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중심병원 지정기관삼성서울병원주요기술
주요기술
1유닛
미숙아 난치 질환 치료용 세포치료제
개발자
장윤실 교수(소아청소년과,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장) 삼성서울병원
기술개요
신생아 난치성 질병 극복을 통한 생존율을 높이는 세포치료제
기술설명
- 미숙아의 만성 폐질환 치료를 위한 인체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 세계 최초 연구자 임상 1건 및 추적 임상 2건
- 미숙아 뇌실 내 출혈에 대한 치료제로 확대 적용중
기술특징
- 신생아 난치성 뇌질환 탯줄 유래 줄기세포 재생치료제 기술이전 IND 승인, 상업화 임상 1상 시험 실시
활용분야
만성 폐질환, 뇌출혈, 뇌졸증,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등 미숙아 난치성 질환 치료
차세대 줄기세포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자
나덕렬 교수(신경과), 김희진 교수(신경과), 삼성서울병원
기술개요
치료 효능이 증진된 알츠하이머병 줄기세포 치료제
기술설명
- 줄기세포 전처리 배양법을 통해 치료 효능이 증진된 차세대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
- 최적 투여 경로 확보 방법 및 줄기세포 추적기술
기술특징
- 전두측두치매 치료제(이티스템)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계획 승인, 진행 중
활용분야
알츠하이머, 뇌졸증 등 난치성 뇌질환 치료
신경계 희귀난치성 질환 맞춤형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자
최병옥 교수(신경과), 삼성서울병원
기술개요
유전성 운동감각신경 질환에 대한 원인 유전자 규명을 통해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기술설명
- 유전성 운동감각신경 질환 원인유전자를 활용한 바이오마커 및 유전자 진단칩 개발
- 중간엽 줄기세포를 활용한 신경 재생치료제 개발
기술특징
- 세계적 수준의 신경계 희귀질환 유전체 DB 구축 및 진단 기술 확보
- 샤르코 마리 투스병 치료제 기술이전
활용분야
신경계 희귀난치성 유전질환 진단 및 치료
2유닛-1주간
K-MedStation
개발자
박준오 교수(혈액종양내과, 정밀의학혁신연구소장), 삼성서울병원
기술개요
임상정보 및 노하우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선순환 통합 플랫폼 구축
기술설명
- 제한적 임상 인프라 활용으로 인한 절단된 데이터 시스템 등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방형 통합지원 플랫폼의 필요에 의해 개발
- 국내 기업 중심의 혁신적 면역치료법 및 치료제 성공률 제고를 통해 암 면역·세포·대사 치료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 개발
기술특징
- SMC 특화 임상/연구 인프라를 통한 통합솔루션 : 민간 주도 신약개발 및 병원 주도 자체 면역특화 신약 개발을 지원하는 개방형 통합 지원 면역정밀의료 통합솔류션
- ACCA(Academic CureCancer Accelerator) 프로젝트 : 병원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최적의 임상 개발 전략을 제공하여 국내 기업 중심의 혁신적 치료제 개발 성공률 제고
- 3대 모듈 운영 : [네이게이션 모듈] 면역불응성 환자의 다중오믹스 분석 기반 혁신적 치료기술 개발 [밸류-업 모듈] 임상적 검증 및 개발 고도화를 통한 신의료기술 개발 추진 [사업화 모듈] 연구성과물의 사업화를 통한 자립화 기반 확보
활용분야
환자 맞춤 면역치료 성적 향상 및 K-BIO 산업 글로설 성장 지원
2유닛-2주간
Multiplexing 기반 high throughput scRNA-seq 플랫폼 구축
개발자
박웅양 교수(삼성유전체연구소장), 삼성서울병원
기술설명
- 다양한 샘플을 pooling 하여 수만개의 단일세포를 동시에 분석하는 scRNA-seq multiplexing 분석 기술
