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김명신(상하이무역관) | ||
---|---|---|---|
작성일 | 2014-03-12 | 조회수 | 3,113 |
국가정보 | 아시아>중국 | ||
출처 | 글로벌윈도우 | ||
원문링크 |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SCH_TYPE=SCH_SJ&SCH_VALUE=%EC%9D%98%EB%A3%8C&SCH_CMMDY_CATE_CD=00000&NM_KO=&BKCODE=&SCH_AREA_CD=00000&SCH_NATION_CD=000000&SCH_TRADE_CD=0000000&SCH_START_DT=&SCH_END_DT=&RowCountPerPage=10&BBS_ID=10&MENU_CD=M10012&UPPER_MENU_CD=M10002&MENU_STEP=2&Page=7&RowCountPerPage=10&MODE=L&ARTICLE_ID=5012609&ARTICLE_SE=20302&NM_EN= |
상하이의 유망 의료서비스는 이것!
- 고소득층 늘면서 고급 의료서비스 수요 급증… 안과, 치과, 성형외과 고급 개인병원 늘어 -
- 두자녀정책 실시로 소아전문 병원 유망… 발육관리, 건강검진 서비스 시장성 높아 -
□ 고급 의료서비스 수요 빠르게 늘어
○ 2013년 10월 14일 중국 국무원은 ‘보건의료서비스산업 발전을 촉진하는데 관한 약간의 의견(關於促進健康服務業發展的若干意見)’을 발표해 2020년까지 보건의료서비스산업 규모가 8조 위안을 초과하도록 한다는 목표를 제시함.
- 미국의 의료산업 비중이 전체 GDP의 17.6%를 차지하는데 비해 중국은 5.1%에 불과해 시장 확대 여지가 매우 큼.
○ 중국에서 맞춤형 의료서비스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 고소득층이 빠르게 늘고 소비가 업그레이드되면서 고급 재화에 대한 소비 욕구가 품격있는 체험서비스를 원하는 욕구로 확대되고 있음.
- 중국의 국립병원 의료서비스는 고소득층이 원하는 높은 수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민간자본이 투자해 설립한 개인병원의 시장성이 커지고 있음.
- 실제로 상하이에서 유명한 A국립병원의 일반 외래진료의 경우 진료시간이 너무 짧고 약 처방에 과도하게 진료를 보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함.
- 이 때문에 진료비가 비싸더라도 특히 아동 관련 질병치료를 위해서는 외국계 병원이나 고급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음.
○ 중국 의료시장은 국립병원을 위주로 하고 민간 의료시장은 매우 작음.
- 그러나 최근에는 건강검진, 성형외과, 산부인과, 치과, 안과 등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안전하다고 할 수 있는 전문분야를 중심으로 고급 의료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음.
□ 가장 각광받는 분야는 건강검진 서비스
○ 건강검진은 중국인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이후 가장 수요가 두드러지게 늘어나는 분야임.
-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정기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음.
- 2011년 중국의 건강검진 이용자는 3억4400만 명이 이용하며 2010년 대비 19.7% 늘었음.
- 2008~2011년 중국 건강검진시장이 20.5% 성장함.
- 병원과 보건소가 주요 건강검진기관으로 전체 시장의 77%를 차지하며, 사립 전문 건강검진기관은 2%에 불과함.
○ 중국의 주요 건강검진기관으로는 츠밍티졘(慈銘體檢), 아이캉궈빈(愛康國賓), 메이녠다졘캉(美年達健康) 등이 있음.
- 츠밍티졘은 2014년 중국 증시에 상장했으며 아이캉궈빈은 올해 미국 증시에 상장할 계획임.
- 2013년 말까지 츠밍티졘은 중국 13개 지역에 42개 센터를 설립하며 빠르게 확장 중임.
- 2012년 수입이 6억7000만 위안, 순이익 9792만 위안이었으며 지난 3년간 수입이 25% 늘어남.
○ 중국 전문 건강검진기관의 수입은 대부분 단체 건강검진에서 발생함.
- 단체의 경우 수입이 안정적이지만 시장 자체의 성장여지가 낮음.
- 고소득 개인을 대상으로 한 시장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 시장이 매우 유망함.
- 단순한 건강검진뿐만 아니라 검진결과를 생활과 연결시켜 평상시의 건강관리 가이드, 컨설팅, 관련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의 고급화된 맞춤형 의료서비스가 시장성이 있음.
츠밍티졘 내부
자료원: 바이두(百度)
□ 고급 개인 치과, 안과병원 시장성 높아
○ 치과나 안과와 같은 전문 의료분야는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항목이 많음.
