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GHKOL 상담센터

해외뉴스클리핑

(상품DB) 에티오피아 의약품 시장동향 및 전망

게시글 상세 - 작성일, 조회수 출처, 링크 국가
출처 KOTRA
링크 http://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71956&column=&search=의료&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page=1&row=10
국가 아프리카>에티오피아
작성일 2018-12-24 조회수 6,044

 

* 선정사유

- 에티오피아는 미흡한 의약품 산업기반으로 인해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는 약 USD 8.8억으로 추산되고 있음. 2017년 수입은 USD 7.6, 국내생산 USD 1.2억으로 추산되며, 국내 생산은 진통제, 항생제, 감기약 등 저부가가치로 대량 생산되는 기초 의약품에 국한되고 있음.

- 한편 1억 이상의 인구와 가처분 소득 증가, 에티오피아 정부의 의약품 공공조달 등을 감안할 경우 향후 우리기업들의 시장진출 확대가 기대되고 있는 바, 향후 우리 기업들의  효과적인 시장진출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함

 

1. 에티오피아 시장개요 및 특징

 

ㅇ 에티오피아는 미흡한 의약품 산업기반으로 인해 국내수요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는 약 USD 8.8으로 추산되고 있음. 2017년 기준 수입은 USD 7.6, 국내생산 USD 1.2억으로 추산되며, 국내 생산 제품은 진통제, 항생제, 감기약, 구충제 등 저부가가치로 대량 생산되는 기초 의약품에 국한됨.

 

ㅇ 또한 낮은 경제력으로 인해 전체 소비량의 70%는 에티오피아 의약 조달청(PFSA)에서 조달하고 있으며, 나머지 30%는 민간이 차지하고 있음. 특히 개인소득 및 민간병원 증가로 인해 민간시장이 성장세에 있기는 하나 궁극적으로는 안정적인 공급선 확보와 시장 확대진출을 위해서는 공공조달시장 참여가 바람직함.

 

EU국가로부터 수입되는 품질 위주의 의약품, 인도로부터 수입되는 가격 위주의 의약품으로 나눠지는 시장으로서 EU국가로는 이태리, 네덜란드, 벨기에, 사이프러스, 프랑스 등이며, 보통 ODA를 재원으로 한 공공조달 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하고 있음.

 

ㅇ 에티오피아 의약품 시장에 오랜기간 자리잡은 인도산 의약품의 경우 과거부터 에티오피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가격경쟁력과 더불어 신속한 제품등록 및 홍보활동이 주효한 것으로 알려짐. 실제로 에티오피아 의약산업에 투자진출한 인도기업도 많을 뿐더러 이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더 많은 인도기업들의 시장에 참여하는 것으로 분석됨.

 

ㅇ 의료기기와 마찬가지로 에티오피아 의약품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수입 파트너를 통한 제품 등록 및 마케팅 활동이 매우 중요한데 의약품 판매를 위해서는 에티오피아 식약안전청 (FMHACA)에 제품 테스트 및 등록이 필수적이며, 글로벌 기업들은 수입업계 및 병원을 대상으로 정기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음. 한편 관련기관-업계 간 유착관계로 인해 신규기업에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17년에는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HIV 테스트 키트에 불량이 발견되어 전량 폐기 조치하는 등, 유착관계의 폐해에 따른 자성의 목소리도 증가중임.

 

ㅇ 하기는 에티오피아의 의약품 관련 주요 기업 현황으로서 향후 우리 기업들의 시장 진출 시 제품 등록 및 제품 유통에 있어서 에이전트 및 파트너로서 협력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주요 의약품 제조기업

연번

회사명

주요 생산제품

설립형태

1

Addis pharmaceutical factory S.C

Human Pharmaceuticals

국영

2

Asmi PLC

Surgical dressing and antiseptic disinfectants

민간

3

Cadila Pharmaceuticals(Ethiopia) PLC

Human Pharmaceutical

민간

4

Sino-Ethiop Associate

Pharmaceutical Raw Materials/Hard

empty gelatin capsules

-中합작

5

East Africa Pharmaceuticals

Human & Veterinary pharmaceuticals

민간

6

Ethiopia Pharmaceuticals Mfng.