- Genotype 정보를 바탕으로 샘플의 ID를 동정하는 기술
- 세포 당 50개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s) 으로 95% 이상의 정확도로 샘플의 ID 동정이 가능하며, genotype data를 활용하여 99% 이상의 정확도로 단일세포 동정 가능
- 다수의 연구과제를 통해 400여건의 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high throughput scRNA-seq 플랫폼의 데이터 품질에 대한 검증 완료
기술특징
- 항체를 비롯한 additional tagging 없이 genotype 정보를 바탕으로 샘플의 ID를 동정하는 label-free 기술로써, label tagging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가 없는 기술
- 최대 16종의 샘플을 동시에 러닝 가능한 기술로 분석 비용이 최대 25% 수준으로 감소
- 서로 다른 환자 유래의 많은 샘플을 pooling 하여 동시에 러닝을 진행함으로써 샘플간 batch effect를 줄일 수 있음
활용분야
대용량 단일세포 유전체분석
2유닛-3주간
새로운 면역조직화학염색 셋업 및 디지털병리시스템을 활용한 판독법 개발
개발자
김경미 교수(병리과), 삼성서울병원
기술설명
- 새롭고 다양한 면역조직화학염색 을 셋업하는 것은 상당한 노하우와 팀웍이 필요
- 면역 염색된 슬라이드를 디지털화하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판독하는 것은 많은 인프라와 지식, 그리고 노하우가 필요한 일로 맞춤정밀진단센터에서 개발된 디지털병리시스템을 활용한 판독법은 새로운 진단 및 치료 타겟 단백질 분야를 선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발됨.
- 다수의 연구과제를 통해 2,000여건의 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한 임상적 유용성 및 데이터 품질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고 있음
기술특징
- 다양한 항체에 적용 가능
- 다양한 약제에 적용이 가능하고 update 가 가능함
- 실제 임상 샘플을 이용하여 연구용의 한계 극복 가능
활용분야
- 동반진단법 개발에 이용가능
- 새로운 약제의 바이오마커로 활용 가능
- 약품 개발 전 실제 임상 샘플을 이용한 검증
2유닛-4주간
Cryobiopsy tissue derived Lung Cancer Organoid Bank
개발자
정재욱 교수(호흡기내과), 충남대학교 병원
기술설명
- Cryobiopsy(급속냉동조직검사)을 이용한 폐암 오가노이드 뱅크를 구축함.
- 현재까지 폐암 오가노이드는 대부분 수술 조직을 사용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실제 항암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서 폐암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데에는 제한이 있었음.
- 본 연구팀은 폐암 검체를 얻기 위해 급속냉동 조직검사를 사용하고, 조직 처리 과정을 최적화하여 폐암 조직검사 검체를 사용한 폐암 오가노이드 배양의 성공률을 크게 향상시켰음.
- 이 폐암 오가노이드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징 분석, 단일 세포 RNA 서열 분석, 약물 스크리닝 등 폐암 오가노이드의 과학적 검증 및 임상적 활용을 위한 전체 프로세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함.
기술특징
- 기관지초음파내시경을 이용해 폐암의 중앙부에서 조직을 얻기 때문에 cancer cell purity가 높은 폐암 오가노이드를 제작할 수 있다. 급속냉동 조직검사 검체를 사용한 종양 오가노이드 배양은 본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앞으로 수술 조직이 아닌 조직검사 검체를 사용한 폐암 오가노이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선도적인 연구로 평가받을 것으로 기대됨.
