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정복질환 |
알엔에이진(RNAGENE.COM) |
"다양한 mRNA 설계와 제조 기술과 경험 보유한 전문 기업"
-2022-25년, 23 기관에서 107 주문, 총 672mg mRNA-LNP 합성서비스 진행중
-질병청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면역증강형 mRNA 백신 개발,범용 코로나바이러스 mRNA 백신개발 참여
-보산진 국가백신·원부자재 성능평가 지원사업, 보복부 신변종 감염병 대응 mRNA 백신 개발수행
-mRNA 백신 유효성 평가 SARS-CoV-2, Zika 바이러스
-mRNA 합성 핵심 기술 구축
-LNP 기반 mRNA 전달 기술 확립 |
"mRNA 제조 합성의 최적의 파트너"
-mRNA 백신 구조체벡터플랫폼과 전달체에 대한 기술과 특허보유
-양쪽 UTR, PolyA Tail,Signal Peptide 최적화 기술 안정성, 번역 효율, 지속성을 극대화
-RNA Panning in Cell 기술을 통한 mRNA 안정성 향상
-Target-specific delivery of LNP, Targeted Antigen Presentation to Dendritic Cells 기술
|
기업 |
mRNA 설계와 제조를 필요하는 기업, 연구소, 대학 및 병원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자사의 백신 구조체(플랫폼 벡터)를 제공하여 최적의 구조체와 전달체 개발 혹 개선에 기여
-비컨소시엄 고객이나 제 3자가 필요로 하는 mRNA 설계와 제조 업무
-우수한 품질의 mRNA 합성: 중-대용량(~ 수십 mg) mRNA 생산부터, 고정밀 합성까지 다양한 니즈에 맞춰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
-자사의 RPiC 기술을 적용하여 항원 서열 최적화
추가 자료요청과 문의는 MK at RNAGENE.COM.
|
보건안보 |
에이비온(Abion Inc.) |
에이비온은 항암제 및 감염병 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코스닥 상장 신약개발 기업으로, 글로벌 임상 및 비임상 연구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며 연구개발 역량을 입증해왔습니다. 본 기관은 방위사업청 및 국방과학연구소와 여러 사업을 수행하며 생물재난을 대비한 전 주기 치료제 개발 경험을 축적한 바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종 감염병에 대한 신속 대응이 가능한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이는 향후 글로벌 감염병 시장에서 선도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
ABN101은 당쇄 부가 기술이 적용되어 기존 인터페론-베타의 단점들이 극복된 바이오베터로, 높은 생물학적 활성과 생산성을 갖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양한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해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흡입형 분말 제형으로 개발되어 비입원 환자 및 고위험군이 손쉽게 자가 투약할 수 있는 범용 항바이러스 치료제로서 개발되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마땅한 치료제나 백신이 없는 신종 및 변종 바이러스 유행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감염으로 인한 중증화 진행을 막는데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합니다. |
대학 |
감염병의 중증화 및 사망은 감염원에 대한 숙주의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인한 장기 손상 및 패혈증성 쇼크에 기인하나, 이를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는 부재하여 대부분 대증요법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단일 약물로는 다양한 사이토카인 발현을 동시에 조절하는 데 한계가 있어, 전신 염증을 억제하는 면역조절제와 항바이러스제 ABN101의 병용 전략이 요구되며, 면역학 및 감염병 병태생리에 전문성을 보유한 기업 또는 대학 연구진과의 협력을 통해 치료제 개발의 과학적 근거를 강화하고자 합니다. |
보건안보 |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HYUNDAI BIOSCIENCE CO., LTD.) |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해 혁신적인 약물 전달기술을 기반으로 개량신약을 개발하는 바이오테크 기업입니다. 2000년에 설립된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독점적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기술과 폴리머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 약물의 적응증을 확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범용 항바이러스 치료제 XAFTY®와 무고통 항암제 폴리탁셀, 기존 항암제의 종양 내 전달을 개선하는 병용 항암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광범위 항바이러스제 XAFTY®는 숙주세포에 작용하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입니다. 원료의약품의 낮은 생체이용률을 약물전달 기술로 개량한 XAFTY®는, 16개 바이러스과科에 대한 광범위 항바이러스 효과를 생체 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약물입니다. 300명의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임상 2상을 완료하여 XAFTY®의 안전성을 입증했습니다. XAFTY®의 인플루엔자 등 적응증 확장을 위해 미국 NIAID와 3건의 in vivo 유효성 평가를 진행 중에 있으며, 베트남 보건부에 뎅기열 임상 2,3상을 신청 심사 중에 있습니다. |
연구소 |
미래 팬데믹 유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의 중증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감염증 중증화 모델을 개발, 확립한 후 과제를 통해 개발될 광범위 항바이러스제의 중증화 억제효과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과 협력을 구합니다. 소동물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 모델개발 경험이 있거나 감염증 중증화 모델개발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으신 기관의 연락을 기다립니다. |
보건안보 |
한국파스퇴르연구소(Institut Pasteur Korea) |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한-프 과학기술 협력의 일환으로 설립된 감염병 중심 연구기관입니다. 연구진은 최첨단 융합기술과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감염병의 발생 기전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제와 예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글로벌 공중보건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선진 연구개발 인프라와 축적된 역량을 활용하여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중개연구를 수행해 연구 성과의 실용화를 촉진합니다. 또한, 초고속·대용량스크리닝 등 연구소의 핵심기술과 노하우를 국내외 의과학계와 공유하여 감염병 및 신약개발 연구를 가속화합니다. |
1. 기초 및 중개연구 기반 다학제적 융합 연구를 통한 신종감염병 대응 신약개발 가속화 연구 수행
2. 감염병 핵심 연구인프라ABSL2, ABSL3 등 및 전문성 기반, 바이러스·질병 특성 분석 및 신종감염병·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치료제·백신·진단 개발
3. 세포 기반 및 이미지 기반 초고속 대용량 스크리닝 기술을 통해 혁신적인 신약 후보물질 발굴 |
연구소 |
. |
보건안보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Department of Microbi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바이러스 관련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인프라를 토대로 COVID-19, MERS-CoV, influenza virus, SFTSV, hantavirus 등 RNA virus에 대한 생물학적 특성항원성 변이, 병원성, 전파력 분석 등 분석, 저분자화합물 또는 핵산 기반 항바이러스제 및 백신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
|
1) Virus Genome analysis with NGS technique
2) Synthetic virologyreverse genetic system
3) HTS image analysis
4) in vitro and in vivo analysis for highly pathogenic viruses using ABSL-3 facility
5) Innate and TB cell immunology
6) Human organoid technology for virus infection |
대학 |
AI-ML Bioinformatics |
보건안보 |
한국형 ARPA-H 추진단(K-Health MIRAE Initiative) |
한국형 ARPA-H 보건안보 감염병 팬데믹 대응 분야 담당
- '24년: 백신 관련 초장기비축기술, 탈집중화 생산기술 사업 발주
- '25년: 감염병 치료제 관련 "중증화 억제 치료제" 개발 사업 발주 예정 |
감염병 팬데믹 대응 중증화 억제 치료제 개발
- 기본 기술 1 : 광범위 항바이러스제
- 기본 기술 2 : 면역조절제
- 확장 기술 1: 신속개발 생산 가능 기술
- 확장 기술 2: 경구투여 등 처치 용이 치료기술
기본 기술 중 최소 1종을 대상으로 위의 개념에 맞는 "중증 억제를 위한 치료제" 개발 연구개발 대상 사업 |
기업 |
-실제 팬데믹 상황에서의 치료제 개발, 공급을 목표로 하므로 관련 기업의 참여 필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