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중심병원 지정기관

home >연구중심병원 지정기관>서울아산병원>주요기술

주요기술

방사성의약품

개발자

김재승, 오승준 외, 핵의학과

기술개요

방사성 의약품 신약 및 제조기술특허

기술설명

핵의학 검사 및 치료에 사용되는 방사성의약품 신약개발 플랫폼과 방사성의약품 제조기술 개발 및 특허 취득을 통한 기술 사업화와 수출

기술특징

  • 병원이 주체가 되어 정밀의학을 실현할 수 있는 분자영상용 방사성의약품 신약개발 및 임상시험기술 플랫폼 구축으로 방사성의약품 신약 품목허가 취 득 및 사업화 촉진
  • 방사성의약품 제조 신기술 개발을 통한 제조원천기술 특허취득과 방사성의약품 신약 사업화 활용 및 라이센싱을 통한 기술 수출

활용분야

치매, 파킨슨병, 심혈관 질환, 암 진단 등

연락처

  • 담당자 : 오승준 교수
  • 소속 :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연락처 : 02-3010-4595

항암제 바이오마커

개발자

진동훈 외, 융합의학과

기술개요

대장암 항암제 개발을 위한 바이오마커

기술설명

  • p34의 발현억제제 또는 활성억제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치료 또는 전이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p34-NEDD4-1 결합저해제 개발을 통한 신규 항암제 개발

    - NEDD4-1 단백질과 p34 단백질의 결합을 저해하여 PTEN 종양 억제 유전자를 재활성화 시키는 신규 항암제
  • PARP 및 탄키라제 동시 저해제에 대한 감수성 결정 방법

    PARP 및 탄키라제 동시 저해제에 대한 바이오마커 발굴

    - 대장암에서 PARP 및 탄키라제 동시 저해제에 대한 바이오마커 기반으로 한 효능 분석
  • PARP 저해제에 대한 감수성 예측용 신규한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대장암에서 PARP 저해제에 대한 바이오마커 발굴

    - 대장암에서 바이오마커 기반으로 한 PARP 저해제에 대한 효능 분석
  • EGFR-표적제제에 대한 감수성 예측용 신규한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대장암에서 EGFR 표적제제에 대한 저항성 관련 유전자 발굴

  • MET 저해제에 대한 감수성 예측용 신규한 바이오 마커 및 이의 용도

    위암과 비소세포폐암에서 MET 저해제에 대한 바이오마커 발굴

기술특징

  • p34의 발현억제제 또는 활성억제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치료 또는 전이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2015년 초당약품공업 기술이전, 국내 특허 & 국외 (미국, 중국, 일본, 유럽) 특허 출원)

    기존에 개발중인 표적항암제들은 개발 후에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것에 비해, p34와 NEDD4-1의 결합저해제는 p34, NEDD4-1 이중 양성과 PTEN wild type 환자군이라는 확실한 바이오마커와 환자 선택성이 있음. p34와 NEDD4-1 결합만을 저해하는 화합물을 개발해야 함.

  • PARP 및 탄키라제 동시 저해제에 대한 감수성 결정 방법
    (2015년 국내 특허 출원, 2015년 제일약품 기술이전, 시스템통합항암신약개발사업단 과제 진입하여 진행 중)

    PARP 및 탄키라제 동시 저해제를 대장암에서 적용하고자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에 따른 약물의 효능을 비교 분석함. 발굴한 바이오마커에 따른 약물의 효능을 분석하였고, 현재 진단법을 구축 중에 있음.

  • PARP 저해제에 대한 감수성 예측용 신규한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2014년 국내 특허 출원, 2015년 PCT 출원, 산업통상자원부 과제 진행 중)

    대장암에서 PARP 저해제에 바이오마커가 현재 까지 보고된 바 없음. 신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한 약물의 효능을 비교 분석하였음. 또한, 발굴한 바이오마커에 대한 환자 샘플에서의 분석을 진행 중에 있으며 환자 유래 동물 모델에서 약물의 효능을 분석할 예정에 있음

  • EGFR-표적제제에 대한 감수성 예측용 신규한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2014년 국내 특허 출원, 2015년 PCT 출원)