Pharmaceuticals and medical supplies

민간

7

Fawes Pharmaceutical PLC

Pharmaceutical liquid manufacturing

민간

8

Pharmacure PLC

Large volume intravenous/IV/fluids

민간

9

Rx Africa

Human Pharmaceuticals

-美합작

10

Julphar

Antibacterial, Cough preparations

민간

11-17

Medsol, Fine Chemicals, Queens, Sheba, Wase Pharma, Amshaj Manufacturing

 

주요 의약품 수출기업

연번

회사명

주요 생산제품

설립형태

1

Pharmacure PLC

Human Pharmaceuticals

국영

2

East African Pharmaceuticals PLC

Surgical dressing and antiseptic disinfectants

민간

3

Sino-Ethiop Associate

Pharmaceutical Raw Materials /Hard

empty gelatin capsules

-中합작

4

Labora International Trading PLC

Pharmaceutical Raw Materials

민간

 

주요 의약품 유통기업

연번

회사명

주요 협력 브랜드

1

Caroga Pharma Ethiopia PLC

Aegis Ltd, Fresenius Kabi, Galentic Pharma and Lupin

2

Mesroy International PLC

Aurobindo Pharma Limited

3

Micro Pharma PLC

Cipla Ltd, Glenmark, Pharmaceutical Ltd and ZYG Pharma Pvt. Ltd

4

ZAF Pharmaceuticals PLC

Green Field Pharmaceutical, (Jiangsu) Co Ltd, Shanghai, General Pharm. Co. Ltd, and Shanghai Tongren Pharmaceutical Co. Ltd

5

Ageca Ethiopia PLC

Novartis, GSK, and Pfizer

6

Meditech Ethiopia PLC

Ranbaxy Laboratories, Kuwait, Saudi Pharmaceutical Industries, Co., and Dabur Pharma Limited

7

Equatorial Business Group

Astra Zeneca

 

2. 의약품 관련 정부의 주요 정책 및 시장 전망

 

ㅇ 사회주의 종식 후 에티오피아 과도기 정부는 1993년 의약품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필수 의약품 조달시스템 구축, 국내 의약품 산업 육성, 의약품 안전기준 마련 등의 세부 추진과제를 설정하였음. 한편 에티오피아의 현실과는 다소 괴리가 있는 이상적인 정책 수립으로 인해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과 의약품 보급률 확대 등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묘연한 상황임.

 

2007에는 의약품 관련규제 정비 및 효율적인 공급체계 구축을 위해 의약품조달청 (PFSA)을 설립하고, 2009에는 수행기관으로서 의약품 등록 및 관리를 전담하는 식약안전청(FMHACA)을 설립하였으며 현재까지도 PFSAFMHACA는 상기 언급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 중임.

 

에티오피아 산업발전전략(‘13~‘25)에 따라 의약산업 투자유치 및 예산지원 확대를 추진하고 에티오피아의 중장기 경제개발계획인 GTP-1(Grouth & Transformation Plan 1, ’10~‘15)에서도 이를 반영하고 있으며, 과거 주먹구구식 계획에 비해서는 다소 정교해졌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무리한 목표설정과 세부 추진전략의 부재로 실제 성과는 다소 미흡한 상황임.

 

ㅇ 한편 국내산업 육성을 위한 특단의 조치로서 의약산업 투자기업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혜택을 제공토록 조치하고 있으며, 실제로 에티오피아 개발은행(Development Bank of Ethiopia)를 통해 신규 투자기업에 대해서는 총 투자금의 70%까지 에티오피아 정부에서 무이자로 투자금을 대출해주고, 투자 후 5년내 설비 업그레이드 시 60%까지 대출해 주고 있음.

