 기능적 평가' 연구과제의 총괄책임자로서 대규모 연구비를 지원받아 다기관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CT 기반 영상기술 및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폐질환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가습기살균제 및 미세먼지 등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따른 폐질환 발생 및 악영향에 대해 폐 오가노이드, 세포 및 동물에 대한 노출 실험과 CT 영상검사 등의 다층적인 연구였습니다. 특히, 본 연구진이 구축한 흡기-호기 CT 영상 기반 폐질환 코호트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코호트로서, 미국 등 다른 나라의 질환별 코호트와 연계하여 확대된 국제 공동연구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형 ARPA-H의 프로젝트 매니저(PM)으로 임명되어 필수의료 분야의 임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주된 연구분야는 기능적 폐영상을 활용한 다양한 환경성폐질환의 진단과 평가 그리고 만성폐질환에서 컴퓨터유동시뮬레이션, 디지털트윈, AI등을 이용한 영상진단분야입니다.
관심 분야
- 천식
- 만성폐쇄성폐질환
- 폐암
- 필수의료
- 영상진단
- AI
- 디지털트윈
담당 프로젝트
관련 영상
-
사업설명회
-
-
소개
박미선 PM은 첨단바이오의약품, 재생의료, 규제과학 분야에서 25년 이상 축적된 국내외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과 정책, 산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융합형 전문가입니다. 현재 K-헬스미래추진단에서 ‘미정복 질환 극복’ 분야 PM으로서, 희귀·난치질환을 대상으로 한 환자 맞춤형 치료제 개발과 첨단바이오 기반의 중개연구를 중심으로 국가 전략 R&D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부산대학교에서 약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유전독성평가, 유전자치료제 평가기술, 국가독성유전체사업 등을 주도하며 10 여년간 규제과학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이후, 2007 년 미국 뉴저지주립 의과대학 (UMDNJ, 현 Rutgers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 Instructor, Assistant Professor 로 6 년간 재직하였으며, 이어 Columbia University Medical Center에서 Associate Research Scientist로 4년간 근무하며 심혈관계질환기전 및 치료제 개발 연구를 수행하여 다수의 SCI 논문 및 미국생리학회 우수연구자상을 수상하는 등 학문적 성과도 축적하였습니다. 2018년 귀국 이후에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교수로서 iPSC 유래 세포치료제 및 생체재료 기반 비임상연구를 수행하였고, 이후 식약처 첨단바이오융복합연구과장, 한국규제과학센터 기획이사 등을 역임하며 학계, 규제기관, 산업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정책기반 구축을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세포·유전자치료제를 비롯하여 엑소좀, 오가노이드,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자편집 기술 등 신개념 치료제의 품질 기준과 평가기술 확립을 위한 국가 연구사업을 총괄했으며, 다부처 사업 기획 및 민관 협력의 풍부한 실무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미국 FDA, NIH, 일본 PMDA, USP 등과의 국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글로벌 규제조화와 협력 생태계 확산에 기여해 왔습니다.
박미선 PM은 과학기반의 전략 수립능력과 실행력, 현장 중심의 경험을 바탕으로, 희귀·난치질환 환자에게 실질적인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R&D를 기획·추진하여, 국민건강과 미래의료 혁신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관심 분야
- 희귀난치질환
- 심혈관계질환
- 첨단바이오의약품
- 재생의료
- 규제과학
-
-
소개
이창복 PM은 현재 K-헬스미래추진단에서 국가 보건의료 난제 해결을 위한 임무 중 바이오헬스 혁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30년 이상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에서 근무하면서 전자기기 연구소를 시작으로 DVDR 및 Digital 프린터 개발에 기여하였고 그룹웨어를 도입하여 연구소 운영의 효율화를 추진하였습니다. 인사기획에서는 핵심역량 확보형 조직운영을 위한 Matrix 조직 운영체계와 연구원 육성을 위한 Fellow, Master 제도를 처음 도입하여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습니다.
2013년 국내 과학기술계의 변화와 혁신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삼성 미래기술 육성사업을 공익사업으로 설계하고 기초과학, 소재기술, ICT 창의의 3대 프로그램을 착수하고 ICT 팀장을 역임하면서 250여개의 과제 선정 및 2천6백여 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고 관리하여 명실상부 젊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가장 받고 싶어하는 R&D 펀드로 자리매김 되었습니다.
이같은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K-헬스미래추진단이 추구하는 보건의료 난제해결을 위한 바이오 헬스분야 초격차 기술확보에 창의와 도전의 혁신 아이디어를 모으고 실패를 두려워 않는 연구개발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관심 분야
- Digital Biohealth
- Medical Twin
- 시스템 생물학
- Quantum B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