    EGFR 표적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는 환자의 치료를 위해 신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약물의 효능을 분석하였음. EGFR 표적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는 세포주를 이용하여 발굴한 바이오마커에 따른 약물의 효능 차이를 in vitro & in vivo에서 확인함. 발굴한 바이오마커에 대한 환자에서 발현 비율을 분석 중에 있고, 이를 이용하여 환자군 선별을 한다면 현재 문제가 되는 EGFR 표적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MET 저해제에 대한 감수성 예측용 신규한 바이오 마커 및 이의 용도
    (2014년 국내 특허 출원, 2015년 PCT 출원)

    MET 저해제에 대한 HGF-independent pathway에서 바이오마커로 현재까지 제시된 부분이 없음. 따라서 HGF-independent pathway에 적용할 수 있는 system에서 관련 단백질을 발굴하였음. 이를 바탕으로 위암과 비소세포폐암에서 분석한 결과 발굴한 바이오마커에 따라 약물의 효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음. MET 저해제에 대한 위암과 비소세포폐암에서 적용가능한 환자군 설정에 기반이 되는 결과가 될 수 있음.

활용분야

대장암

연락처

    • 담당자 : 진동훈 교수
    • 소속 :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연락처 : 02-3010-2643
    • E-mail : inno183@amc.seoul.kr
    • 담당자 : 문재희 교수
    • 소속 : 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
    • 연락처 : 02-3010-4145
    • E-mail : moonjaihi@gmail.com

중재시술용 의료로봇

개발자

  • 영상중재시술로봇 – 서준범 외, 영상의학과, 의공학연구소
  • 혈관중재시술로봇 – 김영학 외, 심장내과, 의공학연구소

기술개요

  • 바늘삽입형 영상중재시술 보조로봇시스템
  • 부정맥 절제술 및 심장혈관중재시술 보조로봇시스템

기술설명

  • 바늘삽입형 영상중재시술 보조로봇시스템 의료영상을 이용하여 흉부/복부 등에 위치한 병변에 로봇을 이용한 바늘삽입 생검및 약물과 전극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로봇시스템
    • 중재적 시술은 대표적인 최소침습형 의료기술로서 광범위한 분야의 적용이 가능한 Theragnosis (치료(Thergpy) + 진단(Diagnosis))형 신의료기술로 급속한 발전 중
    • 생검 및 고주파/냉동/알콜치료 등 바늘삽입 시술용 중재시술을 다차원 의료영상 정합 및 유도기술을 이용하여 복부 및 흉부 장기의 1cm급의 병소에 정확히 타겟팅 할 수 있는 환자 및 시술자 방사선 노출 저감형 Master-Slave 타입의 중재시술 로봇 시스템
    • 기존 시술에 비해 신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수술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여 시술자 및 환자의 피폭을 줄이고, 기존 기술로는 접근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병소 부위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환자의 생존율과 수술 후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수술 로봇 시스템을 지향
  • 심혈관 중재시술 보조로봇시스템

    카테터를 이용한 심장혈관중재시술에서 기존의 수작업 방식이 아닌 원격제어형 로봇화 시스템으로 시술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높여 환자의 치료 효과를 높이고 시술 중 인체 내 모니터링을 위한 방사선 장치 사용 시 원격제어 방식으로 시술자의 피폭 유해 요인을 없애고 보다 효율적으로 시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 날로 급증하는 심혈관 질환에 대응하는 미래형 치료기법으로 안전성 및 제반 환경이 갖추어지면 원격의료 형태로 지역의 경계를 넘어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다양한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음

기술특징

  • 원격제어로봇 기술로 시술자가 직관적으로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시술도구 제어 가능
  • 시술 시간 단축, 시술 정확도 제고, 고난도 해부학적 구조 접근 등 환자 치료 효과 향상
  • 시술자의 방사선 노출을 저감시켜 환자의 시술에 보다 안전하게 집중할 수 있음
  • 환부 조직의 물리적 반발력을 실제와 같이 촉감하여 시술 작업 정확성 높임
  • 고자유도 로봇형 카테터 (개발 중) 및 혈관영상시스템 등과 결합하여 고난도 시술 가능