- 이런 분야는 환자들의 서비스 요구가 높아 개인전문병원을 찾는 수요가 일찍부터 형성됨.
- 체인병원 형태로 빠르게 확대됨.
○ 아이얼안과는 국립병원과 협력해 안과수술을 하고 있으며 국립병원 시설과 의사를 활용해 안과수술을 하고 이윤을 나눔.
- 중국은 안과수술시장이 매우 크며 아이얼안과 분점은 2009년 19개 병원에서 현재는 49개까지 늘어남.
- 중심병원, 성회병원, 지급병원 등 지역 규모에 따라 병원체계를 갖추고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광저우(廣洲), 선전(深圳) 등 대도시에 포진해 있음.
- 우수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핵심의사를 파트너로 지정해 지분참여를 하도록 함.
○ 고급 치과인 루이얼치과는 체인병원 형태를 띄고 있으며 주로 고급 오피스빌딩에 입점함.
- 루이얼 치과는 1선 도시에서 성공을 거둔후 2선 도시로 확장 중임.
- 2013년 루이얼치과는 타이핑손해보험(太平財險)과 협력해 고급 치과보험 상품을 출시함.
- 치료에서 건강관리로 고객관리 방식을 전환하고 고객별로 평생관리 개인파일을 만들어 지속적으로 건강관리와 방안을 제시하는 등 고객과의 밀착도를 높이고 있음.
□ 상하이 푸동, 홍차오, 첨단의학원구로 지정
○ 전문 의료시설과 비교했을 때 종합병원은 진입장벽이 높고 투자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투자주기가 길기 때문에 리스크가 큼.
- 중국의 고급 종합병원은 발전단계면에서 초기단계임.
- 일부 고급 의료기관이 종합병원으로 자리매김하기는 했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종합병원보다는 전문 의료시설에 가까움.
○ 2012년 상하이시는 푸둥(浦東)지역과 훙챠오(虹橋)지역을 첨단의학원구로 지정하고 2015년까지 수십 곳의 첨단 종합 및 전문 의료기관을 설립할 예정임.
- 2013년 11월부터 운영 중인 상하이국제의료센터는 상하이 첨단의학원구에 소재한 3급 병원이자 고급 종합병원에 해당함.
- 아시아 최대의 사립의료기관인 싱가폴 파크웨이헬스(Parkway Health)의 책임운영관리 시스템을 도입함.
- 병원의료서비스 이외에 첨단노인요양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임.
- 센터에서는 고급 건강검진 서비스, 노인대상 고급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함.
- 센터에서는 미국 CPT 표준의 50% 정가로 환자가 부담해야 할 의료 비용을 산출함.
- 환자는 일반 의료보험혜택을 받을 수 없으며, 본인이 직접 비용을 지불하거나 민영보험기관을 통해 보험혜택을 받아야 함.
□ 헝다그룹, 하버드대와 협력해 고급병원 설립 추진
○ 대형 부동산기업들이 고급 의료서비스 분야에 진출하고 있음.
- 2013년 12월 4일 헝다(恆大)그룹은 하버드대학교와 협력해 중국에 세계 최고수준의 종합병원을 설립할 것이라고 밝힘.
- 헝다그룹과 하버드대학교는 현재 부지 선정 중임.
- 헝다그룹이 병원설립에 필요한 투자를 책임지며, 하버드 대학교 부속 브리검앤우먼스 병원(Brigham and Women''''s Hospital)에서 병원 관리나 의료진들을 담당하기로 함.
○ 중국의 국립병원 체질 개선이 더디며 약을 팔아 이윤을 남기는 방식이 근본적으로 개선되지 않음.
- 장기적으로 진료비용을 낮추라는 압력을 받으면서 병원과 환자 간 입장차가 심해짐.
- 병원은 병원대로, 환자는 환자대로 불만족스러워하는 상황임.
□ 시사점
○ 중국에서 병원을 운영하는데는 인맥이 매우 중요함.
- 건강검진은 주로 단체고객에 의존하며 이것은 인맥과 깊이 관련돼 있음.
- 종합병원은 자금뿐만 아니라 투자, 운영면에서 정부와의 네트워크가 매우 강함.
- 이에 비해 치과, 안과, 성형외과 등 전문 의료시설의 진입장벽은 비교적 낮음.
- 이 분야는 한국 의료기관이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임.
- 중국이 두자녀정책을 실시하면서 앞으로는 소아전문 병원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상하이에는 외국인이 갈 만한 소아과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고급 소아과가 시장성이 있으며 치료뿐만 아니라 어린이 발육상태 체크를 위한 건강검진, 발육관리 서비스 등 시장이 유망한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新財富, 搜狐網, 新浪網, 新化網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