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GHKOL 상담센터

해외뉴스클리핑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시장 동향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시장 동향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국가정보,출처,원문링크, 정보 제공
작성자 오유진
작성일 2018-09-07 조회수 4,844
국가정보 아시아>말레이시아
출처 KOTRA
원문링크 http://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69332&column=&search=의료&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page=1&row=10

□ 제품명: 건강보조식품 - 식물성 엑기스 (HS CODE 1302.19)  

 

□ 선정 이유


 ㅇ 2014-2018년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시장규모를 분석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말레이시아의 건강보조식품 시장에서 비타민과 식이 보충제가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반면에 약초나 전통 약제들이 2위를 기록함.

   - 2017년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시장 규모는 55억 링깃으로 전년 대비 7.0% 성장하였으며, 2018년에는 7.4%로 더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기대됨.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시장 현황(2014-2018)

(단위 : MYR 백만)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일반의약품(OTC)

760.9

801.0

841.4

884.0

929.5

스포츠 영양첨가제

11.4

12.2

12.9

13.7

14.6

비타민/식이보충제

1,848.3

2,014.0

2,197.4

2,404.1

2,638.5

체중관리제/

794.1

776.3

780.5

787.6

797.6

약초/전통약제

1,073.6

1,153.4

1,236.4

1,332.4

1,440.5

알레르기 치료제

14.3

15.0

15.7

16.3

17.0

소아건강보충제

73.5

78.9

85.1

91.9

99.6

총계

4,576.1

4,850.8

5,169.4

5,530.0

5,937.3

증감율

4.2%

6.0%

6.6%

7.0%

7.4%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2018년 수치는 예상

  

 ㅇ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생활물가 상승으로 말레이시아 소비자들이 지출에 매우 신중해졌으나, 건강 보조식품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많음. 건강에 대한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는 소비자들이 건강 보조식품을 통해 적극적으로 질병을 예방하려는 추세를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높은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수출입 현황

 말레이시아 식물성 엑기스 수출입 동향 (HS Code 130219)

(단위 : USD 천)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1-5월)

수출

1,713

570

2,324

3,047

3,601

1,406

수입

19,862

17,967

20,371

21,276

21,676

10,594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 말레이시아의 식물성 엑기스(HS Code 130219)의 2017년 수출은 3.6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18.2% 증가하였으며, 수입액은

전년 대비 1.9% 증가한 21.6백만 달러를 기록


 ㅇ 2018년 1-5월 수출입은 각각 16.1%, 16.9%로 두자리대의 성장률을 보임.     


 

말레이시아 식물성 엑기스 국가별 수출 동향 (HS Code 130219)

(단위 : USD 천)

순위

국가

2015

2016

2017

1

미국

1,147

2,142

2,898

2

 홍콩

451

91

275

3

중국

389

91

106

4

터키

0

0

74

5

브라질

0

0

56

6

싱가포르

30

21

49

7

독일

0

0

30

8

코트디부아르

0

11

22

9

베트남

113

434

21

10

UAE

19

28

16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ㅇ 말레이시아의 식물성 엑기스 최대 수출국은 미국으로 2017년  2.9백만 달러를 수출(점유율 80.5%)하였으며, 對홍콩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1.8% 증가한 27만 달러를 기록함.


 

말레이시아 식물성 엑기스 국가별 수입 동향 (HS Code 130219)

(단위 : USD 천)

Rank

Country

2015

2016

2017(

1

대만

3,005

4,610

4,573

2

중국

1,795

1,486

1,465

3

미국

321

421

797

4

인도

802

394

654

5

인도네시아

1297

606

629

6

한국

142

142

435

7

일본

167

256

390

8

프랑스

335

242

343

9

싱가포르

69

178

235

10

호주

44

100

158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ㅇ 대만과 중국은 말레이시아 식물성 엑기스의 선두적인 공급국가로 2017년 수입액은 각각 88백만 달러(40.1%), 36백만 달러(16.8%)를 기록함.

 

ㅇ 한국은 말레이시아의 식물성 엑기스 9대 수입대상국으로서 2017년 수입액은 44만 달러를 기록

 

말레이시아 식물성 엑기스 對한국 수입동향 (HS Code 130219)

(단위 : USD , %)

2013

2014

2015

2016

2017

금액

407

359

733

330

441

증감율

154.4

-11.8

104.2

-55.0

33.6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관세: (일반)  0%, (AK FTA) 0%

 

  Customs Duties order 2017에 따르면 HS Code 210390의 수입세율은 0%,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AKFTA)의 경우 0%

 


유통 구조

 

  ㅇ 비타민과 건강 보조식품은 주로 약국(Guardian, Caring )과 건강 미용 전문 소매업체(Watsons )를 통해 유통됨.