활용분야

  • 영상중재시술로봇 – CT/CBCT 유도하 생검, 고주파 시술 등
  • 혈관중재시술로봇 – 부정맥 고주파 절제술, 스텐트 삽입 등 혈관 중재시술, 판막 성형 등 심장 중재시술 등

연락처

    • 담당자 : 서준범 교수
    • 소속 : 영상의학과
    • 연락처 : 02-3010-4355
    • E-mail : seojb@amc.seoul.kr
    • 담당자 : 김영학 교수
    • 소속 : 심장내과
    • 연락처 : 02-3010-3955
    • E-mail : mdyhkim@amc.seoul.kr

췌장암 특이적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 기술

연구자정보

의생명과학교실 장수환 교수

기술응용분야

염증성 피부질환(건선, 아토피), 색소질환, 피부노화, 피부종양

지식재산권 현황

  • KR 10-2021-0076705 (한국 출원)
  • PCT/KR2021/007673 (PCT 출원)

기술개요

  • 본 기술은 췌장암 특이적 단백질을 발굴하여 이에 대한 항체를 스크리닝
  • 환자유래 전임상모델에서 암 성장 및 전이 저해 유효성을 확인
  • 작용기작으로 췌장암에서 빈번히 활성화 되는 EGFR/Myc 신호를 저해

기술 주요 DATA

Gal-3BP의 발굴 및 췌장암 과발현 검증

단백체 기법을 이용하여 췌장암에서 과발현된 단백질 Gal-3BP를 발굴 (A,B), primary tumor(C) 및 TMA (Tissue micro-array (D)), 환자유래 Plasma 에서의 과발현 검증(MRM으로 정량)

Gal-3BP의 암 성장 및 전이 기능 규명

췌장암 세포에서 Gal-3BP의 발현 저해시(A) 암 발생(C) 및 성장이 억제됨을 확인(B,D,E). 또한 마우스 모델에서의 폐전이 감소를 확인(F, G)

암 억제 기전 규명(EGFR-Myc신호 전달의 저해)

Gal-3BP 발현 저해 시 EGFR activation이 감소됨을 확인(A), 반대로 Gal-3BP를 추가로 공급 시 EGFR신호가 더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B). EGFR이 없을 경우 하위 인자인 Myc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C)

Gal-3BP 항체의 발굴 및 Efficacy test 및 Humanization

  • Phage display를 통해 Gal-3BP 항체를 발굴하고 ELISA, IP를 통해 특이적 결합을 확인. 췌장암 전임상 모델에서 Gal-3BP의 항체처리시 암 성장(A) 및 암 전이(C)가 억제됨을 확인
  • 이를 근거로 항체의 Humanization을 진행하여 결합력 및 효능이 유사한 항체를 확보(D, E)
  • 현재 Humanized 항체의 Affinity maturation을 진행중

시장동향

  • 췌장암은 1인당 비용부담이 두번째로 크고, 2030년에는 가장 많은 사망자를 초래하는 암으로 예상됨
  • 세계췌장암 치료 시장은 고령 인구 증가, 췌장 종양 발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는 연평균 10.64% 성장하여, 2023년에 41.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췌장암은 현재 표적치료제가 없고 항체 의약품도 사용되고 있는 것이 전무할 정도로 신약개발이 미진한 관계로, 수술적 치료법 이외의 치료제 및 치료효과 증대 기술은 지속적 요구되는 상황임

마이크로바이옴 균주를 이용한 장 기능 개선 및 장 손상 치료제

연구자정보

융합의학과 권미나 교수

기술응용분야

  • 장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 분야
  • 장 기능 개선(장 줄기세포의 증식 및 분화 조절 / 장 재생 / 장 항상성 유지)

지식재산권 현황

  • KR 10-2309911 (한국 등록)
  • PCT/KR2021/005747 (PCT 출원)

기술개요

  • Akkermansia muciniphila 의 장 손상 예방 및 장 재생 효과 확인
  • 건강한 인간의 분변에서 신규 A. muciniphila AK32 균주 분리 및 동정
  • 기존의 A. muciniphila 표준 균주 대비 우수한 장 재생능 확인
  • A. muciniphila AK32 유래 SCFA(short-chain fatty acid)에 의한 장 재생 개선 확인

