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중심병원 지정기관

home >연구중심병원 지정기관>서울대학교병원>주요기술

주요기술

연구 시료 관리 시스템

개발자

노동영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기술개요

연구용 시료의 채취, 처리, 저장 및 임상활용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산 시스템

기술설명

기술특징

  • 연구 채혈시스템을 전산화하고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써, 연구 시료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암 유닛 연구 플랫폼 및 인프라를 구축함
  • 관련 연구에 대한 유전체 및 단백체 검사 결과를 중앙/전산화 하여 연구자들에게 효과적인 환경을 지원함

활용분야

혈액 검사 시행 시 연구용 시료 채취하여 연구자에게 검사결과 또는 실제 검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응용하여 수술 조직을 이용하여 병리검사 시행 시 연구용 검사 (면역화학검사, FISH 등) 및 연구용 조직을 보관/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함 - 조직은행 및 맞춤의료용 뱅킹 시스템 구축에 응용 가능

연락처

  • 담당자 : 양영미 연구원
  • 소속 : 삼서울대학교암병원 암맞춤치료센터 상담실
  • 이메일 : yym821@hanmail.net
  • 연락처 : 02-2072-7555

유전성암 발병 위험도 평가를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반 다유전자 패널

개발자

한원식 교수, 서울대병원 외과, 교수, 유방센터 센터장

기술개요

  • BRCA1/2 돌연변이로 대표되는 유전성암은 그 빈도가 높지는 않지만, 돌연변이가 있는 보인자에서는 암발병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 현재 다수의 유전상 암 관련 유전자들이 알려져 있어서 이들을 통합하여 검사하여 고위험군의 여성과 가계를 선별하고, 예방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 현재 Myriad사의 Myrisk와 같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NGS) 기반 유전자 패널들이 외국에서 상용화 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한국인 또는 아시아인에서 검증된 바 없고, 샘플의 이송문제, 비용문제 등이 있어 한국인에 맞는 유전성 암 유전자 패널을 개발하고자 함

기술설명

  • 문헌검색을 통해 유전성 암관련 64개 유전자를 선정하였고 252명의 유전성 유방암 고위험군에서 이들 유전자의 변이 여부를 차세대 염기서열 기반 target sequencing을 통해 분석하였고, 78명에서 18개 유전자의 pathogenic mutation을 발견하였음.
  • 유전성 암 발병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다유전자 패널을 개발 및 상용화
  • 특히 결과의 임상적인 해석에 중점을 두는 상품을 개발 중에 있음.

기술특징

  • 한국형 유전성 암 다유전자 패널로 유방암 뿐 아니라 다른 암의 발병 고위험군을 선별 가능함
  • 서울대와 중앙대에서 해당 돌연변이의 임상적인 해석을 담당하는 플랫폼을 구축하였고, 서울대병원에서 환자 상담을 위한 유전성유방암 클리닉을 포함한 다학제진료 외래를 시작할 예정
  • 기존의 BRCA1/2 돌연변이를 검사하는 가격으로 64개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더 빠른 시간 내에 리포트 가능(2달 vs 2주)

활용분야

유전적/가족성으로 암발병의 고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어 해당자에게 암 스크리닝 권고가 가능함

연락처

  • 담당자 : 이은신 교수
  • 소속 : 외과 유방센터
  • 이메일 : silvershoe99@gmail.com
  • 연락처 : 010-9632-0741

MRM-MS Multiplex Assay 기술

개발자

김영수 교수 / 서울대학교 의공학교실

기술개요

MRM-MS 기반의 단백 바이오마커의 임상적 적용 및 활용을 위하여 proteolytic peptide의 stability, quantifiability, reproducibility에 대하여 실험적이고 분석적인 측면을 validation하는 방법

기술설명

  • 혈액 시료 등에서 target 바이오마커에서의 검출할 수 있는 최소량과 검출 가능한 최소한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준물질과 함께 분석하여 타겟 바이오마커에 대한 정밀도와 정량 가능한 범위를 확인함. ANXA2_AEDGSVIDYELIDQDAR

  • 타겟 바이오마커를 수차례 반복 분석(intra/inter assay)하여 기술적인 재현성을 보여줌으로써 MRM-MS Multiplex assay 기술의 정확도를 확인함.