- 참고) Cryobiopsy: A Breakthrough Strategy for Clinical Utilization of Lung Cancer Organoids, Cells 2023, 12(14), 1854
활용분야
- 폐암 개인 맞춤형 정밀 치료
- 폐암 약제 스크리닝, 약제 효능 및 독성 분석
2유닛-5주간
기술 실용화 촉진을 위한 개방형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및 활용
개발자
유규하 교수(기술사업화실장), 삼성서울병원
기술개요
기술사업화 추진체계 확립 및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기술설명
- 수익모델 확장 및 사업화 성과 창출
- 임상 실용화, 사업전략 고도화 및 자립화 기반 구축
기술특징
-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기술발굴, 사업화, 네트워크, 역량강화 기능 확립
- 수익모델로 기술이전, 창업, 연구플랫폼서비스, 공동연구 설정
- 수익의 연구 재투자를 통한 연구 선순환 체계 확립을 목표로 함
활용분야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3유닛
기술 실용화 촉진을 위한 개방형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및 활용
개발자
전홍진 교수(정신건강의학과, 디지털치료연구센터장), 삼성서울병원
기술개요
환자 유래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디지털치료기기
기술설명
- 의학적 장애나 질병을 예방∙관리∙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 치료적 중재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Software as a Medical Device, SaMD)
-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치료효과를 입증하고, 임상시험 등 의학적 근거와 허가 당국의 승인 필요
기술특징
- 실시간 기반의 환자 상태 모니터링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인구고령화 및 만성질환 관리 등 효과적인 치료 수단 및 의료 전달체계 접근성 보완 기대
활용분야
당뇨, 비만, 정신건강, 수면 등 만성질환 및 생활습관 관리 등
전자약
개발자
손영민 교수 (신경과, 스마트헬스케어연구소장), 삼성서울병원
기술개요
만성∙난치성 질환 극복을 위한 개인 맞춤형 지능형 전자약 개발
기술설명
- 전기 및 자기장, 초음파 등 자극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는 혁신적인 디지털헬스케어 기술
- 4차 산업기술을 기반으로 뇌신경, 만성통증, 수면, 비뇨기 질환, 소화기 등 다양한 질환에 활용
기술특징
- 기존 합성 의약품과 달리 특정 부위 및 표적 장기에 선택적 작용을 통한 부작용 최소화
- 환자의 증상 변화를 실시간 감지 분석을 통해 실시간 개인 맞춤형 치료 가능
활용분야
뇌전증, 파킨슨, 배뇨장애, 정신건강 등 만성∙난치성 질환 활용
4유닛
희귀난치성 신경 유전질환 치료를 위한 DB구축
개발자
이지훈 교수(소아청소년과, 희귀질환센터장), 삼성서울병원
기술개요
다양한 희귀, 난치 신경 유전질환 환자 정보를 포함한 DB 구축
기술설명
- 변수 정의 후 시뮬레이션을 통한 알고리즘 도출과 모니터링을 통한 개선점도출을 통해 DB 구성
- 원내 환자정보 데이터 정제 후 구성한 데이터 저장소를 재처리 하여 DB 재구성
기술특징
- 증가분 자동 적용 및 유전자 데이터 충실도 모니터링으로 향상된 품질의 DB 확보
활용분야
듀센 근디스트로피와 같은 희귀난치성 신경 유전질환 진단 및 치료
희귀난치성 망막변성 유전질환 치료를 위한 유전자치료제
개발자
김상진 교수(안과), 삼성서울병원
기술개요
유전자 변형 바이러스를 이용한 희귀난치성 망막변성 유전자치료제
기술설명
- 항원형 선정 후 유전자 변형을 통해 바이러스의 안구 특이적 전달 최적화
- 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망막하 전달 in vivo 적용
기술특징
- 아직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는 유전성 망막변성증에 대한 새로운 치료 가능성 제공
활용분야
희귀난치성 망막변성 유전질환 치료
T림프구성 백혈병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개발자
조덕 교수(진단검사의학과), 삼성서울병원
기술개요
T림프구성 백혈병에 대한 생체 외 유전자 치료제
기술설명
- T림프구성 백혈병 CAR-NK 세포용 CAR construct 제작
- T림프구성 백혈병 생체 외 유전자 치료제 타겟 선정 진행 중
기술특징
- 유전자 도입 CAR-NK 세포 활용한 T림프구성 백혈병 치료 가능성 제공
활용분야
T림프구성 백혈병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