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중심병원 지정기관

home >연구중심병원 지정기관>고려대학교 안암병원>주요기술

주요기술

모션 큐렛(Motion Curette)

개발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장우영 교수

기술개요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에 맞게 각도 조절이 가능한 헤더를 포함 및 헤더 어셈블리의 교체가 쉬운 외과적 큐렛을 제공함

모션큐렛

기술적 배경

큐렛의 용도

  • 큐렛은 관절경을 이용한 다양한 수술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관절경 적 발목 수술 시 손상부위의 불순물을 긁어내거나 때어낼 때 사용함
  • 기성품으로 제작되어 시판되는 큐렛은 미리 설정된 각도(주로 사용되는 0도, 15도, 30도 등)를 갖는 것이 일반적

기존 큐렛의 형태

종래기술의 문제점

  • 인체의 관절의 형태는 개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 시 사용자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큐렛을 교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음
  • 강성의 부족으로 인한 마모 및 노화 (수술시 손상부위의 불순물을 긁어내거나 떼어낼 때 사용되기에 강한 강성 확보 필요
  • 몸체와 헤드 일체형으로 헤더 교체가 어렵고, 수명이 짧음

기술적 유용성

  • 본 기술은 의료기기 분야에 속하며, 국내 의료기기 시장은 수출을 바탕으로 제조업 대비 4배 이상 성장이 기대됨
  • 글로벌 전체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처방의약품 시장의 절반 수준으로 연평균 5.7%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 지역별로는 북미·남미 대륙의 비중이 46%로 가장 높은 시장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음
  • 특히, 미국의 경우 가위, 바늘, 집게, 드릴 톱과 같은 수술 기구들은 거의 수술 때마다 사용되며 이는 2019년 업계 매출의 38.3%를 차지함
  • 수요의 일관성으로 인해 이 부문의 매출은 비교적 꾸준히 유지되는 편임. 정형외과용 기구 및 임플란트는 고령화와 관련된 질병 및 교통사고 증가로 인해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관련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매출 비중이 19.4%까지 올라감
  • 세계 의료기기와 처방의약품 시장 현황

  • 미국 수술기구 사용 비율

본 기술의 특징

  • 헤더를 포함하는 헤더 어셈블리의 교체가 쉬운 외과적 큐렛을 제공함
  • 큐렛의 헤더가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에 맞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시술/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며 인체의 빠른 회복을 달성

본 기술의 우수성

  • 대상체의 해부학적 구조에 맞게 각도 조절이 가능한 헤더를 포함
  • 모션 큐렛의 구성
    • 핸들
    • 회전축 및 메인 샤프트
      •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핸들에 연결된 메인 샤프트
    • 헤더
      • 대상체의 해부학적 구조를 맞도록 각도조절 가능
      •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헤더가 메인 샤프트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조절

    모션 큐렛의 단면도

  • 주요특징
    • 헤더가 대상체의 해부학적 구조에 맞게 각도 조절이 가능 ->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시술/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며 대상체의 빠른 회복을 달성
    • 외력에 잘 견디는 강성 구조
    • 헤더의 마모에 따른 헤더의 교체가 쉬운 구조

    모션 큐렛의 도면 및 헤더 각도 조절 예시

본 기술 관련 특허 및 논문

발명의 명칭, 출원번호, 출원일자 안내
발명의 명칭 출원번호 출원일자
외과적 큐렛 KR 10-2018-0050475 2018.05.02
문의처
고려대학교 의료원산학협력단 기술사업팀 이지숙 02-2286-1138, js007059@korea.ac.kr

슈퍼 박테리아 제어를 위한 차세대 항생제

연구책임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유영도교수

기술개요

  • 항생제 내성 획득 극복을 위해 개발되고 있는 기존의 항균 펩타이드와 달리 그람 양성, 그람 음성 및 다제 내성 박테리아에 광범위하게 항균활성을 가지는 Romo1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Romo1 유래 항균 펩타이드는 박테리아 막을 파괴 하여 전자현미경 사진과 같은 모양으로 변형하여 사멸을 유도함

