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KHIDI | ||
---|---|---|---|
링크 | - | ||
국가 | 아시아>인도네시아 | ||
작성일 | 2012-06-03 | 조회수 | 2,239 |
1. 인도네시아 의료서비스 시장개요
○ 2억 4천만 명의 인구를 가진 인도네시아의 의료서비스는 아직까지 사설 병원의 의료서비스가 보편화되어 있지 않고 주로 공중보건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음
○ 예전까지 인도네시아의 의료서비스 개념은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지역의사의 전통적인 민간처방에 의존해 왔기 때문에 사망률이 높았음
○ 특히 신생아들이 이러한 열악한 의료서비스의 주된 희생자가 되었는데, 1960년대 이후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의료서비스가 적극적으로 보급되면서 그나마 신생아 생존률이 높아져 1960년 41%에서 2003년 66.2%로 증가했을 정도라고 함
○ 신생아 사망률이 높았던 이유는 출산 시 산파나 의사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집에서 남편이나 토속치료사에게 의존하였기 때문임
○ 그러나 요즘에는 건강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면서 여성들이 의사, 조산사 혹은 의료의 도움을 받는 추세가 늘고 있으며 그 비율도 1995년 46.13%, 2000년 63.5%에서 2006년에는 72.41%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중임
○ 인도네시아의 영토가 넓고 교육수준이 낮다 보니 의료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자체도 낮았다는 것이 발전의 장애요인이었음
○ 인도네시아 정부가 보건소를 설치해 직원들을 오지까지 파견해 적극적으로 보건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무상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서 일반 대중들의 보건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적극적으로 제고해왔음
○ 대다수의 병원은 중심지에 밀집되어 있어 지방이나 외곽지역 주민들의 방문이 힘들었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서민을 위한 보건소(Puskesmas:뿌스께스마스-Pusat Kesehatan Masyarakat)를 만들어 공중 의료서비스 제공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왔음
○ 2006년 현재 인도네시아 전역에 7,312개의 보건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부의 건강 보조금을 지원받아 진료비가 일반 병원보다 저렴하므로 서민들이 많이 이용하게 되었음
○ 보건소를 통한 의료서비스는 공식적인 의료서비스의 보조수단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데, 인도네시아의 지리적 특성상 진료보건소(Nursing Puskesmas:시/군 단위), 보조보건소(Supporting Puskesmas○면/동 단위) 외 에도 정글 등 오지 환자 이송을 위한 이동식보건소(Moving Puskesmas) 또는 도서지역 주민을 위한 수상보건소(Floating Puskesmas) 등 여러 형태의 보건소가 운영되고 있음
<사진> 인도네시아 유형별 보건소 현황
|
|
|
○ 통상적으로 보건소는 앰블런스나 응급실 등의 시설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수술실까지 가진 것은 아니므로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는 지역병원으로 옮기는 중간 장소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한국처럼 산모나 유아건강 등을 관리하는 일도 담당하고 있음
○ 그런 일반 의료서비스가 발전이 더디다보니 보건소 중에도 일반 병원에 준하는 시설을 갖춘 특별보건소(Puskesmas Plus)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심지어 정신과나 비만 관련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건소까지 출현하면서 일반 의료서비스와의 경계지대를 채워가고 있음
