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박지현(타이베이무역관) | ||
---|---|---|---|
등록일 | 2014-10-08 | 조회수 | 5,072 |
출처 | 글로벌윈도우 | ||
원문링크 |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SCH_TYPE=SCH_SJ&SCH_VALUE=%EC%9D%98%EB%A3%8C&SCH_CMMDY_CATE_CD=00000&NM_KO=&BKCODE=&SCH_AREA_CD=00000&SCH_NATION_CD=000000&SCH_TRADE_CD=0000000&SCH_START_DT=&SCH_END_DT=&RowCountPerPage=10&BBS_ID=10&MENU_CD=M10012&UPPER_MENU_CD=M10002&MENU_STEP=2&Page=5&RowCountPerPage=10&MODE=L&ARTICLE_ID=5020891&ARTICLE_SE=20302&NM_EN= |
대만 의료시장 정보①: 의료기기 산업 동향
- 중소형 크기, ODM방식 가공업체 위주의 시장 -
- 가정용 소비성 및 의료소모품 위주 소비 높아 -
□ 대만 의료기기 시장규모
○ 의료보험 구축이 잘 돼있어 새로운 장비 도입에 적극적이지 않아 병원용 의료장비시장으로의 진입이 비교적 어려운 편이며 의료기기 제조허가절차가 복잡해 60% 이상의 의료기기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임.
- 반면, 소비성 의료기기나 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 분야는 수익성이 높아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음.
○ 제조기업 대다수가 유럽, 일본, 미국 등 글로벌 대기업에 ODM 방식으로 가공·수출하는 업체임.
- 주요 부품 이외의 부속품은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아직 특정 공급망 체계가 갖춰지지 않았음.
- 대만시장 내 761개의 중소형 제조업체가 있으며 80% 이상의 제조업체가 중국 등 해외에 공장 및 지사 설립 등의 방법으로 진출해 제품을 생산함.
대만 의료기기 산업 규모
(단위: %, NTD 억)
항목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예상) |
시장규모 |
662 |
682 |
760 |
814 |
858 |
수출비중 |
60.73 |
67.11 |
65.97 |
64.67 |
64.52 |
수입의존도 |
67.30 |
67.11 |
65.97 |
64.67 |
64.52 |
국내자급률 |
32.70 |
32.38 |
34.03 |
35.33 |
35.48 |
자료원: 공업연구원 IEK
○ 대만 해관수출입통계에 따르면 2013년 대만의료기기 수입금액은 605억 신타이완달러, 수출금액은 484억 신타이완달러임. 수입액은 2012년보다 5.7% 성장했고 수출액은 4.1% 성장했음.
- 공업연구원 IEK 보고서에 따르면 수입액은 주로 어깨투석장치, 치과기계, 안과측정기, 미용성형설비, 정형외과 이식기기 및 보청기 등 장치의 내수시장에서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함.
- 또한, 수출액은 국내 치과설비와 부속품, 체외진료시제, 안과측정기, 렌즈, 물리치료설비 등 장치의 수출 증가로 인한 것으로 분석
- 대만 의료기기 수입의존도는 60% 정도를 꾸준히 유지하고, 이는 내수시장의 중고급 의료기기가 다수인 것으로 분석함.
대만 의료기기 수출입 현황
(단위: 억 NTD)
자료원: 대만해관 수출입통계
대만 의료기기 주요 수출상품
혈당측정기(HEALTH & LIFE 사) |
|
보행보조기(ZOJIRUSHI 사) |
|
전동차(KANG YANG 사) |
|
렌즈(ACUVUE 사) |
|
자료원: 대만 야후 및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자체정리
○ 대만 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14%를 넘어섰으며 노화질병과 만성질병 등을 대상으로 한 노인 위주 의료서비스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이에 따라 실버세대 관련용품 수요가 늘고 있음.
- 공업연구원 IEK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을 기준으로 대만 노인 수는 311만 명에 육박할 것이며, 전체인구수에서 노인수가 어린이수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함.
- 또한, 최근 저출산 현상의 심화로 노령화 역시 급속도로 진행돼 2060년에는 일본을 뛰어넘어 노인인구가 전체인구 중 4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함.
대만 실버세대용품 전문 판매사이트 러링왕
자료원: 러링왕 홈페이지
- 이러한 가운데 실버세대용품 전문판매사이트 러링왕(樂齡網; www.ez66.com.tw)은 2007년 창립이래로 매년 20% 이상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2000여 종의 상품 가운데 휴대용 지팡이와 보행보조기구의 판매가 두드러짐.
□ 정부정책
○ 대만 정부는 2009년 4월부터 외국기업의 ‘6대 신흥산업’을 지정해 투자를 장려하고 의료기기분야가 이에 해당됨.
- 외국기업이 대만 내 의료기기 R &D 분야에 투자할 경우 투자금액 15%내로 해당 연도의 사업소득세를 감면해주며, 대만 내 제작 이력이 없는 산업기기 및 기계 수입 시 수입관세를 면제해주는 등 세금 우대혜택을 시행하고 있음.
○ 대만 경제부는 의료기기시장분야의 스마트자동화를 위해 OLED, 스마트 전동차, 스마트물류망 서비스 등 헬스케어 방면에 향후 5년 동안 9억 신타이완달러를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힘.
□ 대만 의료기기 제조기업 현황
○ 일부 대만 의료기기 제조기업은 고급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제품의 연구개발을 추진 중이며, 이로 인한 대만시장 내 의료기기 관련 산업 변동이 예상됨.