 

ㅇ 또한 의약품 생산공장 설립을 위한 생산설비, 원자재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고 총 투자금의 15% 까지 설비부품(Spare Parts)에 대한 무관세 적용하고 있으며 총 생산제품 혹은 서비스의 50% 이상을 수출하거나 총 생산제품 혹은 서비스의 75%를 수출기업에 공급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최초 5년간 법인세 면제 (50% 이하일 경우에는 최초 2년간 법인세 면제) 및 수출목적 법인에 한해 산업공단 혹은 투자부지에 대해 낮은 임대료 적용하고 있음.

 

PFSA의 의약품 조달프로젝트를 에티오피아 국내기업이 수주 시, 수주금액의 25%를 무상 지원하고 수주금액의 30%를 선 지급하고 있으며 또한 나머지 70%에 대해 조기 수취를 희망할 경우 개발은행을 통해 지원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에티오피아 정부 예산으로 지원되는 프로젝트의 경우 간혹 이러한 혜택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심지어는 당초 계약한 프로젝트의 이행조건을 PFSA가 공급업체의 동의없이 일방적으로 통보하여 바꾸는 경우까지도 발생하는 등 예상치 못한 돌발변수도 많은 것으로 알려짐.

 

3. 의약품 수입시장 동향 (HS 3001, 3002, 3003, 3004 기준)

 

2017 에티오피아의 의약품 수입시장 규모는 USD 7.6에 달하고 있으며 2016년의 USD 6.7억에 비해 13.5% 증가하였음. 특히’14 USD 3.5억에 비해 ’16년에는 두배 이상 증가한 것을 볼 때 무상차관 (Grant)으로 추진되는 의약품 조달 프로젝트의 증가에 것으로 추정됨.

 

주요 의약품 수입실적

단위 : USD백만, %

순위

품목명

HS코드

(4단위)

2016

2017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Gland etc, dried organ

extracts for therapeutic us

3001

 

-

-

-

2

Blood, antisera, vaccines,

toxins and cultures

3002

128.0

2.4

121.8

-4.9

3

Medicaments mixed together

for therapeutic use, bulk

3003

21.6

889.0

4.0

-79.9

4

Medicaments, therapeutic,

prophylactic use, in dosage

3004

522.6

90.5

636.8

21.8

합계

672.2

90.6

762.9

13.5

자료원 : UN Comtrade

 

ㅇ 품목별로는 치료용예방용 의약품(HS 3004)83%, 백신용 제품(HS 3002) 16%를 차지하여 사실상 두 제품군이 에티오피아의 수입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에티오피아 국내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대다수가 항생제, 감기약 등 저부가가치 제품임에 따라 이를 제외한 의약품은 전부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임.

 

ㅇ 국가별 시장점유율에서는 인도가 USD 151.5백만으로 19.8%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태리, 네덜란드, 벨기에, 중국 등 상위 5대 국가가 70%를 차지하고 있음. 품목 별로는 제너릭 의약품을 중심으로 가격과 품질 면에서 인도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품질이 중요시 되는 의약품의 경우 EU 글로벌 기업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음.

 

주요 의약품 제조기업

순위

1

2

3

4

5

6

7

8

9

10

국가명

인도

이태리

네덜란드

벨기에

중국

한국

프랑스

영국

UAE

방글라데시

수입액(USD백만)

151.5

121.8

121.0

106.7

39.0

14.9

10.6

5.7

5.0

1.9

비중(%)

19.8

15.9

15.8

13.9

5.0

1.9

1.3

0.7

0.6

0.2

 

ㅇ 한국의 對에티오피아 의약품 수출은 ’1610.7백만불을 기록하여 전년대비 57%가 급감하였으나 ’17년에는 39% 상승한 14.9백만불을 기록하였으며 ’16년 에티오피아의 총 수입시장에서는 1.95%의 비중을 차지하였음.