말레이시아 주요 건강보조식품 유통 소매업체

업체명

소유자

분야

매장수

Caring

Caring Pharmacy Group Bhd

Pharmacy; beauty & personal effects

105

Eu Yan Sang

Eu Yan Sang International Ltd

Pharmacy; beauty & personal effects

81

Guardian

Dairy Farm International Holdings

Pharmacy; beauty & personal effects

432

Watsons Malaysia

AS Watson Group

Pharmacy; beauty & personal effects

363

자료원: BMI Research


  대형 슈퍼마켓(Giant, Tesco )과 슈퍼마켓(AEON )을 통해서도 유통되며, 국제브랜드(Amway, USANA ), 국내브랜드

(Cosway, Elken )을 이용한 직접 판매가 있음.

 


상품 등록/ 증명서/ 규제 등


 말레이시아에서 비타민과 건강 보조식품은 국가 의약품 규제기관 (NPRA) 및 말레이시아 보건부의 산하기관인 의약품 통제기관 (DCA)으로부터 규제됨.

   - Food-Drug Interphase (FDI) 비타민과 건강보조식품은 말레이시아 NPCB로부터 엄격한 감시를 받고 있음.

   - 수입되는 제품은 현지회사를 통해 등록되어야 하므로, 한국회사는 현지 유통업체 또는 에이젼트를 지정해 해당 상품을 현지 당국으로부터 승인 받아야 함.

 

 ㅇ 광고 및 홍보 활동은 제약광고 이사회(MAB)로부터 관리되며, 말레이시아에서 비타민과 건강 보조식품에 대한 광고는 질병의 이름(당뇨병, 천식, 암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강력하게 금지됨.

   - 또한 치료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내용을 기재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음.

   - 하지만 검증이 된 기능에 한해, 몸의 일반적 기능에 필요한 주요 영양분에 대한 설명은 비타민과 건강 보조식품을 홍보 하는 데에 허용될 수 있음.

 

 ㅇ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와 유리병 그리고 스트립 팩들은 포장용기로 가장 널리 이용됨.

   -  제품 인증은 비타민과 건강 보조식품 포장에 표시되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제품 인증 홀로그램은 제품 포장에 부착되어야 함.

   - 비타민과 건강 보조식품의 하루 최대 복용량, 상품 이름, 사용된 유효성분, 등록 번호, 기능 설명(경고를 포함한)은 상품 라벨에 표시되어야 함

 

 주요 판매자 현황 (경쟁업체)


말레이시아 비타민 및 식이 보충제품 시장점유율

(단위 : %)

자료원 : Euromonitor International


□ 시장 진입 전략


 ◦ 말레이시아에는 비타민과 건강 보조 식품을 장려하거나 제지할 수 있는 공공의 건강 시설 및 재단이 거의 없음. 효능에 대한 홍보활동은 주로 제조업체나 소매업체로부터 이뤄짐.
  - 조사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소비자들은 전문 소매업체에서 건강보조식품구입을 선호함. 이에 따라, 한국 회사는 말레이시아 판매 직원들이 고객들에게 상품의 효능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임.


 ◦ 건강 보조식품 산업의 많은 바이어들은 소비자 반응이 가장 강력한 결정 요소라는 의견임.
  - 일부 바이어들은 실험 보고서나 공식적인 분석자료 이외에 한 기간에 걸친 현지 테스트 결과물 또는 소비자들의 피드백을 요구함. 따라서, 한국 회사들은 잠재력 있는 소비자들로부터 이뤄진 시장 조사를 하기 위해 샘플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
 
 ◦ 한국회사들은 미팅을 진행 시, 말레이시아 바이어들에게 다양한 포장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권장함.
  - 소비자들의 경제적 여건에 맞추기 위해, 다양한 사이즈로 준비한다면, 말레이시아 바이어들의 마음을 이끌 수 있을 것임..
  - 또한, 다양한 사이즈로 포장된 상품들을 통해 판매자들은 3개에 2개가격과 같은 묶음 행사를 진행할 수도 있음. 묶음 행사는 말레이시아에서 널리 이용되는 효과적인 판매전략임.
 
 ◦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많은 인구비율, 60% 이상이 이슬람을 믿기 때문에 할랄 인증이 중요한 역할을 함.
  - 더 많은 상품들이 할랄 시장으로 진입하게 될 것이며, 따라서 한국 이슬람 연합(KMF) 또는 말레이시아 이슬람 개발부(JAKIM)로부터 공인된 할랄 인증기관의 허가를 받은 한국 상품들을 가져오는 것이 좋은 전략임.



자료원 : 유로모니터, BMI Research, Royal Malaysian Customs Department, Government of Malaysia, Global Trade Atlas, 건강식품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

보관함 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