기업명 |
Health &Life(合世) |
홈페이지 |
www.healthandlifa.com.tw |
매출액 |
8199억 NTD |
업종 |
생명과학·의료 |
특기사항 |
1985년 설립한 대만 건강기기 제조업체로 대만 타이중(台中)에 본사를 두고 대만과 중국선천에 공장을 설립, 세계 9개국에 자회사를 설립함. 혈압 및 혈당측정기 전문 제조업체 |
기업명 |
CHC Healthcare Group(承業) |
홈페이지 |
www.cyhc.com.tw |
매출액 |
미공개 |
업종 |
생명과학·의료 |
특기사항 |
대형 의료기기 대리상으로 방사선 종양 측정 및 치료 관련 기계의 판매, 임대 및 유지 등을 시작으로 치과설비기기, 안과설비기기, 신경의학기기, 영상의학 등의 영역에서 GE, Leica, Varian, Elekta 등 세계 브랜드의 대리판매를 하고 있음. |
기업명 |
microlife(百略) |
홈페이지 |
www.microlife.com.tw |
매출액 |
미공개 |
업종 |
생명과학·의료 |
특기사항 |
1981년 설립한 혈압, 혈당 등 측정기 전문 제조업체로 타이베이에 본부를 두고 스위스와 미국에 자회사를, 중국에 공장을 설립함. 주요 제품으로는 혈압측정기, 호흡기, 병원용 전기장판, 체중기, 인바디기계가 있음. |
자료원: 경제부 대만투자입구망(投資台灣入口網) 홈페이지 및 KOTRA 타이페이 무역관 자체정리
□ 대만 의료기기 관련 전시회 정보
○ 현재 대만에서 열리는 의료기기 관련 전시회는 총 2개로 일반 의료기기 전시회(대만국제의료전시회)와 실버세대를 주 타깃으로 하는 전시회(실버세대 및 의료서비스산업전)로 나뉘어 열리고 있음.
대만 의료기기 관련 전시회
전시일시 |
명칭 |
전시장소 |
사이트 |
2014.6.19.~22. |
대만국제의료전시회 |
타이베이 |
www.medicaretaiwan.com |
2014.6.19.~22. |
대만국제실버세대 및 의료서비스산업전 |
타이베이 |
www.sencare.com.tw |
자료원: 공업연구원IEK, 대만 구글
○ 전시 구역은 총 11개 구역으로 나눠지며 전시상품은 의료측정기를 포함해 총 12개 종류로 나뉘어 전시가 이뤄짐.
- 전시 상품 분류: 의료측정기(병원설비, IT설비, 성형설비용품), 실험실측정기 및 생명공학검측설비, 보조기구(휠체어, 전동차 및 그 부속품), 의료처치용품 및 소모품, 보건 및 재활용품(실버세대용품, 물리치료, 개인의료용품 및 기기), 진료측정기 및 설비, 멸균기 및 설비, 치과 및 정형외과기기, 외과수술기기, 응급설비, 의료서비스, 의학도서 혹은 의학 교육설비
□ 가격 경쟁력과 탄탄한 품질로 대만 내수시장 공략!
대만 의료용품 체인형태 대표기업
자료원: medFist, WELLCARE 홈페이지
○ 소매형식의 의료기기 판매처는 종합병원 내 입점해 있는 판매처와 종합병원과 인접한 곳에 위치한 판매처로 나뉨.
- 판매형식은 체인점 형식과 일반약국에 비치돼 판매되는 형식
- 체인형식의 판매처는 입점위치가 좋은 편이며 상품이 다양하고 편리함.
대만 의료기기 및 용품 판매거리 및 약국 내 시판 중인 의료용품
자료원: 타이베이무역관 자체보유자료
○ 현지 소매 판매상(W점) 인터뷰에 따르면 의료기기 및 보건용품의 경우 소비자는 인터넷 구입보다 소매점에서 직접보고 구입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함.
- 또한, 제품의 원산지를 구입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독일, 미국, 일본 제품 위주로 선호하고 중국 제품을 기피한다고 함.
- 특정 브랜드의 제품을 구입 전에 먼저 결정하고 오는 경우도 있지만 점원의 추천도 구입결정에 상당부분 영향을 미친다고 함.
○ 현지 약국 인터뷰에 따르면 소비자는 주로 가격을 중점적으로 보고 구입을 고려함.
- 소비자의 약국 내 의료기기 구입은 주로 압박붕대나 밴드류 등의 소모성제품이며 주로 약사의 추천으로 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함.
□ 시사점
자료원: 공업연구원IEK
○ 대만 의료기기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진출 전략이 필요함.
- 대만 의료기기 산업은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 치료받기 보다는 주거지 내에서 자가 치료를 선호하는 대만인 특성에 따라 병원진료·치료관련용품보다는 가정용 소비성 및 의료소모품 관련 의료기기가 77%를 차지하며 주를 이룸.
○ 대만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대만시장에서 유통되는 의약품은 대부분 유럽, 일본, 미국 등 선진국 제품이며 소비자의 한국산 의약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함.
- 한국 업체의 대만시장 진출 시 국제적인 인증 및 임상실험 자료 유무 등 제품 성능과 안정성을 증명할 필요가 있음.
○ 내수시장에서 수입의존도가 높은 만큼 한국 업체가 진출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다고 판단됨.
- 생명건강과 관련된 분야인 만큼 높은 품질력으로 튼튼한 기반을 형성해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임.
자료원: 대만 복리부 식품약물처, 현지 바이어 및 소매점 인터뷰, 공업연구원IEK, 기타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보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