 

한국의 대에티오피아 의약품 수출동향

단위 : USD , %

구분

2015

2016

2017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및

증감률

25,058.02

-

10,789.22

-56.94%

14,949.66

38.56%

자료원 : UN Comtrade

 

ㅇ 한편 한국산에 대한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신뢰높은 품질에 대한 바이어들의 평가는 향후 시장진출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나 가격에서는 중국인도와의 경쟁에서 열세, 한국만의 전략적 포지셔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ㅇ 한국의 최대 수출품목은 혈청, 백신군으로서 ’16USD 7백만 수준에서 ’17년에는 USD 12.5백만으로 확대, 對에티오피아 의약품 수출에서 84%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수출실적이 큰폭의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나 의료, 보건수준 개선에 대한 에티오피아의 지속적인 노력 등을 감안 시 꾸준한 성장세 기대되고 있음.

 

한국의 대에티오피아 주요 의약품 수출실적

단위 : USD, %

순위

품목명

HS코드

(4단위)

2016

2017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Gland etc, dried organ

extracts for therapeutic us

3001

-

-

-

-

2

Blood, antisera, vaccines,

toxins and cultures

3002

7,010.5

-66.4%

12,517.2

78.5%

3

Medicaments mixed together

for therapeutic use, bulk

3003

3.1

-80.2%

-

-

4

Medicaments, therapeutic,

prophylactic use, in dosage

3004

3,775.6

-9.4%

2,432.5

-35.6%

자료원 : UN Comtrade

 

ㅇ 이밖에 치료용예방용 의약품군(HS 3004)USD 2.4백만을 기록하여 나머지 16%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전년대비 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티오피아의 의약품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낮은 상황이지만 수출 품목도 일부 품목에 편중되어 있어 품목 다변화를 통한 수출확대가 필요한 상황임.

 

4. 제품별 판매동향

 

2016년 에티오피아 주요도시의 47,702건의 의약품 판매실적 조사결과 해열진통제 (Paracetamol) 및 항염증제(Diclofenac)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에티오피아에서도 생산되는 제품으로 타 의약품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판매되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며 이밖에 항생제(Amoxicillin), 위장약(Omeprazol) 등 다양한 제품들이 1.5~3%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ㅇ 하기는 에티오피아 도소매 약국 및 병원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6년 의약품 판매 및 처방 실적임.

 

※ 참고 (도소매 약국 및 병원 외래환자 대상 15대 의약품 판매현황)

* 도소매 약국 (모집단 : 41,346)

 

* 병원 외래환자 (모집단 : 6,356)

#

약품명

비중

#

약품명

비중

1

Paracetamol

7.75%

 

1

Diclofenac

6.06%

2

Diclofenac

5.94%

 

2

Paracetamol

4.94%

3

Amoxicillin

4.79%

 

3

Amoxicillin + Clavulanic Acid

3.96%

4

Amoxicillin + Clavulanc Acid

2.70%

 

4

Amoxicillin

3.49%

5

Omeprazol

2.47%

 

5

Ciprofloxacin

3.04%

6

Ciprofloxacin

2.38%

 

6

Omeprazol

2.75%

7

Levonogestrel (EC)

2.37%

 

7

Azithromycin

2.14%

8

Mebendazol

2.35%

 

8

Metronidazole

2.06%

9

Albendazol

2.18%

 

9

Betamethasone + Dexchlorphniramine

1.98%

10

Ibuprofen

2.01%

 

10

Pantoprazol

1.97%

11

Sildenafil

1.79%

 

11

Tramadol

1.67%

12

Betamethasone + Dexchlorphniramine

1.74%

 

12

Ceftriaxone

1.59%

13

Metronidazole

1.71%

 

13

Ibuprofen

1.51%

14

Chlorpheniramine + Paracetamol + Pseudoephedrine

1.42%

 

14

Minerals + Multivitamins

1.37%

15

Azithromycin

1.34%

 

15

Norfloxacin

1.26%

 

ㅇ 참고로 병원 및 약국, 바이어들의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인식을 직접 문의한 결과, 한국산 제품은 다른 아시아 국가의 제품보다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고 소비자들이 평하고 있으며, 유럽산에 비해 품질에서도 크게 뒤지지 않아 가격대비 만족스러운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ㅇ 한편 일부 제품에서 위장장애가 동반되어 유럽산으로 대체한 경우가 있었으며 약효 지속시간에 있어서도 유럽산에 비해 다소 짧다는 소견이 있었음. 또한 인도, 덴마크, 미국 제품의 경우 현지 에이전트를 활용한 홍보활동 및 A/S를 강화하고 있는 반면 한국산은 이러한 부분이 다소 빈약한 것으로 보임.

