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중심병원 지정기관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기타
기타
분당차병원의 특화된 우수인력 양성제도
기초-임상 중개연구를 수행할 우수한 연구중심 임상교수를 양성하기 위하여 1년간 기초연구자와 국내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기초연구를 익히고, 2년간 해외의 유수대학 및 연구기관으로 연수 지원
연구특전교수 지원 내용
- 기초-임상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를 수행할 우수 연구특화교원 총 17명 선발(2016년)
- 전원 조교수 발령 및 2년간 해외연수 지원
- 2015년부터 전원 실험실 및 연구원 지원
- 원내 연구비 지원으로 연구환경 개선
- 우수한 연구성과 창출(Cancer cell, Hepatology, Stem cells 등)
- 1년 PhD 연구실에서 기초-임상 중개연구진행
- 연구중심병원 2단계 동안 총 25명까지 연구특전교수 확대 선발 목표
연구특전교수 주요 연구분야
성명 | 소속 | 주요연구분야 |
---|---|---|
김미나 | 소화기내과 | 진행성 간세포암의 표적치료제 개발 |
이윤빈 | 소화기내과 | 줄기세포 치료제 및 항암 면역 치료제 개발 |
김미영 | 소화기내과 | 재발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 발굴과 항암치료제 개발 |
유준환 | 소화기내과 | 염증성 장질환 및 장 섬유화 치료제개발 |
이주호 | 소화기내과 | 간암의 면역세포 치료, 간암 유전체 및 단백체 연구 |
하연정 | 소화기내과 | 간세포암의 면역 치료 및 간세포암의 발생 및 진행 기전 연구 |
조유리 | 소화기내과 | B형 간염바이러스 완치 치료제 개발 및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
김상훈 | 심장내과 | 중증하지허혈증에서 줄기세포 치료 연구 |
이소영 | 신장내과 | 만성 콩팥병에서 단백질 분해 조절 효소를 이용한 신규 바이오마커 발굴 및 콩팥 섬유화 기전 규명 |
이미정 | 신장내과 | IGFBP3 의 신장 섬유화 매개 효과 2) 합성 신약을 기반으로 한 당뇨병성 신증의 치료제 개발 |
정상윤 | 류마티스내과 | 류마티스관절염 병인 연구 및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
오지수 | 혈액종양내과 | 대장암 환자 및 일반인에서 대사증후군 및 섬유소용해계, 혈소판을 통한 병의 기전 연구 |
김찬 | 종양내과 | 암미세환경 정상화를 통한 효과적인 항암 치료법 개발 |
전홍재 | 종양내과 | 위암의 항암면역 치료법 개발 및 내성 인자 발굴 |
임선민 | 종양내과 | 원발성 삼중음성유방암에서 선행보조요법에 대한 반응성 예측을 위한 연구 |
오창명 | 내분비내과 | 베이지/갈색 지방 세포 활성화 기전 연구 |
김정현 | 호흡기내과 |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Regulation of Endothelial Barrier Function, Organ Failure |
이순철 | 정형외과 | stem cell 기반 bone generation 연구 |
최원철 | 정형외과 | Stem cell-hydrogel Composite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cartilage defect 치료 |
박광환 | 정형외과 | 중간엽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차세대 골다공증 치료제의 개발 |
손세일 | 신경외과 | 전이성 척추 종양에서 면역세포 치료제 (Autologous killer cell) 요법 연구 |
조두연 | 임상약리학과 | 초기임상시험 |
이지연 | 가정의학과 | 메타지노믹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한 인체 유전자와 공생 미생물 유전자간의 상호작용 연구 |
이지연 | 산부인과 | 조기진통 예측방법 및 바이오마커 발굴 조기진통 치료제 연구 |
최승아 | 산부인과 | 임상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예측 모형 개발, 2차 자료를 이용한 성과 평가 연구 |
김소영 | 이비인후과 | 난청치료제 개발, 유전성 난청 돌연변이 분석, 전정질환 |
허영은 | 신경과 | 만성/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에서 줄기세포 치료 |
김희정 | 진단검사의학과 | 분자유전학/유전체학을 이용한 희귀질환의 원인 유전자 규명 및 새로운 원인 유전자 발굴 |
김세화 | 병리과 | 항암제 내성 난소암 치료를 위한 PI3K/mTOR dual inhibitor 효능 검증 연구 |
김보라 | 정신건강의학과 | 구조적 뇌영상 분석 연구,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
최경화 | 비뇨기과 | 차세대 고환유래 인간줄기세포와 신경전구세포 병합을 통한 발기부전 세포치료법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