○ 인도네시아의 일반 의료서비스 현황을 살펴보면 2006년 현재 인도네시아에 총 1,262개의 병원이 운영되고 있는데, 이들의 형태는 소유권을 기준으로 보면 중앙정부, 지방정부, 군대/경찰, 국영기업, 사기업 등에 다섯 개의 소유형태로 나누어지고 있음
○ 전문분야 병원들도 있지만 이들 병원의 80% 가까이가 일반병원이고, 나머지가 정신병원, 산부인과, 한센병 병원, 결핵병원, 안과 등 전문병원으로 나누어지고 있음
○ 최근에는 인도네시아 병원들도 경쟁 구도를 보이는데, 경쟁 구도는 내국계 병원들 뿐 아니라 외국 투자자 자본으로 인도네시아에 설립된 병원과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싱가포르 병원체인인 실로암(Siloam)병원의 진출이 두드러짐
○ 실로암(Siloam)병원 체인은 수도인 자카르타 내에는 물론이고 자카르타 위성도시 중의 하나인 까라와치(Karawaci)시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제2도시인 동부자바 수라바야(Surabaya)시와 제3도시인 북부수마트라 메단(Medan)시에까지 진출하면서 전국적인 의료서비스망을 구축해 가고 있음
2. 인도네시아 의료서비스 시장동향
□ 수요동향
○ 2억 4천만 명의 인구를 가진 인도네시아의 의료서비스 잠재수요는 엄청나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 GDP가 2천불을 넘지 못한 경제상황으로 인해 실수요는 상대적으로 작다고 할 수 있음
○ 다만, 전체 국민소득의 대부분을 중상류층이 소유하고 있다 보니 자카르타 및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의료서비스 수요는 평균적인 경제수준보다 높다고 할 수 있음
○ 이런 이유로 싱가포르의 병원체인인 실로암병원이 교두보를 구축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인도네시아 주요도시에 진출하고 있는 것임
○ 인도네시아 주요일간지인‘꼼빠스(Kompas)’의 온라인사이트인 kompas.com이 실시한 설문에 의하면, 인도네시아 응답자 중 25%가 인도네시아 병원의 의료서비스에 실망하였고, 25%는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했다고 답변 하였으며, 16.67% 는 병원 서비스의 질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나 부정적인 인식이 7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이와 관련, 싱가포르 통계에 따르면 의료 목적으로 매년 30만 명의 외국환자들이 싱가포르를 방문하며, 그중 24%인 72,000명이 자국 병원의 의료서비스에 불만을 가진 인도네시아 국민이라고 함
○ 중산층의 경우 특히 정밀 건강검진 혹은 집중 치료를 위해 해외로 많이 나가는 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가 주된 대상국가라고 함
○ 이러한 동향으로 인해 인도네시아 보유 외화감소가 계속됨에 따라 인도네시아 유도요노 대통령이 직접 나서 자국민들의 해외에서의 의료서비스 이용을 자제 해줄 것을 당부하기까지 했음
○ 이러한 현상을 인도네시아 의료서비스 수요시장의 잠재력으로 평가한 외국 투자자들이 국제적인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현대식 병원들을 설립하려고 추진하는 중임
□ 생산동향
○ 인도네시아는 1,262개의 종합 병원이 있는데, 80% 가까이가 일반 병원이고, 나머지가 전문병원인데, 전문 병원은 68개가 산부인과 병원, 57개가 외과 병원, 52개가 정신병원, 22개가 나병전문 병원, 10개가 안과 전문 병원임
○ 이 밖에 7,312 개의 의료센터 (PusKesMas)가 있고, 21,115 개의 보조 의료센터 (assisting health centers) 그리고 2,614 개의 microscopic health center, 그리고 6,849 의 이동 의료 센터(mobile health center) 그리고 54개의 군 병원이 있음
○ 이들 병원에 소속된 의료 인력들의 분포를 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음
<표> 인도네시아 소속 병원별 의료인력 분포
|
중앙정부 |
주정부 |
시/군정부 |
군/경찰 |
국영기업 |
민간기업 |
총 계 |
의사 |
8,826 |
4,108 |
6,389 |
1,346 |
555 |
4,868 |
26,092 |
간호사 |
12,270 |
13,628 |
28,499 |
6,788 |
4,389 |
42,760 |
