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이맹맹(칭다오무역관) | ||
---|---|---|---|
작성일 | 2015-11-12 | 조회수 | 6,662 |
국가정보 | 아시아>중국 | ||
출처 | 글로벌윈도우 | ||
원문링크 |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SCH_TYPE=SCH_SJ&SCH_VALUE=%EC%9D%98%EB%A3%8C&SCH_CMMDY_CATE_CD=00000&NM_KO=&BKCODE=&SCH_AREA_CD=00000&SCH_NATION_CD=000000&SCH_TRADE_CD=0000000&SCH_START_DT=&SCH_END_DT=&RowCountPerPage=10&BBS_ID=10&MENU_CD=M10012&UPPER_MENU_CD=M10002&MENU_STEP=2&Page=1&RowCountPerPage=10&MODE=L&ARTICLE_ID=5033076&ARTICLE_SE=20302&NM_EN= |
중국 의료기기 시장 어디까지 성장할까?
- 세계에서 2번째로 큰 시장 중국, 최대 수입지역은 유럽 -
- GPS(GE, Philips, Siemens)가 80% 점령한 중국 시장 -
□ 중국 의료기기 관련 기업 현황
○ 중국 의료기기 생산기업은 총 1만6169개
- 그 중 2류 의료기기 생산기업은 9355개(5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 중국 의료기기 생산기업은 매년 3%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의료기기 등급 |
생산기업 수 (2014년) |
정의 |
1류 |
3,966 |
일반적인 관리를 통해 안정성과 보존성이 지속되는 의료기기 예) 붕대, 밴드, 기초 외과 수술기 |
2류 |
9,355 |
안정성과 보존성에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의료기기 예) 체온기, 혈압 측정기, 임신테스트기 |
3류 |
2,848 |
직접 체내에 침투·삽입하는 의료기기; 생명유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의료기기로 안정성과 보존성에 엄격한 관리가 필요한 의료기기 예) 수술용 내시경, 혈액 정화 장비, 1회용 주사기 |
자료원: 国家食品药品监督管理总局
○ 최근 2류 의료기기 생산기업 지속 증가 추세
중국 1류·2류·3류 의료기기 생산기업 수량 및 증가율(2009~2014년)
자료원: Normalline, KOTRA 칭다오 무역관
○ 중국의 3대 의료기기 산업 클러스터
- 현재 중국의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북경톈진 발해만에 의료기기 산업 밀집지역 형성
- 2013년 판매 수입 TOP 5의 성은 광둥, 장쑤, 상하이, 산둥, 베이징
- 이 5개 지역의 매출은 중국 전체 시장의 66.7%의 비중을 차지함.
지역 |
중심도시 |
발달 산업 |
주요 생산 |
주강삼각주 |
선전 |
전자 산업 |
종합성 프리미엄 과학기술 의료기기 연구개발·생산 예) 감호기기, 초음파 진료기, 감마나이프 등 |
장강삼각주 |
상하이 |
메커트로닉스(mechatronics: 기기공학과 전자공학을 통합한 분야) 제조 |
중소형 의료기기를 생산 개발 및 수출 |
발해만 |
베이징 |
과학연구 기술개발 |
첨단기술 디지털 의료기기 연구 개발 및 생산 |
자료원: KOTRA 칭다오 무역관
○ 중국 의료기기 판매업체
- 2014년 말까지, 중국에서 허가증을 보유한(2류·3류) 의료기기 판매업체는 총 18만9833개이며, 6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중국 2류·3류 의료기기 판매기업 수량(2009~2014년)
자료원: Normalline, KOTRA 칭다오 무역관
□ 전 세계 2위 의료기기 시장
○ 2014년 중국 의료기기 매출 총액 2235억 위안
- 2005~2014년, 10년간 중국 의료기기 시장 매출 총액은 325위안에서 2235위안으로 6배 증가함.
- 일본을 밀어내고 전 세계 2위의 의료기기 시장으로 성장
중국 의료기기 산업의 매출총액 분석
자료원: 中国产业信息, KOTRA 칭다오 무역관
○ 2015년 1~6월까지 중국 의료기기 산업의 누적 매출총액은 1080억9200만 위안임.