기술적 배경

새로운 항생물질의 개발 필요성

  • 항생제 내성 획득을 극복하기 위한 항균 펩타이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인체 면역 체계에서 내성 획득 가능성, 짧은 반감기, 인체 내 독성 문제로 실용화 되지 못함
  • 그람 양성균에서만 항균 활성을 나타내거나 피부 감염 질환에만 적용되는 등의 한계가 있었음
  • 패혈증은 신속한 치료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치료제 선택을 위한 원인균 판별 지연 및 카바페넴계 내성을 포함하는 다제내성 박테리아에 대한 치료 약물 부재가 문제되었음

슈퍼박테리아용 항생제 개발

  • WHO는 최후의 항생제로 불리는 카바페넴계 항생 제에 대한 내성균을 위급단계 균주로 지정하고 이에 대한 항생제 개발을 최우선 해결과제로 발표함
  • 영국정부의 웰컴트러스트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 항생제로 치료할 수 없는 슈퍼박테리아에 의한 사망자 수가 세계적으로 1,000만명을 초과하여 사망 원인 1위가 될 것으로 전망됨
WHO지정 항생제 연구개발 - 우선순위, 항생제 내성균 안내
우선순위 항생제 내성균
위급
  •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
  •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
  • 카바페넴 내성-3세대 세팔로스포린 내성 장내세균
[2050년 사망원인별 세계 연평균 사망자 수 (단위 : 명)]

WHO지정 항생제 연구개발 우선순위 병원균

기술적 유용성

  • 세계최초로 발견한 미토콘드리아 막 단백질 Romo1 유래 항균 펩타이드로, 독창적인 원천기술임
  • 선도물질의 유효성 연구 (In vitro/ In vivo) | 독성 예비 연구 (In vitro / In vivo) | 작용기전 연구 | PK 예비 연구 완료
    • 용혈 독성

    • 패혈증 유발후 생존율

    • 혈액 내 항균 활성 비교

    • 작용 기전 연구

  • 임상 통과 후 슈퍼 박테리아 치료제로 QIDP 인증 가능함
  • 우선심사 및 5년간 독점권 혜택 가능하며 Fast track으로 진행 가능함

본 기술의 특징

  • 미토콘드리아 막단백질인 Romol 에서 수용성을 나타내는 일부 영역 중 강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는 영역을 확인한 펩타이드를 선별하여 구성됨
  • 본 항균 펩타이드는 세균의 세포막에 결합함으로써 항균작용을 나타내므로 세균의 종류 및 항생제 내성여부와 관계 없이 항균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

본 기술의 우수성

  • 그람 음성 및 양성 세균 모두에 작용하므로 혈액에 존재하는 다양한 감염균을 하나의 약제로 동시에 제거할 수 있음
  • 본 항균제는 small molecule이 아닌 펩타이드 기반 제제이므로 항생제 내성을 갖는 박테리아에 대해서도 높은 항균 능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박테리아 감염에 대응할 수 있음
  • 본 항균제는 내성 획득 가능성이 매우 낮고, 진핵세포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독성이 낮으며, 혈액 내에서 기존 항균 펩타이드보다 높은 항균력을 나타냄
  • 의약, 의약부외품, 식품 및 사료, 농약 및 화장품 등 다양한 유형의 제품에 적용 가능함
  • 다제내성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력 시험에서, Romo1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들 중 58-78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KU- PEPTIDE는 1회 투여만으로도 이미페넴의 다회 투여보다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냄
  • 선도물질의 유효성 연구 (In vivo | KU-peptide-1

  • 개량된 펩타이드의 유효성 연구 (In vivo) | KU-peptide-2, 3)

본 기술 관련 특허 및 논문

발명의 명칭, 출원번호, 출원일자 안내
발명의 명칭 출원번호 출원일자
Romo1 유래 향균 펩타이드 및 그 변이체 KR 10-2018-0050475 2018.05.02

저널명: mBio, 2020.04 (IF 7.27); JCR 상위 8.647% (5 year)

  • KU-peptide-1: Lee HR, You DG, Kim HK, Sohn JW, Kim MJ, Park JK, Lee GY, Yoo YD. Romo1-Derived Antimicrobial Peptide Is a New Antimicrobial Agent against Multidrug-Resistant Bacteria in a Murine Model of Sepsis. mBio. 2020 Apr 14:11 (2). pii: e03258-19
  • KU-peptide-3 : 2021년 논문 발표 예정
문의처
고려대학교 의료원산학협력단 기술사업팀 임정섭 02-2286-1108, limreo@kore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