108,334 |
약사 |
908 |
1,031 |
2,242 |
484 |
439 |
3,841 |
8,945 |
공중보건의 |
482 |
636 |
1,680 |
47 |
36 |
545 |
3,426 |
영양사 |
443 |
692 |
1,447 |
101 |
102 |
1,547 |
4,332 |
물리치료사 |
360 |
319 |
614 |
90 |
73 |
728 |
2,184 |
의료기술사 |
1,370 |
1,354 |
3,096 |
557 |
466 |
4,145 |
10,988 |
Source : 인도네시아 보건부
○ 인구 대비 의료센터의 비율을 1:27,600 이며, 이중 54개가 A○Class 이고, 213개가 B○Class, 71 개가 C○Class, 335 개가 D○Class 일반 병원이라고 하는데, 총 142,900 개의 bed 수로, bed 비율은 1:1,610라고 함
○ 인도네시아 정부에 의하면 599개의 사립 클리닉이 있으며 314개의 제약 상품구역 창고(pharmaceutical district warehouse)가 있음. 보건 보건부에 의하면 의료 분야에 약 40만 명의 종사자가 있다고 함
○ 1997년부터 2006년까지의 인도네시아 병원 발전내용을 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이 분석이 되고 있는데, 주로 사기업이 소유한 병원이나 지방정부 병원들 의 증가가 눈에 뜨이고 있음
○ 이는 지방자치시대의 개막과 더불어 지방정부의 지원을 받은 지방병원 건설이 추진되고 있으며, 지방도시의 발전에 따라 사기업의 지방병원 수 증가가 병행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인도네시아의 병원 개발과 더불어 외국인투자병원들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2006년도 외국인투자병원의 현황을 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음
<표> 인도네시아 외국인 투자 병원 현황
회사명 |
주요 주주 |
지역명 |
투자금액 (달러) |
PT Gleneagles Hospital Corp |
PT Sentral Goldhill Businesspark |
Tangerang |
40,593,000 |
Gleneagles Dev. Pte. Ltd. | |||
PT Nusautama Medicalindo |
PT Linggi Internusa Gleneagles Pte. Ltd. |
Medan |
280,000,000 |
Alpeg International Ltd. | |||
PT KPJ Medika |
PT Optima Dipa Medika Kumpulan Perubahan |
Tangerang |
18,846,614 |
PT Tri Tunggal Sentra S. |
PT Tri Tunggal Sentra Sejahtera |
Surabaya |
2,500,000 |
Gleneagles Dev. Pte. Ltd. | |||
PT Gleneagles Hospital Corp. | |||
PT Medika Jaya Perdana Int |
PT Nusajaya Rekaperdana |
Bali |
36,612,300 |
Wollard Bldg. International Medical Assistance | |||
PT Health Care of Surabaya |
PT Ready Indah |
Surabaya |
17,965,000 |
Mayne Nickless Ltd. | |||
PT Regency Laguna J. |
PT Pakuwon Jati |
Surabaya |
29,744,000 |
Premier Health Corp. Int. Ltd. | |||
PT Ciputra Recovale J. |
PT Ciputra Medika Citra |
Jakarta |
30,000,000 |
Ricovale Investment | |||
PT Putramas Muliasantosa |
PT Enseval |
Jakarta |
26,517,738 |
Mayne Nickless Ltd. | |||
PT Budi Mulia Suryajaya |
PT Siloam Gleneagles; Johannes Ontoro |
Surabaya |
6,171,124 |
○ 특히 이들 외국인투자병원들 중에서 복수의 병원 체인을 운영하고 있는 주요 병원들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음
<표> 복수 네트워크를 가진 주요 외국인 투자병원
병원명 |
소유 |
병원 네트워크 현황 |
서비스 내용 |
Mitra International Hospital |
Ramsay Health Care Group |