기술 주요 DATA

  • A. muciniphila 의 장 상피세포 분열 촉진을 통한 장 손상 예방
    • A. muciniphila 를 투여한 마우스에 방사선 조사 및 Methotrexate를 처리하여 장 상피세포 손상을 유도함 (a)
    • A. muciniphila 를 투여한 경우, 장 손상 정도가 완화되었음 (b)
    • A. muciniphila 를 투여한 경우, 장 손상 정도가 완화되었음 (b)
  • A. muciniphila 는 항암치료 등에 의해 빈번히 발생하는 장 손상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후보 물질
  • A. muciniphila AK32 균주의 우수한 장 재생능 확인
    • 기존의 A. muciniphila 표준 균주 대비 우수한 장 재생능을 보유한 건강인 유래 신규A . muciniphila AK32 균주를 분리함 (a)
    • 우수한 장 재생능은 A. muciniphila AK32 균주가 생성하는 SCFA에 의해 유도되는 효과임을 확인함 (b)

시장동향

  • 글로벌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2021년 기준 1,050억 달러 규모이나, 글로벌 시장 기준 연 평균 9.7%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 1,51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2021년 8,420억 원 규모로 집계되어, 2017년부터 약 2배 이상 성장하였음

진단시점의 혈액을 이용한 유방암 예후 예측 및 약물반응성 예측 바이오마커

연구자정보

융합의학과 김경곤 교수

기술응용분야

  • 진단용 기기, 진단 키트
  • 항암치료 동반진단

지식재산권 현황

KR 10-2021-0170198 (한국 출원)

기술개요

  • 유방암 선행항암치료의 반응군과 비반응군을 치료전에 구분할 수 있는 3종의 혈장 단백질 조합을 개발
  • 현재 선행항암 치료 효능을 예측할 수 있는 진단법은 없음
  • 치료 전 소량 (50ul)의 혈장 시료를 이용하여 본 기술의 3종 단백질 조합을 정량하여 비반응군과 반응군을 구분

기술 주요 DATA

  • 유방암 선행항암 전 혈액 분석을 통한 예후 예측 마커 발굴
    • 유방암 선행항암 비반응군 36명, 반응군 15명의 혈장 단백체를 고분해능 질량분석기로 정량분석
    • PLS-DA 분석/Volcano plot 분석을 통해 contributor 4종을 선별
    • Feature selection 분석을 통해 최종 3종의 단백질을 선별하여 model을 구축
  • 주요 DATA
    • Volcano plot 분석 결과 Protein A, B, C는 선행항암 치료 반응군의 혈장에서 증가하며 Protein D는 치료 비반응군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기능 분석을 통해 Protein A는 염증반응, Protein B는 VEGFA-VEGFR2 기전, Protein C는 TGF beta 신호체계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이었으며 Protein D는 PPAR 신호전달에 관여된 기능을 가짐
  • 3개 단백질을 이용한 모델 성능
    • 본 기술의 3개 단벡질 패널을 이용한 SVM 및 RF 모델에 대해 분석한 결과 AUC=0.861
    • 3대 단백질에 대한 생존 곡선 분석시 단백질의 기능과 연관되어 DFS와 association을 보이는 것을 확인함
  • 3개 단백질들의 DFS 연관성
    • 본 기술의 3개 단벡질 패널을 이용한 SVM 및 RF 모델에 대해 분석한 결과 AUC=0.861
    • 3대 단백질에 대한 생존 곡선 분석시 단백질의 기능과 연관되어 DFS와 association을 보이는 것을 확인함

시장동향

  • 국내 유방암 신규 환자 수는 2만 5000여명이며 10년 사이 100%로 급격히 증가추세
  • 이중 대부분이 선행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임을 감안하면 국내 유방암 예후 진단 시장 규모는 800억원으로 추산
  • 액체 생검을 이용한 치료 예후 예측 진단 분야가 급성장 중 (2022년 세계 액체 생검 시장 규모 24조원, JP 모건)