 

5. 유망품목

 

ㅇ 하기 제품은 에티오피아 의약조달청(PFSA-Pharmaceutical Fund & Supply Agency)2017~2020년간 중점적으로 구입할 상위 34개 품목임.

 

ㅇ 병원용 의약품

연번

제품명

1

Cefepime 1gm powder for injection with diluent

2

Esomeprazole 40mg/5ml powder for injection

3

Iron Sucrose 100mg/5ml intravenous solution for injection

4

Meropenem 1gm powder for injection

5

Pantoprazole 20mg enteric coated tablet

6

Simvastain 20mg tablet

 

ㅇ 항암제

연번

제품명

1

Nilotinib200mg Capsule

2

Fluorouracil 500g Injection

3

Ondansentron 2mg/ml in 4ml injection

4

Doxurubicin Adriamycin) 10mg powder for injection

 

ㅇ 일반 의약품

연번

제품명

11

Vancomycin 1gm injection

12

Vitamin K1 (Phytomenadione) 10mg/ml in 1ml injection

13

Water for injection 10ml

14

Tramadol Hydrochloride 50mg/ml in 2ml injection

15

Tramadol Hydrochloride 50mg capsule

16

Tetracycline 1% eye ointment 4gm

17

Teanus Antitoxin, Equine 1500IU/ml in 1 ml injection

18

Sulphur 10% ointment 50gm

19

Sulphamethoxazole + Trimethoprim (200mg +40mg) /5ml suspension

20

Ringer''''s Lactate injection with giving set

21

Paracetamol 120mg/5ml syrup

22

Oral Rehydration salt 27.9gm

23

Sodium chloride 0.9% injection with giving set

24

Metronidazole Hydrochloride 5mg/ml intravenous infusion with infusion set

25

Metronidazole 125mg/5ml oral suspension

26

Insulin Zinc suspension 100IU/ml injection

27

Gentamycin 0.3% eye/ear drop

28

Dextrose 5% in 0.9% Sodium chloride injection with giving Set

29

Dextromethorphan Hydrobromide 15mg/5ml syrup

30

Ceftriaxone 500mg injection with diluent

31

Ceftriaxone 1gm injection with diluent

32

Amoxicillin 125mg/5ml oral suspension

33

Amoxicillin 250mg/5ml oral suspension

34

Alumunium hydroxide + Magnesium hydroxide + Simeticone (225+200+50)mg in 5ml suspension

 

6. 유통구조 / 관세 / 비관세 장벽

 

ㅇ 에티오피아의 의약품 시장진출의 성패는 능력있는 수입 에이전트의 발굴에 있다고 볼 정도로 이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 실제로 제품의 수입은 물론 신속한 제품등록, 병원 등 공급대상과의 네트워크 구축대량 구매로의 유도는 수입 에이전트의 능력에 좌우되며, 특히 제품 등록시 에티오피아 식약안전청(FMHACA : Food, Medicine and Health Care Administration and Control Authiority of Ethiopia)과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므로 유능한 에이전트는 이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할 것이 요구됨.

 

ㅇ 또한 에티오피아의 전체 의약품 시장에서 공공조달이 차지하는 비중이 60% 이상임을 감안하면 의약품 관련 정부기관과 네트워크 보유가 필수적이며 이로인해 의약조달청(PFSA : Pharmaceutical Fund and Supply Agency)에서 조달업무를 전담 수행, 이들과의 협력관계 구축 및 강화가 우선적으로 요구됨.

