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로 바로가기콘텐츠로 바로가기

Bold Move, Better Future!

알림마당

미디어룸

[기고] [K-헬스미래는 지금] 필수의료혁신의 도전, 피지컬 AI기반 휴머노이드 수술보조 로봇 (2025.11.13.)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25-11-14
조회44

[K-헬스미래는 지금] 필수의료혁신의 도전, 피지컬 AI기반 휴머노이드 수술보조 로봇


[K-헬스미래추진단 = 이창현 PM]


현재 대한민국 필수의료 분야는 인력 부족, 고위험 수술 환경, 의료진의 높은 피로도 등으로 인해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특히 복잡하고 긴 수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료진의 부담은 환자의 안전과 직결되며, 이는 곧 국민 건강권 확보라는 국가적 과제와 맞닿아 있기도 하다.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고 필수의료를 혁신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K-헬스미래추진단은(한국형ARPA-H프로젝트) Physical AI 기반의 휴머노이드 수술 보조 로봇 개발을 기획하게 되었다.

현재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산업 및 기술은 중국과 미국이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고 현 정부에서도 주요 로봇 제조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여 AI와 하드웨어 핵심 기술개발을 통해 2030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 강국을 목표로 하여 K-휴머노이드 연합을 2025년 4월에 출범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는 중국과 미국 주도의 로봇산업을 따라가기에 바쁜 상황이다.

Intuitive '다빈치' 로봇시스템과의 근본적 차별화
현재 전 세계 수술 로봇 시장을 선도하는 Intuitive Surgical의 '다빈치 로봇시스템'은 최소 침습 수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고 현재 일반적인 로봇수술이라 하면 이를 일컫는다. 하지만 다빈치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집도의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대리 수행'하는 원격 조종(Teleoperation) 방식의 수술 집도 로봇이며 집도의가 별도의 콘솔에서 조종하며, 로봇의 역할은 수술 도구를 조작하는 주된 행위에 한정된다. 반면, 우리가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로 개발하는 휴머노이드 수술 보조 로봇은 역할과 작동 방식에서 근본적인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