기술특징

  • 단백 바이오마커에 대한 유효성 확인
  • 정도 관리 (Quality Control)를 통한 정확성과 신뢰성 확보
  • 다중 단백 바이오마커를 동시에 validation 함 - 시험법 및 시험법 체계의 표준화에 대응할 수 있음

기술특징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1상 임상시험 완료

활용분야

표준화 시험 대응 - 기관별 유효성 대응 가능(KFDA, FDA, 세계 등), 연구분야별 유효성 대응 가능(질병 진단과 신약 개발 등)

  • MRM-MS Multiplex Assay 기술은 단백 바이오마커의 유효성을 검정함에 있어 한국식약처나 해외의 관련 기관의 평가 기준에 대하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design 가능함.
  • 신약 개발 또는 단백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질병 진단 기술 개발에 있어 혈액이나 조직 등의 시료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유효성에 대응 가능함.

연락처

  • 담당자 : 여인준
  • 소속 : (협)바이오엔지니어링
  • 이메일 : realjune@snu.ac.kr
  • 연락처 : 02-3668-7647

담즙유리 DNA에서 DNA메틸화검출로 담관세포암진단하기

개발자

강경훈, 병리학, 서울대병원

기술개요

담즙내로 유리된 암세포나 암세포로부터 방출된 DNA에서 암특이 DNA메틸화를 검출함으로써 담관세포암을 진단할 수 있는데, 본 개발자는 담관세포암을 진단할 수 있는 DNA메틸화마커 세트를 발굴하였음.

기술설명

담즙내로 유리된 암세포기원 DNA를 DNA메틸화마커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는데, 5개의 DNA메틸화마커를 담즙내의 cell-free DNA를 대상으로 검출함으로써 담관세포암종의 유무를 진단할 수 있음. cell-free DNA는 bisulfite modification을 하고, 이를 MethyLight assay라는 정량적 메틸화특이 PCR분석방법을 이용하여 DNA메틸화마커의 메틸화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종양의 존재를 검출해낼 수 있음.

기술특징

(장단점) 담즙세포병리검사로 간외담관세포암을 진단하는 것은 민감도와 특이도에서 제한점이 있으나, 담즙에서 유리된 DNA를 이용하여 간외담관세포암종을 진단하는 기술은 민감도와 특이도에서 세포병리검사보다 좋은 성적을 보였음.

활용분야

담즙을 이용한 간외 담관세포암 진단

연락처

  • 담당자 : 조남윤
  • 소속 : 서울의대 암연구소 후성유전학 연구실
  • 이메일 : chonamyun@hanmail.net
  • 연락처 : 02-3668-7933

이중 타겟 항체 및 그의 용도

개발자

이은영 교수 / 내과학/류마티스 내과

기술개요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 및 IP-10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 타겟 항체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

기술설명

본 기술은 TNF-α 및 IP-10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 특이적 항체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IP-10 특이적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을 가지는 scFv 를 TNF-α 특이적 항체의 중쇄 불변 영역 C-말단에 결합된 형태의 항체를 제조하였음.

  • 영장류 관절염 모델에서 이중타깃항체 효능 검정

  • [영장류에서 이중타깃항체의 약물 역동학 평가(PK)

기술특징

항체는 TNF-α 및 IP-10 에 이중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TNF-α 및 IP-10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TNF-α/IP-10 이중 타겟 항체가 TNF-α 억제능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능을 갖는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본 기술을 완성하였다.

활용분야

본 기술의 이중 타겟 항체는 TNF-α 또는 IP-10 단일 타겟 항체와 비교하여 우수한 TNF-α 억제능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능을 갖는다.본 발명의 조성물은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연락처

  • 담당자 : 박소현
  • 소속 : 류마티스 내과
  • 이메일 : scientistari@naver.com
  • 연락처 : 010-9496-1518

MAGIC Cell 세포치료법 신의료기술

개발자

김효수 /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심혈관센터

기술개요

말초혈액으로 동원된 줄기세포를 채집하여 관상동맥 내 주입

기술설명

급성심근경색환자를 대상으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줄기세포 치료

기술특징

줄기세포를 이용한 환자치료가 실용화되어 산업화된 대표적인 성과

활용분야

줄기세포 치료, 세포치료법, 실용화/산업화

연락처

  • 담당자 : 김효수
  • 소속 : 류마티스 내과
  • 이메일 : hyosoo@snu.ac.kr, usahyosoo@gmail.com
  • 연락처 : 02-0272-2226

MAGIC Cell 세포치료법 : Myocardial Regeneration and Angiogenesis in Myocardial Infarction with G-CSF and Intra-Coronary Stem Cell Infusion

개발자

김효수 교수

기술개요

급성심근경색환자를 대상으로 표준 치료인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후 G-CSF와 Erythropoeting을 투여하여 말초혈액으로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동원한 후 채집하여, 환자의 관상동맥을 통해 심근경색부위에 투여