PARP-1 단백질 표적 miRNA 기반 간 손상 예방 및 치료 기술

연구자정보

의생명연구소 탁은영 교수

기술응용분야

  • 간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의약품
  • 간세포 염증 억제 및 보호제
  • 급성 간 손상(허혈성 간손상, 약독성 간손상 등) 예방 및 치료제

지식재산권 현황

KR 10-2023-0050330 (한국 출원)

기술개요

  • 간 손상을 초래하는 PARP-1 단백질 표적 억제제
    • 본기술의 miRNA 치료제는 PARP-1 3’ UTR 영역 유전자 특이적 결합
    • PARP-1과의 상호작용 기전을 통해 간 손상과 염증 억제 효과 제공
    • PARP-1 단백질 활성 제어를 통한 산화 스트레스 관련 간세포 사멸 억제

    PARP-1 결손 마우스 모델 제작 및 AST, ALT, 조직학적 변화 여부

  •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적인 대안 제시
    • 급성 간 손상에서 간 이식 이외의 뚜렷한 치료 전략이 없는 상황으로 높은 unmte needs 존재
    • 신규 동물 모델 및 생체 간 이식 환자 조직 이용 급성 간 손상을 억제 및 치료효과 확인
    • miRNA 이용 PARP-1 제어 기술은 기존 PARP-1 억제제 대비 낮은 간독성 유발 가능성

기술 주요 DATA

  • PARP-1과의 상호작용으로 염증 억제 효과 확인
    • 인간 간세포 유사 세포주인 분화 HepaRG 세포에 miRNA 모방체 주입, PARP-1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 제어 효과 확인
    • 인간 간세포의 PARP-1 단백질이 miRNA에 의해 제어 확인
  • miRNA의 재생능 강화로 인한 간 세포의 빠른 회복

    간 이식 수술을 받은 임상 환자에서 miRNA 발현이 높은 경우 간 손상 회복이 빠름을 확인

  • 혈성 간 손상 예방 및 치료 효과 확인
    • miR 결손 마우스 모델 제작 및 miR 나노파티클 정맥내 투여
    • 마우스 혈청 AST, ALT 측정 및 조직 변화 확인을 위하여 miR 나노파티클 투여의 간 손상 경감 확인

시장동향

  • 전세계 간질환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1년 USD 20.83 B에서 2027년 USD 30.91B로 성장 예상
  • 전세계 miRNA 시장 규모는 2021년부터 19.8%의 성장률로 2028년에는 규모가 36억 달러(4조 7800억 원)에 달할것으로 예상
    • 현재 FDA는 망막염, 고콜레스테롤혈증, 아밀로이드증, 급성 간성 포르피린증 등 다양한 적응증에 대해 miRNA 기술을 활용한 치료제 승인
    • 또한 miRNA 기반 치료 기술은 항암치료 및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비롯한 다양한 질환에서 miRNA 기반 치료 기술 임상 시험 진행중

miRNA 억제제 기반 췌장암 병용 치료제 기술

연구자정보

간담도췌외과 김송철 교수, 의생명연구소 탁은영 교수

기술응용분야

  • 암 예방, 개선 및 치료제
  • 췌장암 치료제
  • 젬시타빈 병용 요법 항암제

기술응용분야

  • 암 예방, 개선 및 치료제
  • 췌장암 치료제
  • 젬시타빈 병용 요법 항암제

지식재산권 현황

  • KR 10-2023-0042232 (한국 출원)

기술개요

  • 췌장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항암 치료 전략
    • 췌장암은 사망률이 높고 치료제도 제한적으로서 새로운 치료 전략에 대한 높은 unmet needs가 존재함
    • 본 기술은 췌장암에 대한 기존 젬시타빈과의 병용 요법을 통하여 암세포 성장 저해와 사멸 효과 확인
    • 젬시타빈 사용량 감소로 인한 부작용 최소화 가능
    • 췌장암 이외의 암 환자로도 확대 적용 고려 가능
  • 췌장암 세포 생존 감소 및 젬시타빈 투여시 상승된 항종양 효과의 저해제 조합
    • 젬시타빈, 삼산화비소 및 miR 저해제 병용 투여시 췌장암 세포에 대한 상승적 항종양 효과
    • miRNA 억제제는 AP-1 전사인자의 FosB를 표적하여 췌장암 세포에 대한 암 생존 감소 효과

