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GHKOL 상담센터

해외뉴스클리핑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국가정보,출처,원문링크, 정보 제공
작성자 김우정
작성일 2018-12-14 조회수 7,428
국가정보 아시아>중국
출처 KOTRA
원문링크 http://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71688&column=&search=의료&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page=1&row=10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 의료기기 성장세 계속될 전망 -

- 치아교정 및 임플란트가 성장 동력 분야 -

 

 

 

상품명 HS코드

 

  ㅇ 상품명: 치과용 의료기기

  HS 코드: 9018.4100, 9018.4990, 9018.4910, 9022.13

 

HS Code

상품명

관세

증치세

단위

MFN

FTA

대미 관세

9018.4100

Dental drill engines, whether or not combined on a single base with other dental equipment

4%

0%

10%

16%

/kg

9018.4990

Other instruments and appliances, used in dental sciences (excluding dental drill engines or dentists'''' chairs)

4%

0.8%

5%

16%

/kg

9018.4910

Dentists’ chairs incorporating dental equipment

4%

2.4%

5%

16%

/kg

9022.13

Other apparatus based on the use of X-rays, for dental uses

1%

0.8%

10%

16%

/kg

자료원: 易通

 

선정사유

 

  ㅇ 소비력 확대와 구강 건강 의식의 제고에 따라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임.

    -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 및 서비스 시장 규모는 2020년까지 4000억 위안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됨.

 

시장규모 동향

 

  2017년 기준, 중국의 치과 진단설비 및 기구 시장규모는 20700만 위안, 치과 치료설비 및 기구 시장규모는 848600만 위안, 의치 및 각종 재료 시장규모는 731200만 위안으로 집계됨.

 

중국 치과의료기기 시장 규모

설명: C:/Users/adm/AppData/Local/Temp/WeChat Files/0d4e10f30116a8cbcbe881d5e5250ed.png

자료원: 신스제산업연구센터(新思界产业研究中心)

 

  ㅇ 현재 중국 치과산업은 발전 초기 단계에 있으며 관련 기술력 미비로 의료기기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임.

    - 특히 첨단 고성능 치과용 의료 장비는 수입에 크게 의존함.

 

□ 주요분야 시장동향

 

  ㅇ 중국 치과 의료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는 치아교정과 임플란트임. 해당 의료기기 수요도 동반 성장하는 추세임.

    - 중국산업정보망의 통계에 따르면 2011~2017년 중국 임플란트 시장 성장률이 56%에 달하며 세계 임플란트 시장에서 가장 성장세가 빠른 시장 중 하나임.

    - 임플란트 시술 비용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임플란트 fixture(인공치근)의 경우 중국 내 유통 제품의 90%가 수입 의존함.

 

  ㅇ 치과용 피팅(의치, 의치고정기, 인공치근 등 포함, HS Code: 9021.29) 2017년 수입규모는 26500만 달러였으며 상위 5개 수입국은 한국(6360만 달러, 24%), 스웨덴 (5400만 달러, 20.4%), 스위스(5210만 달러, 19.7%), 독일(4350만 달러, 16.4%), 미국(2910만 달러, 11%) 순임.

 

  ㅇ 치아교정과 임플란트 시장 확대에 따라 해당 치과용 영상장비 시장 역시 급성장함.

    - 시술 과정에 치과 영상장비가 중요한 역할을 함. 치과용 주요 영상장비는 파노라마, 세팔로(교정진단용 엑스레이), 치과용 CT(CBCT) 등이 있음.

    - 그 중 최소한의 방사선 노출로 최대한의 진단정보를 얻을 수 있는 CBCT는 시장수요가 매우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임. 2012년 이전까지만 해도 중국 치과용 CT 시장은 완전히 수입에 의존했음. 그러나 중국 로컬기업인 Meiya(亚光)가 최초로 자체 개발한 CBCT 기계가 출시되면서, 중국산 제품도 빠르게 시장을 확대함.

 

수입동향 필요 인증

 

  ㅇ 중국 수입 치과용 영상장비(HS Code: 9022.1300) 수입 통계에 따르면 주요 수입국은 한국, 핀란드, 독일 등이며 2017년 기준 한국으로부터 수입액은 2755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5% 증가함 

 

치과용 엑스레이 영상장비 최근 3년간 수입현황 (HS Code: 9022.13)

(단위: 천 달러, %)

수입품목

HS CODE

국가

2015

2016

2017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X-ray apparatus for dental use

9022.13

전 세계

75090

-5.1

84230

12.2

87749

4.2

한국

17264(2)

1.9

20336(2)

17.8

27552

35.5

핀란드

19715(1)

-27.9

20773(1)

5.4

19157

-7.8

독일

13900(3)

-16.1

14513(3)

4.4

12805

-11.8

이탈리아

6098(6)

-4.8

8989(4)

47.4

9060

0.8

미국

8364(4)

97.4

8075(6)

-3.5

8888

10.1

프랑스

6895(5)

24.6

8385(5)

21.6

8290

-1.1

일본

2653(7)

29.1

3151(7)

18.7

1990

-36.8

: 순위는 2017년 기준이며, ( ) 수치는 해당 연도 순위임.