기술설명

기술특징

침습적인 골수 천자 없이 말초혈액에서 다량의 줄기세포를 채집하는 비침습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기술을 개발함. 분리한 줄기세포를 심근경색으로 손상된 부위에 직접적으로 투여함. 관련 논문 16편을 발표하였으며, 연구 수준에 머무르던 세포치료법을, 2015년 4월 신의료기술 지정 이후 국내 첫 환자에서 본격적인 치료 개시. 2015년 8월 초 정부와 협의, 치료시행과정의 행정적 문제를 해결하게 되어 치료를 원하는 환자들에게 더욱 용이하게 시술을 시행. 2016년 4월 현재 16명의 환자 치료 완료, 향후 75명의 환자 치료 후 경과 분석 예정. 환자 1인당 500만원의 치료 수가가 발생하여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닌 임상연구의 현실화를 이룩함.

활용분야

기초연구와 중개연구를 통한 세포치료의 파이프라인을 구축한 후 임상진입과 실용화에 성공한 예임. 연구중심병원에서 성공적인 사업모델을 제시하는 세포치료 실용화의 첫 사례로 향후 보건의료기술의 산업화의 중요한 role model로 타분야 세포치료법 개발과 산업화의 청사진을 제공함.

연락처

  • 담당자 : 김효수
  • 소속 : 류마티스 내과
  • 이메일 : hyosoo@snu.ac.kr, usahyosoo@gmail.com
  • 연락처 : 02-0272-2226

자가면역뇌염의 새로운 치료 기술 확립

개발자

이상건 교수, 주건 교수, 이순태 교수 (신경과)

기술개요

  • 자가면역뇌염은 의식저하, 기억력저하, 뇌전증발작등을 일으키는 중증 난치성 신경질환임.
  • Rituximab은 CD20양성의 B세포를 제거하는 약물로써, 본 치료 기술은 자가면역뇌염 환자에서 rituximab을 이용한 치료기술을 확립한 최초의 대규모 임상 연구결과임.

기술설명

  • 자가면역뇌염 환자에서 1차 치료제에 대한 불응하는 경우 Rituximab 치료를 시작함
  • Rituximab 의 기존 치료 프로토콜인 매주 (375g/m^2) 4주간 투여 이후 4주 간격으로 375g/m^2을 추가 투여하며 임상적 증상이 안정화될때까지 유지함
  • Rituximab 치료군에서 신경학적 기능의 유의한 호전이 있었으며, 자가면역의 다양한 원인군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음.
Rituximab 이용 새로운 치료 기술에 의한 자가면역 뇌염에서의 치료 효과Rituximab 이용 새로운 치료 기술 시행 전 양호한 신경학적 기능(mRS≤2)을 가진 환자의 비율은 17.5%였으나, 새로운 치료 시행 후 68.8%의 환자가 mRS≤2로 호전됨.Synaptic autoantibody, Paraneoplastic autoantibody등 여러 종류의 아형과 자가항체가 발견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에도 비슷한 정도의 효과가 관찰됨

기술특징

  • 1차 치료에 불응하는 자가면역성 뇌염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치료 기술임
  • 여러 자가면역 항체 타입에서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자가면역 항체가 검출되지 않은 환자에서도 비슷한 효과를 가지는 보편적인 치료 기술임
  • 약물이상반응, 면역기능 저하에 의한 기회감염 등의 위험성이 높지 않은 안전한 치료 기술임

활용분야

  • 난치성 신경질환인 자가면역 뇌염의 치료법을 개발한 성과임.
  • Rituximab을 이용한 새로운 치료 기술은 기존의 rituximab사용 프로토콜에 비해 효과는 더 높으면서, 안전성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향후 자가면역 뇌염의 표준 치료 방법으로 정립될 수 있음.
  • 기존에 정립된 1차 치료제에 비해서도 효과 및 안정성 면에서 장점이 있음
  • 향후 자가면역 뇌염의 1차 치료 방침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음.

연락처

  • 담당자 : 이상건 교수, 주건 교수
  • 소속 :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 이메일 : sangkun2923@gmail.com, stemcell.snu@gmail.com
  • Reference: Lee WJ, Lee ST, Byun JI, Sunwoo JS, Kim TJ, Lim JA, Moon J, Jung KH, Jung KY, Lee SK, Kim M, Chu K. "Rituximab treatment for autoimmune limbic encephalitis in an institutional cohort." Neurology (2016): 10-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