 

ㅇ 한편 에티오피아의 의약품 유통구조는 여느 국가와 마찬가지로 수입상을 거쳐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에게 연결되는 구조이며 이는 에티오피아 만의 특별한 유통구조라기 보다는 일반적 의약품 유통구조인 것으로 해석 할 수 있음.

 

ㅇ 관세의 경우 HS 3001~3004군에 속하는 제품은 관세율과 에티오피아로의 수입시 부과되는 각종 세금의 종류가 다양한데 하기와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음.

 

HS 코드별 관세 및 관련 세금 적용 현황

HS코드

제품명

관세율

소비세

물품세

부가세

원천세

3001

Glands etc, dried, organ extracts, for therapeutic use

0

0

0

15

3

3002

Blood, antisera, vaccines, toxins and cultures

0

0

0

15

3

300230

Vaccines, veterinary use

0

0

0

0

3

3003

Medicaments mixed together for therapeutic use, bulk

5

0

0

15

3

3004

Medicaments, therapeutic, prophylactic use, in dosage

5

0

0

15

3

자료원 : 에티오피아 관세청

 

※ 관세 관련 용어설명

* 관세율(Custom Duty) : 0%, 5%, 10%, 20%, 30%, 35% 6가지 세율이 적용. CIF 가격에 적용되며 원자재, 반제품, 생산용 제품 및 공공을 위한 제품(버스 등) 등에는 세율이 10~20%이나 개별 소비 목적의 소비재 혹은 완성재의 경우 35% 적용

 

* 소비세(Excise Tax) : 가장 보편적인 세금으로서 사치재, 가격 비탄력적인 재화, 유해물품 등에 부과. 음료, 주류, 담배, 향수, 카메라, 의류, 시계 등이 이에 해당하며, 세율은 10~100%를 적용. 정부의 주요 세수로서 수입품이든 현지 생산이든 관계없이 세금을 부과

 

* 물품세(Surtax) : 수입물품에 대해 10%의 세금을 부과. 기본 생활비 수준이 올라가는 것에 대해 정부에서 저소득층에 대한 가격보조 및 물가수준을 낮추기 위해한 필요재정을 확보

 

* 부가가치세(VAT) : 부가가치세는 모든 수입품목에 적용되며 일률적으로 15% 적용. 세금 액수는 (CIF+수입관세+Excise Tax) 15%에 해당하며, 법령에 의해 일부 면제품목 적용

 

* 원천세(Withholding Tax) : 수입품목은 3%, 기타 소비는 2% 부과

 

ㅇ 비관세 장벽의 경우 제도적인 비관세 장벽은 없으나 USD 5천 이상의 수입건에 대해서는 L/C 거래만 허용하여 원활한 수입활동을 저해하고 있으며 통상 에티오피아의 외환 부족으로 인해 L/C 개설시 7~8개월 이상 소요되고 있음. 또한 의료기기 검사 및 등록에 장기간이 소요되며 내륙국가라는 단점으로 인해 높은 물류비와 배송도중 파손, 분실 등의 위험도 잠재적인 비관세 장벽에 해당된다 볼 수 있음.

 

7. 제품 등록 및 판매

 

ㅇ 에티오피아에서 외국산 의약, 의료용품을 판매할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에티오피아 식약안전청(FMHACA-moh.gov.et/fmhaca)에 제품 등록을 신청해야 하며 통상 제품등록은 현지 에이전트(바이어, 유통기업, 수입회사 등)을 통해서 진행되며, 제품등록 시 필요한 서류로 현지 에이전트와의 계약서를 요구함.

 

ㅇ 한가지 주의할점은 FMHACA에 제품등록 신청 시, 신청에서부터 제품 등록까지 걸리는 기간이 지연되기 때문에 넉넉하게 기한설정 필요한데, 실제로 FMHACA의 매뉴얼에 따라 신청서류를 구비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서류검토에 소요되는 기간은 약 1 내외로 알려져 있으며, 국제인증 미보유시 FMHACA의 공장실사로 인해 제품 등록이 더욱 지체됨.

