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박지수 | ||
---|---|---|---|
작성일 | 2018-01-26 | 조회수 | 5,372 |
국가정보 | 아시아>중국 | ||
출처 | KOTRA | ||
원문링크 | http://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64515&column=&search=의료&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page=6&row=10 |
- 대도시 및 1선 도시 중심으로 2·3선 도시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관련 일자리도 증가 -
- 한국식 산후조리원과 관리 프로그램을 결합한 프리미엄 서비스로 중국 시장 공략 필요 -
☐ 중국 산후조리원 시장이 가지는 함의
ㅇ 새로운 부모세대가 이끄는 新 소비 트렌드
- 바링허우(80后, 1980년대생) 부모의 비중이 증가하고 지우링허우(90后, 1990년대생)가 새로운 부모세대를 이루면서, 이들의 높은 수준의 소비와 개성적 소비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자녀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것이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자리잡음.
- 산후조리원은 출산 직후 산모와 아기가 육체적, 심리적 안정을 취하기 위해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곳으로 소비력을 갖춘 신세대 부모를 주고객으로 유치하고 있으며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지속 성장 중인 산후조리원(웨즈중신, 月子中心) 산업
- 중국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중국 내 4천 여 곳의 기관에서 산후조리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으로 나타남.
- 그 중 출산 후 산모와 아이 건강관리 등 산후조리만 전문으로 운영하는 산후조리원은 1300여 곳으로 발표됨.
- 쳰잔산업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두 자녀 정책'''' 실시와 시장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산후조리원을 중국 내 유망산업으로 꼽음.
- 다만, 현재 산후조리원은 높은 소비력을 갖춘 중국 내 대도시 및 1선 도시 중심으로 그 수가 증가하는 추세임.
2011~2017년 중국 내 산후조리원 수
(단위 : 개)
자료원: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시장의 특징
ㅇ 모성 보호와 건강 관리가 중요해지면서 중국 전역으로 확대되는 추세
- 산후조리원의 양적 성장과 함께 다양한 산모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면서 점차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후조리원이 증가하고 있음.
- 해외 유명 병원과 합작해 선진 프로그램을 도입해 고급서비스를 제공하는 산후조리원이 늘고 있음.
ㅇ 산후조리 전문 인력의 부족
- 산후조리원 내 필요한 산후조리원 경영, 고객관리, 산모건강관리사, 영양사, 영아 지도사 등 인력 관리 및 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은 곳이 많음.
- 시장이 급성장 하면서 인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현재는 퇴직 간호사 등 의료분야에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산후조리원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대다수임.
ㅇ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시장가격이 형성되지 않음.
- 지금까지 시장 진입장벽이 낮아 다양한 사업영역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산후조리원 서비스 가격은 정해지지 않고 산후조리원 간 가격 차이가 큼.
- 향후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 산후조리원이 등장하고 소비자의 선택이 다양해지면 고가·중가·저가시장아 구분되고, 가격도 점차 안정을 찾을 것으로 기대됨.
☐ 소비자의 성향 및 선호도
ㅇ 건강과 위생에 관심이 많은 고소득층이 주로 이용
- 쳰잔산업연구원이 중국 내 임산부 대상으로 산후조리원을 선택하는 주요 요인을 조사한 결과, 산후조리원의 전문성에 대한 믿음(40%)과 산모 건강회복을 위해 제공되는 음식(35%)이 높은 비중을 차지함.
중국 소비자가 산후조리원을 선택하는 주요 요인
자료원: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산후조리원 유형별로 살펴보면 전문 의사가 상주하는 호텔식 산후조리원(45%), 전문 산후간호조무사가 상주하는 산후조리원(35%), 산부인과 병원 내 부속 산후조리원(20%) 순으로 선호도 조사결과가 나타남.
산후조리원 유형별 선호도
자료원: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ㅇ 고객 유치를 위해 산후조리원은 이전보다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산후조리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선호도에서는 산모 영양식 식단에 대한 관심도(26%)가 가장 높았고, 산모 건강관리 프로그램(17%)이 그 다음으로 나타남.
산후조리원 서비스별 선호도
자료원: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다롄시 소재 주요 산후조리원
ㅇ 다롄시에 들어선 다양한 프리미엄 산후조리원
- 다롄시 샤허코우취(大连市沙河口区)에 소재한 산후조리원, 메린다푸얼이위안(美琳达妇儿医院)은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JCI) 인증 획득 의료기관으로 4명의 산부인과 의사가 상주하고 있음. 산부인과, 소아과와 함께 산후조리원을 운영하고 평균 이용 가격은 4만 위안으로 알려짐.
- 그 외 10여 개 산후조리원이 다롄시에서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다롄시 내 주요 산후조리원
산후조리원명 |
외경 |
위치 |
평균 가격(위안) |
웨즈황허우푸자짱후이쒀 (月子皇后付家庄会所) |
|
다롄시 중산취 푸자짱 大连市中山区付家庄 国际金融会议中心别墅区(近滨海路) |
60,000 ~ 80,000 |
띠이푸런무잉후리위안 (第一夫人母婴护理院) |
|
다롄시 중산취 샹양제 大连市中山区向阳街79号 (老鳖湾彩虹桥南, 海昌华城小区里) |
|
아이터궈지무잉후리중신 (爱特国际母婴护理中心) |
|
다롄시 시강취 후이췬팅 大连市西岗区惠君庭66 |
40,000 ~ 60,000 |
줘웨찬허우젠캉관리중신 (卓月产后健康管理中心) |
|
다롄시 간징즈취 성선난위안 大连市甘井子区圣林南园69号楼 |
|
루이안웨즈후이쒀 (瑞安月子会所) |
|
다롄시 샤허코우취 후이잔중신 大连市沙河口区会展中心星河路65 星海大观e座10楼 |
|
웨닝웨즈후이쒀 (月寕月子会所) |
|
다롄시 중산취 산핑제 大连市中山区山屏街49号(山屏小学紧邻) |
|
메린다푸얼이위안 (美琳达妇儿医院) |
|
다롄시 샤허코우취 창장루 大连市沙河口区长江路938号 |
20,000 ~ 40,000 |
타이완바오얼웨즈후이쒀 (台湾宝儿月子会所) |
|
다롄시 시강취 바이루화타이제 大连市西岗区八一路华泰街29号 三寰大酒店后身海寰别墅 B座 |
자료원: 산후조리원 홈페이지, KOTRA 다롄 무역관 취합
☐ 전망 및 시사점
ㅇ 산후조리원시장이 커지면서 구체적인 관리감독 방안이 나올 것으로 보임.
- 최근 10년 동안 산후조리원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는 동안 산후조리원에 대한 정부의 관리 감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음.
- 아직은 제대로 된 산후조리원 관리 및 감독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없기 때문에 향후 중국 정부 및 관련기관의 관리 감독 정책 발표가 예상됨.
ㅇ 시장 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나올 것으로 전망됨.
- 중국 내 산후조리원이 증가하면서 시장점유율이 높은 곳을 중심으로 중국 내 브랜드화 및 프랜차이즈사업으로 확장될 수 있음.
- 아직은 시장이 확장되는 단계로 산후조리원 선택 시 전문성을 높이 평가하는 소비자를 위해 한국식 산후조리원 시설과 산모 건강 관리시스템을 결합해 중국시장에 진출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소후재경, 다롄시 소재 산후조리원 홈페이지, KOTRA 다롄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