- 2020년 의료기기 산업의 매출총액은 4636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
2015~2020년 중국 의료기기 설비 및 기기 제조산업 매출총액 예측
자료원中国产业信息, KOTRA 칭다오 무역관
□ 외국기업이 점령한 ‘고급 의료기기 시장’
○ 중국 의료기기시장의 75% 중저급 제품이고, 나머지 25%는 중고급 제품이며, 중고급 제품 중 70%는 외국제품
중국 고급 의료기기 시장에 외국기업 시장 점유율
(단위: %)
자료원: 中国仪表网, KOTRA 칭다오 무역관
○ 대형 의료기기 시장의 80%, ‘GPS조합’이 점령
- 제너럴 일렉트릭(GE), 필립스(Philips), 지멘스(Siemens)의 ‘GPS 조합’의 중국 대형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점유율
(단위: %)
시장점유율 |
CT류 |
핵자기 공명 MRI류 |
초음파 영상류 |
핵의학류 |
DR류 |
혈관 조영기 DSA류 |
제너럴 일렉트릭 |
31.5 |
33.8 |
29.4 |
39.4 |
15.3 |
27.7 |
필립스 |
22.1 |
17.7 |
27.4 |
15.3 |
19.6 |
33.2 |
지멘스 |
29.7 |
34.2 |
12.2 |
33.2 |
18.6 |
30.2 |
합계 |
83.3 |
85.7 |
69.4 |
87.9 |
53.5 |
90.1 |
자료원: 2014年中国医械设备售后服务研究调查报告,医械创新网
- 외국 의료기기 점유율이 높은 이유는 하드웨어 기술, 품질, 애프터서비스(A/S) 면에서 중국산 의료기기보다 경쟁력이 있기 때문
□ 중국 의료기기 유통경로
○ 주로 병원, 약국, 의료기기 전문 매장을 통해 판매
- 2014년 중국의 의료기기는 약 2556억 위안의 매출 규모 중 병원시장의 규모는 1944억 위안으로, 76.09%를 차지함.
- 소매시장은 약 612억 위안이며, 23.91%를 차지함.
2014년 중국 의료기기 판매경로 분석
자료원: 中华医用器械网
○ 전자상거래를 통한 매출 증가
- 2014년 중국 의료기기 소매시장에서 오프라인 매출액은 총 454억 위안(점유율 74.18%), 전자상거래를 통한 매출액은 158억 위안(점유율 25.82%)
2014년 중국 의료기기 소매경로 분석
자료원: 中华医用器械网
- 2014년 오프라인 소매경로를 통한 매출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전자상거래를 통한 매출은 크게 증가
□ 중국 의료기기 수입 현황
○ 2014년 중국의 의료기기 교역 규모는 357억9400만 달러이며, 전년동기대비 4.32% 증가
- 수출액은 200억2300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3.56% 증가
- 수입액은 157억7100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5.32% 증가
○ 중국의 의료기기 최대 수입시장은 유럽
- 유럽, 북미, 아시아의 점유율은 96.02%를 차지
2014년 중국 의료기기 수입대상 지역
자료원: 중국해관
○ 주요 수입제품은 진료설비, 컬러 초음파진단기, 건강회복 용품, X-ray 기기 등
- 이 중에서 1억 달러 이상 수입 의료기기 제품은 35가지에 달함.
중국 의료기기 제품별 수출입 통계(2014년 상반기)
(단위: 억 달러, %)
제품명 |
수출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합계 |
92.94 |
3.15 |
74.91 |
10.01 |
의료용 붕대류 |
12.54 |
10.84 |
16.14 |
25.66 |
의료용 소모품 |
15.25 |
-8.58 |
10.89 |
1.56 |
진료 설비 |
41.33 |
1.95 |
53.26 |
9.14 |
건강회복 용품 |
20.96 |
11.66 |
6.80 |
29.42 |
치과 설비 및 자재 |
2.85 |
2.23 |
2.33 |
15.29 |
자료원: 중국해관
- 특히 광학 방사선은 5억58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3.19% 증가(2014년 상반기)
중국 수입 의료기기 TOP 10(2014년 상반기)
(단위: 억 달러, %)
번호 |
제품명 |
수입액 |
증감률 |
1 |
광학 방사선(자외선, 적외선, 가시광선)의 기기 및 장치 |
5.58 |
13.19 |
2 |
기타 의료기기 및 기구 |
5.19 |
24.32 |
3 |
도관, 삽관 및 기구 |
5.11 |
12.42 |
4 |
컬러 초음파 진단기 |
4.57 |
2.84 |
5 |
기타 의료 혹은 동물용 X-ray 설비 |
3.22 |
6.77 |
6 |
건강회복용품, 장애인용 기구 등 |
3.17 |
16.84 |
7 |
X-ray 단층 검사기 |
3.06 |
-11.33 |
8 |
광학 방사선(자외선, 적외선, 가시광선)의 분광기, 분광 광도계 및 분광기 |
2.58 |
2.16 |
9 |
핵자기공명(NMR) 영상 장치 |
2.57 |
1.82 |
10 |
내시경 |
2.42 |
37.08 |
주: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임.
자료원: 중국해관
□ 중국 의료기기 수입허가 신청(1, 2, 3등급별 CFDA 허가)
○ 중국에서 의료기기를 수입하기 위한 통관서류 준비 시 ‘중국 CFDA 허가’를 추가 준비해야 함.