○ Mitra International Hospita (자카르타 시내) ○ Bintaro International Hospital (자카르타 위성도시○빈따로) ○ Surabaya Internationa lHospital (수라바야 시내) |
외과 및 비외과 |
Siloam Hospitals |
Siloam Hospital group |
○ Siloam Graha Medika (자카르타 시내) ○ Siloam Hospital Lippo Cikarang Bekasi (자카르타 위성도시○버까시) ○ Siloam Hospital Surabaya (수라바야 시내) |
국제적 수준의 서비스와 다양한 의료전문분야를 갗추고 있음 |
International SOS Indonesia |
global International SOS |
○ SOS Medika Klinik Cipete (남부 자카르타) ○ SOS Medika Klinik Kuningan (중부 자카르타) ○ SOS Medika Klinik Bali (발리 꾸떠지역) |
의학클리닉이외에도 응급처치기술 전파, 의료인료 교육서비스, 건강직업인, 보안상담서비스 및 건강관리운영에 대한 서비스 제공 |
○ 인도네시아에서 대중들의 의료서비스는 아직까지 지역 보건소와 지방병원 등의 기본적인 의료체계에 의존하는 편임
○ 일반 대중들의 의료서비스를 전담하는 보건소 의료체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표> 인도네시아 보건소 종류 및 지원형태
보건소 종류 |
형 태 |
진료 보건소 Nursing Puskesmas |
진료 보건소는 환자를 큰 병원으로 옮기기 전 임시 위탁소 역할을 하며, 진료 시설 을 갖추고 있고 대부분 관할 구역에 위치함. |
지원 보건소 Supporting Puskesmas |
일반 보건소와 비슷한 형식으로 진료실이 없으며, 지방의 외곽 지역에 위치함. |
이동 보건소 Moving Puskesmas |
대부분 보건소는 구급차, 오토바이 혹은 일부 지역 특성상 보트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 수단들은 주로 밀림이나 중심지에서 떨어진 외곽지역의 주민들을 위해 사용되며, 진료 시설이나 무전 시설이 갖추어짐. |
수상 보건소 Floating Puskesmas |
육지수단으로 접근이 불가능한 자카르타 연안의 쁠라우 스리부(Kepulauan Seribu) 같은 도서지역 에 보건소 혹은 의료 시설의 수가 미비함에 따라 거주 하는 각 섬 주민들을 위한 것이며, 진료 시간에 따라 각 섬으로의 방문이 가능하도록 정부가 지원하고 있으며, 진료시설이 완비되 있음. 또한 상비약도 구비해 놓고 있어서, 지역 주민들이 멀리 떨어진 곳으로 병원을 직접 찾아가지 않아도 됨. |
○ 인도네시아의 의료서비스는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 병원들과 상대적으로 비교해볼 때, 치료비용 면에서 일부 의료서비스는 인도네시아 의료수가 싱가포르보다 높기도 함
○ 이러한 현상은 인도네시아의 보건 서비스 세율이나 의료장비에 대한 관세율이 높기 때문인데 그러한 부담은 결국 환자의 치료비용으로 전가되게 됨
○ 이런 이유 때문에도 환자들이 해외로 검진을 위해 나가는 상황이 악화되고 있음을 들어 인도네시아 병원은 정부에게 감세를 요구하고 있는데, 감세조치가 시행되면 인도네시아 병원의 질이 향상될 여지가 있고 자국에서 치료를 받는 인도네시아 국민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의료서비스가 발전하는 배경에는 해당국의 정부가 의료서비스와 관광을 결합한 패키지를 장려하고 있기 때문임
○ 그러나 현재까지 인도네시아의 병원이나 각종 의료시설들 중에서 의료 관광 상품에 대한 홍보를 하고 있는 곳은 전혀없는 상황임
○ 다만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싱가포르 의료서비스 체인인 Siloam Hospital Lippo Karawaci와 같은 외국인투자 병원들이 이러한 의료관광 사업을 적극구상하고 있는 것을 알려졌음
○ 병원연합회는 백화점, 아파트, 및 호텔이 통합적으로 갖추어진 병원을 설립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이는 인도네시아가 자국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도 될 것이라고 함
○ 인도네시아는 최근 일본과 간호사 파견협약을 맺고 의료 인력을 수출하기로 했을 정도로 잠재 의료 인력이 충분한 나라이므로 역으로 의료관광서비스를 수출할 수 있는 날도 크게 멀지 않았다고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