자료원: KITA

 

  ㅇ 기타 치과의료기기 통계 조회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중국 기타 치과용 의료기기(HS Code: 9018.4100, 9018.4910, 9018.4900) 총 수입액은 전년 대비 41% 증가한 22600만 달러에 달함.

    - 2017년 치과용 의자(HS Code: 9018.4910)를 제외하고 다른 품목별 수입규모는 다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임.

    - 특히 치과용 드릴 엔진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298.3% 대폭 증가한 6830만 달러에 달함.

    - 2017년 한국으로부터의 총 수입금액은(HS Code: 9018.4100, 9018.4910, 9018.4900) 1480만 달러에 달하며 2015년 대비 89% 증가함.

 

기타 치과의료기기 최근 3년간 수입동향(HS Code: 9018.4100, 9018.4910, 9018.4900)

(단위: 천 달러, %)

수입품목

HS Code

국가

2015

2016

2017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Dental drill engines

9018.

4100

전 세계

12282

5.0

17144

39.6

68278

298.3

일본

3286(2)

-13.0

4084(2)

24.3

55593

1,261.4

독일

5300(1)

38.8

3634(3)

-31.4

5405

48.7

스위스

1620(3)

69.2

2262(4)

39.6

2537

12.2

아일랜드

0.0

-100.0

4613(1)

0.0

2199

-52.3

오스트리아

1162(4)

-8.1

1081(5)

-7.0

859

-20.5

한국

346(6)

253.1

568(6)

64.0

787

38.5

Dentists'''' chairs with dental equipment

9018.

4910

전 세계

20044

14.6

25454

27.0

22912

-10.0

독일

6982(2)

116.8

11907(1)

70.5

7023

-41.0

미국

7341(1)

3.6

6244(2)

-14.9

6274

0.5

한국

850(5)

-1.7

1689(5)

98.6

3044

80.3

일본

2138(4)

64.1

2244(4)

5.0

2567

14.4

이탈리아

2171(3)

-36.0

2820(3)

29.9

2181

-22.7

핀란드

142(7)

-86.8

139(6)

-2.5

1491

974.9

Dental instruments & appliances, nes

9022.

4990

전 세계

114901

18.4

118186

2.9

134934

14.2

독일

26460(1)

10.6

26784(1)

1.2

26622

-0.6

스위스

26412(2)

7.4

21785(2)

-17.5

25170

15.5

미국

13636(3)

39.2

12847(3)

-5.8

17194

33.8

한국

6632(5)

47.3

9271(5)

39.8

10958

18.2

일본

13026(4)

-3.6

9465(4)

-27.3

10653

12.6

기타용 의료기기 합계

147227

17

160784

9

226124

41

: 순위는 2017년 기준이며, ( )수치는 해당 연도 순위임.

자료원: KITA

 

□ 경쟁동향

 

   주요 경쟁기업 및 브랜드

    현재 중국의 자체적인 치과 장비 생산은 미미하며 다국적 기업이 중국 시장에 다수 진출해 생산 및 판매를 하고 있음그 외 엑스레이 영상장비와 기타 고급 치과 제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함.

 

중국 시장 주요 치과용 의료기기 경쟁 제품 

기업명

국가

제품

가격대

품명

이미지

KaVoSybron

독일

KaVo 3D eXam

word_image

N/A

Elements Diagnostic Unit

word_image

N/A

Dental Handpiece

word_image

N/A

Sybron Endo Touch n Heat 5004 Root Canal obturation Device

word_image

US $350-450

SynbronEndo Explor

word_image

N/A

Dentsply Sirona

미국

Sinol Dental Chairs

word_image

N/A

Dental LED View  Plus

word_image

N/A

Cerec Omnicam

word_image

US $5,000-7,000

ACTEON

프랑스

치과용 골수술용 초음파장치

word_image

179000 위안

치석제거기

word_image

13,600위안

PLANMECA

핀란드

Planmeca Creo 3D Print

word_image

N/A

Vatech

한국

Green Smart CT

word_image

N/A

Air Portable Handheld X-Ray

word_image

US $2,625-3,000

Digital Dental X-ray Sensor

word_image

US $1,700-2,000

MEYER
(
亚光电 )

중국

CBCT

word_image

30만 위안

scan

word_image

N/A

LargeV Instrument
视仪器有限公司

중국

Smart 3D CBCT

word_image

N/A

자료원: 각 회사 홈페이지, Alibaba, 바이두

 

□ 유통경로 및 정책

 

  해외 수입 브랜드 제품은 국내 대리상이 판매대리 위주로 유통함.

    - 의약품의 <양표제(兩表制)>*가 전면적 실행됨에 따라 이는 의약품에서 의료기기 분야까지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있으며 수입 의료기기의 유통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측됨.

    * 양표제(两票制) 의약품 생산 후 7~8차 대리상을 거쳐 의료기관에 최종 납품되던 기존의 관행을 금지하고, 의약품 판매 시 한 단계의 대리상만 거치도록 해 불필요한 유통마진을 통제하는 제도임. 이를 통해 약품 단가 절감과 약품 유통 관리를 강화하도록 하는 조치임.