    (좌) FosB 결합 부위 돌연변이에 의한 억제 효과 변화 측정; 및 (우) MIA PaCa-2 체장암 세포주에서 상승효과 fluor escence microscopy 확인

기술효과

병용 처치를 통한 암세포 사멸 유도 및 성장 저해 상승 작용

  • 병용 처치에 의해 췌장암 세포에 대한 젬시타빈 IC50 감소

  • 병용 처치에 의한 암세포의 생장을 억제 효과

  • 췌장암 세포주 (MIA PaCa-2) 이식 동물 모델에서 병용 투여 요법에 의한 종양 성장 억제 효과

  • 암세포 생장 억제 젬시타빈 사용량 감소

  • 단독 처치에 비해 병용 처치에서 저용량 고효율의세포 사멸 효과를 볼 수 있음

시장동향

  • 세계 췌장암 치료 시장은 고령 인구 증가, 췌장 종양 발병률 증가에 따라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는 연평균 10.64% 성장하여, 2023년에 41.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전세계 miRNA 시장 규모는 2021년부터 19.8%의 성장률로 2028년에는 규모가 36억 달러(4조 78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
    • 현재 FDA는 망막염, 고콜레스테롤혈증, 아밀로이드증, 급성 간성 포르피린증 등 다양한 적응증에 대해 miRNA 기술을 활용한 치료제 승인
    • 또한 miRNA 기반 치료 기술은 항암치료 및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비롯한 다양한 질환에서 miRNA 기반 치료 기술 임상 시험 진행중

난치성 간세포암 치료제 기술

연구자정보

의생명연구소 탁은영 교수, 간이식·간담도외과 윤영인 교수

기술응용분야

  •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예방/치료 분야
  • B형 간염 바이러스성, 난치성 간암 치료제
  • 단독 또는 병용 투여 항암제

지식재산권 현황

KR 10-2022-0067269 (한국 출원)

기술개요

  • 소라페닙 난치성 간세포암의 세포 분열 기전을 억제 및 세포 사멸 유도
    • 간암 치료 단일 요법으로 사용되는 소라페닙의 높은 재발률과 내성으로 인한 한계 극복 대응 기술
    • B형간염 유래 간세포암 및 소라페닙 저항성 난치성 간암이라는 높은 unmet needs 대상
    • 본 기술은 난치성 HCC에 대한 세포 분열 기전 억제 및 세포 사멸 유도 효과 시너지 효과 제공
    • 본 기술은 소라페닙에 의한 PI3K/Akt/mTor 경로 억제 효과 강화
    • 본 기술은 암 세포의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를 억제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및 사멸 촉진 효과
  • 약물 재창출(Drug-Repositioning) 전략을 통한 신규 용도

    본 기술의 약물은 FDA 허가 약물인 디설피람(Disulfiram)의 대사 산물로서 안전성 입증 유리

기술효과

간세포암 치료에서 소라페닙과의 상승 작용

  • DDC+ 소라페닙 병용 처치에 의한 B형 간염 보유 간세포암 사멸 촉진 및 IC50을 감소 효과 확인

  • DDC + 소라페닙의 병용 처치에 의한 B형 간염 보유 간세포암의 간 내 종괴 형성 저지 확인

  • DDC+소라페닙 병용 처치에 의한 SOD1 (Superoxide Dismutase 1)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상승(a); HBx (hepatitis B virusX) 유전자 발현 억제(b); B형 간염 바이러스 ccc DNA (covanlently closed circular DNA) 감소(c) 확인

시장동향

  • 간암 치료제 시장은 2022년 USD 2.44B에서 2030년 10.48B로 증가 예상(CAGR 20%)
  • 간암의 약 90%를 차지하는 간세포암 환자 증가 추세
  • 간암은 국내에서 7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나, 5년 상대생존률이 다빈도암 중 가장 낮은 주요 사망 요인(국가암 등록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