- 중국 CFDA 허가 신청 시, 아래 절차를 거쳐야 함.
의료기기 등급 |
생산기업 수 (2014년) |
정의 |
1류 |
3,966 |
일반적인 관리를 통해 안정성과 보존성이 지속되는 의료기기 예) 기초 외과 수술기기, 의료 검사기기, 간호 기기 등 |
2류 |
9,355 |
안정성과 보존성에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의료기기 예) 안과용 기기, 치과용 기기, 신경외과 수술기기 등 |
3류 |
2,848 |
직접 체내에 침투·삽입하는 의료기기; 생명유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의료기기로 안정성과 보존성에 엄격한 관리가 필요한 의료기기 예) 1회용 의료기기, 병이 전염될 수 있는 기기, 심장 수술용 기기 |
○ 절차① 제품 검측
- 1류 제품은 중국에서 검측 받을 필요가 없으며, 생산국에서 발급하는 검측보고를 제출하면 됨.
- 2류, 3류 제품은 중국식품약품감독총국에서 지정하는 기관에서 검측을 받아야 함.
- 가격: 약 3만~10만 위안/건, 기간은 2~6개월
○ 절차② CFDA(중국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에서 신청
- 1류 제품: 신청비는 없음. 소요기간은 약 1개월
- 1류 의료기기 등록 신청 시, 필요한 자료
· 해외 의료기기 등록 신청서
· 의료기기 생산업체의 자격 증명서
· 신청자의 영업 허가증 사본, 생산 업체에서 수여한 대리 등록 위임장
· 적용하는 제품의 표준 및 설명
· 제품의 성능 검사 보고서
· 기업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현존 지원 조건’및 ‘품질 관리 능력(검측방법 포함)’의 설명
· 의료기기 설명서
· 생산 업체가 중국에서 지정한 대리인의 위임장, 대리인의 보증장 및 영업허가 혹은 기관 등기 증명서
· 중국에서 지정한 애프터 서비스(A/S)기관의 위임장, 위탁 기관의 보증장 및 자격 증명서
· 제출하는 모든 자료에 진실성이 있다는 ‘자기 보증 성명서’
· 기타
- 2류 제품 신청비: 21만900위안/건(1~3년)
- 3류 제품 신청비: 30만8800위안/건(임상시험 불필요 시 1~1.5년, 임상시험 필요 시 2~3년)
- 2류, 3류 수입 의료기기 등록 시 필요한 자료
- 외국기업이 생산한 의료기기 등록 시, 제출해야 하는 자료
· 해외 의료기기 등록 신청서
· 의료기기 생산업체의 자격 증명서
· 신청자의 영업 허가증 사본, 생산업체에서 수여한 대리등록 위임장
· ''''해외 정부의 의료기기 주무부처의 허가'''' 혹은 ‘해외 정부의 의료기기 주무부처에서 본 의료기 기(제품)을 인가해 본국(지역)시장에서 유통하고 있다는 증명문서’
· 적용하는 제품의 표준
· 의료기기 설명서
· 의료기기 검사기관에서 발급한 제품등록 검사 보고서
· 의료기기 임상실험 자료.
· 생산기업이 발급한 ‘제품 품질 보증서’
· 생산기업이 중국에서 지정한 대리인의 위임장, 대리인의 보증장 및 영업 허가 혹은 기관 등기 증명서
· 제출하는 모든 자료에 진실성이 있다는 ‘자기 보증 성명서’
□ 시사점
○ 중국 의료기기산업의 거대한 성장잠재력
- 전 세계 의약시장(기기 및 제품) 규모에서 의료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42%인 반면, 중국은 14%로 비중이 낮음.
- 미국 의료비는 GDP의 16%를 차지하며, 이에 반해 중국의 의료비는 GDP의 5% 밖에 차지하지 않음.
- 현재 중국도 노령화로 인해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매우 큼.
○ 고급 의료설비산업에 ‘(중)국산화’가 진행 중
- 2013년부터, 중국 정부에서 의료기기 산업 발전에 관한 18개의 정책을 발표했음. 예) 2014년《의료기기 감독관리 규정》
- 관련 정책으로 인해 중국의 의료기기 시장은 수입제품보다 중국산 제품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
○ 온라인 판매, 앞으로 의료기기 산업의 중요한 판매경로가 될 것
-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가정용 의료기기 판매 증가 추세 지속
○ 한국 기업은 중국 중고급 의료기기 시장 진출을 위해 중국 기업과 유통망 활용, 업무 제휴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합작, 인수합병 전략이 필요
자료원: 中国海关, 腾讯网, 新华网, 中国仪表网, 中华医用器械网, 医械创新网, 中国产业信息 및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