 

  ㅇ 수입 의료기기 인증 필수이 필수임. 인증 관련 세부정보는 KOTRA 국가정보의 주요 인증제도 참조

    * 링크: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53


□ 업계 관계자 인터뷰 (광동성의료기기산업협회 리위닝(李煜宁) 주임

 

  ㅇ  현재 중국의 병원에서 주로 취급하는 치과 의료기기들은 어떤 브랜드의 제품들인지?

    - 독일 등 수입 브랜드를 선호하는 추세임. 치과 영상장비인 경우 독일 KaVo,  미국 Sirona, 또는 가성비가 좋은 한국 Vatech도 중국 시장에서  인기가 많음.
 
  ㅇ 한국 제품이 중국 시장에서 우위점이 있다면?
    - 한국 치과 산업은 좋은 기술력을 가져 중국보다 발달되어 있음. 중국 치과 의료기기 및 재료 등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함. 특히 치아미용 분야에는 강한 경쟁력이 있음.
 
  ㅇ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에 조언한다면?
    - 중국 치과 의료 시장 전망은 밝으며 높은 성장을 기대할 만함. 장기적으로 중국 진출을 고려해야 하며 해외 브랜드라면 일단 실력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대리상을 찾는 게 진출의 첫걸음인 것으로 생각됨.    


□ 시사점

 

  ㅇ 중국 노령화가 가속되고 건강 의식 제고 및 치아미용 수요 증가 등 요인으로 치과 서비스 수요 증가와 이에 따른 치과기기 수요가 동반해 증가할 전망임.

    -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17년 전문 치과병원 수는 677개 였으며, 2018년까지 전문 치과병원 수는 767개로 늘어나고 치과방문 환자 수가 3711만 명에 이르러 의료기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0189 24일부터 미국의 대중국의 수입 관세부과에 대한 반격으로 중국 정부는 미국산 수입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선포함.

    - 그 중 치과용 의료기기가 다수 포함됨. 이에 따라 미중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중국 치과 의료기기 시장 구조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됨. 우리 제품이 중국 치과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음.

 

  ㅇ 현지 유통망을 보유한 에이전트 발굴이 중요함.

    - 매년 중국에서 개최되는 구강(치과)전시회에 많은 전문 바이어가 참관함. 관련 전시회 참가를 통해 지속적인 제품 인지도 제고 및 중국 바이어를 접촉해 중국 시장의 세부 수요 파약할 필요가 있음.

 

  ㅇ 선진국과 격차를 줄이기 위한 중국의 적극 추격에 대응해야 함.

    - 고성능 의료기기 등 산업을 포함한 ''''중국제조 2025'''' 등 정책에 힘입어 중국 의료기기 산업이 급속히 발전 중임.

    - 타 경쟁 제품보다 제품의 우수성, 가격경쟁력, 또는 A/S서비스 등 시장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음.

 

□ 관련 전시회

 

  ㅇ 전시회명: 중국남부 국제치과전시회(Dental South China)

    - 전시기간: 2019.3.3~2019.3.6

    - 개최장소: 중국 광동성 광저우 중국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회관

    - 개최주기: 매년 1 (2019년 제 24)

    - 홈페이지: www.dentalexpo.cn

 

  ㅇ 전시회명: 서부지역 국제 치과기기 및 기술전시회(West International Dental Equipment And Technology Exhibition)

    - 전시기간: 2019.3.8~2019.3.10

    - 개최장소: 중국 산시성 시안 취장국제컨벤션센터

    - 개최주기: 매년 1 (2019년 제 35)

    - 홈페이지: www.med-china.com.cn, www.xbkqz.com

 

  ㅇ 전시회명: 국제의료기기설비전시회(China Med)

    - 전시기간: 2019.3.22~2019.3.24

    - 개최장소: 중국 베이징 국가회의센터

    - 개최주기: 매년 1 (2019년 제 31)

    - 홈페이지: www.chinamed.net.cn

 

  ㅇ 전시회명: 중국 국제 치과 의료기기 및 재료 전시회(Sino-Dental)

    - 전시기간: 2019.6.9~2019.6.12

    - 개최장소: 중국 베이징 국가회의센터

    - 개최주기: 매년 1 (2019년 제 24)

    - 홈페이지: www.sinodent.com.cn

 

  ㅇ 전시회명: 중국 국제 의료기기전시회 (DenTech China)

    - 전시기간: 2019.10.30~2019.11.02

    - 개최장소: 중국 상하이 세계엑스포전시관

    - 개최주기: 매년 1 (2019년 제 23)

    - 홈페이지: www.dentech.com.cn

 

 

자료원: 바이두, KITA, 爱牙网, 前瞻 <2018年口腔CBCT场分析 潜在规模超百亿>, MedTrend 医趋势<口腔医疗行业研究报告——器械篇>, 观研天下数据中心 <2018年中国口腔医疗器械市场分析报告-业运营态势与发展前景预测> 및 광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보관함 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