 

국제인증으로는 EUGMP, 미국의 FDA WHO PQ 리스트에 포함된 제품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공장실사가 면제되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FMHACA의 공장실사를 거쳐야 하는데, 공장실사 일정이 언제쯤 잡힐지를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 이며 GMP, FDA 등 국제인증 보유시 공장 실사가 면제되기 때문에 약 USD 3이 소요되나 미 보유시에는 공장실사 등에 USD 2~3만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참고로 제품 등록시 각 제품당 등록비용은 USD 500이며, 5년마다 제품등록 갱신시에도 비용이 소요됨.

 

ㅇ 하기는 에티오피아 식약안전청(FMHACA)이 고시한 제품 등록 시 필요한 서류 목록임.

 

Module 1 Administrative information and prescribing information

1.1 Cover Letter

1.2. Table of Contents of the Application, including Module 1 (Modules 1-5)

1.3. Application Form

1.4. Agency Agreement

1.5. Good Manufacturing Practice Certificate and Certificate of Pharmaceutical Product

1.6. Certificate of Suitability (CEP), if any

1.7. Product Information

1.7.1.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1.7.2. Labeling Information (immediate and outer label)

1.7.3. Patient Information Leaflet (PIL)

1.8. Evidence for an Application Fee


Module 2 Dossier Overall Summary of Product Dossier (DOS-PD)

2.1 PD Table of Contents (Modules 2-5)

2.2 PD Introduction

2.3 Quality Overall Summary of Product Dossier (QOS-PD)

2.4 Nonclinical Overview generally not applicable for multisource products (some exceptions may apply)

2.5 Clinical Overview

2.6 Nonclinical Written and Tabulated Summaries generally not applicable for

multisource products (some exceptions may apply)

2.7 Clinical Summary generally not applicable for multisource products

Module 3 Quality

3.1 Table of Contents of Module 3

3.2 Body of Data

3.3 Literature References

Module 4 Nonclinical Study Reports generally not applicable for multisource products

4.1 Table of Contents of Module 4

4.2 Study Reports

4.3 Literature References

Module 5 Clinical Study Reports

5.1 Table of Contents of Module 5

5.2 Tabular Listing of all Clinical Studies

5.3 Clinical Study Reports

5.3.1 Reports of Biopharmaceutical Studies (mainly BE study reports for generic products)

5.3.7 Case Report Forms and Individual Patient Listings generally not applicable

for multisource products(some exceptions may apply)

5.4 Literature References


 

8. 에티오피아 의약품 시장 진출방안 및 유의사항

 

Strengths

Opportunities

▪ 다양한 의약품 수입수요 증가

▪ 꾸준한 경제성장 지속으로 인해 에티오피아

정부의 의약품 구입능력 확대

▪ 인구 및 소득증가에 따른 시장 확대

▪ 민간 병원 및 의료서비스 수요 증가

▪ 수입 의존적 시장형태 지속

Weaknesses

Threats

▪ 의료서비스 강화정책의 더딘 추진

▪ 제품등록 및 인증취득갱신 지연

▪ 가격 중심적 시장 형성

L/C 거래로 인한 더딘 수입처리

▪ 시장규모에 비해 복잡하고 까다로운 절차

▪ 공공조달의 경우 발주처의 계약조건 변경

 

ㅇ 제품 등록 시 서류미비, 샘플 미제출로 인해 초과비용 및 시간지연이 만연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 기업들이 가장 유의해야 할 사안이라 사료되며, 특히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에이전트의 꼼꼼한 처리, 신속한 대처능력 요구(4회 반복 시 신청자격 박탈).

 

ㅇ 또한 수입 라이선스 및 통관서류의 실제 수입제품과 일치여부 중요한데 에티오피아의 후진적인 행정관행과 비체계적인 관리시스템으로 인해 정보 불일치로 인한 문제 발생시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과다하다는 점은 매우 유의해야할 필요가 있음.

보관함 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