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One-stop Service Center for Medical Device Industry

기타

home 센터소개 진흥원 공지사항 기타

17년 보건산업 수출, 114억 달러 전망

17년 보건산업 수출, 114억 달러 전망 :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6-12-22 조회수 4,759

17년 보건산업 수출, 114억 달러 전망
10억에서 50억 달러 12년, 50억에서 100억 달러 5년 소요

 


   ◇ 보건산업 생산 6.6% 증가, 수출 16.5% 증가하며 내년 경기 맑음
      - 국내 GDP성장률 대비 2배 이상 높은 생산 증가율로 내수시장 지속 성장 전망
      - 의약품, 화장품 등 수출증가율 여전히 높아 유망산업으로 입지 굳혀감

   ◇ 2017년 보건산업 발전을 위하여
      - 제약기업 현지 진출을 위한 수입․유통법인 설립 지원, 글로벌 신약 개발 지원
      - 의료기기 중개연구센터․임상시험 지원 확대, 중국․러시아 현지화 진출 지원
      - 화장품 피부특성은행 확대, 기능성 원료 개발, 화장품-뷰티 연계 지원

   ◇ 향후 지속적 보건산업 동향 조사․발표 예정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 이하 진흥원)은 보건산업 분야별(제약․의료기기․화장품) 세부 분석을 포함한 2016년 성과와 2017년 전망을 발표하였다.
 
2017년 보건산업 수출은 최초 1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되며, 무역수지가 금년에 처음으로 흑자로 전환돼 내년에는 흑자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16년 9월 발표한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에 포함된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시장진입과 수출 지원, 정밀․재생의료 투자 강화, 혁신 생태계 조성 등을 본격 추진하여,
- 2017년 보건산업의 발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1) 총 괄
 
우리나라 보건산업의 최근 성장세는 2016년 수출․매출 등 주요 성과가 제조업 평균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성장은 2017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져 新성장 동력산업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전망 방법론은 계량모형을 통한 시계열분석, 전문 조사기관에 의뢰해 보건산업 제조, 소매, 판매업 등 510개 기업체 조사를 실시하였고, 약 50여명의 산학연 전문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간담회 개최를 통해 종합 의견을 수렴하여 모든 결과를 참고해 최종 수치를 도출하였다고 설명하였다.
 
2016년 보건산업(제약․의료기기․화장품)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19.1% 증가한 98억 달러로 예상되며, 2017년에는 전년 대비 16.5% 증가한 114억 달러로 사상 최초로 100억 달러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2000년 수출액 10억 달러를 돌파한 이래 2012년 50억 달러를 달성하는 데까지 12년이 걸렸으나, 그로부터 5년 만에 100억 달러를 달성하는 등 최근 보건산업 수출의 증가폭이 매우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보건산업 생산은 2016년 전년 대비 3.3% 증가한 35조원, 2017년에는 전년 대비 6.6% 증가한 37조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내년도 GDP 성장률을 최대 3%로 예측하는 것과 비교해 보건산업 생산 증가율이 GDP 성장률 대비 2배 이상 높아 보건산업의 내년 경기는 맑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2) 제약
 
2016년 제약산업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15.2% 증가한 33.9억 달러, 생산은 지난해보다 3.3% 증가한 17.3조원으로 추정하였다.
 
고용보험 종사자 기준 2016년 3분기 제약산업 일자리는 6만2천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하였다.
 
2017년에도 성장세가 이어져 생산 3.8%, 수출 17.3%, 매출 6.3%가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였다.
 
국내 제약기업의 역량 강화로 개량신약은 이머징/파머징 국가로, 바이오시밀러 제품은 미국․EU 등 선진시장으로 판매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되어, 수출 경기는 매우 맑으며 무역수지 적자폭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하였다.
- 특히, 최근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유럽 EMA, 미국 FDA에서 판매 승인이 되면서 유럽에 이어 미국시장 진출이 본격화되고, 내년도 수출 증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내수시장에서는 고령화와 성인질환(고혈압, 고지혈, 당뇨 등) 증가로 만성질환 관련 의약품 수요가 증가하고, 보장성 확대에 따른 고가 항암제 등 전문의약품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하였다.
 


< 의약품 수출입 추이 및 전망 >



< 의약품 생산 추이 및 전망 >



정책적으로는 2017년부터 제약기업의 해외 진출 시 현지 수입․유통법인 설립을 지원하여 생산․유통 현지화가 용이해질 것으로 보았고,
 
글로벌 항체신약과 백신 개발 지원, 약가․세제 지원으로 신약개발을 위한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3) 의료기기
 
2016년 의료기기 산업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5.9% 증가한 28.7억 달러, 생산은 지난해보다 7.2% 증가한 5.4조원으로 추정하였다.
 
고용보험 종사자 기준 2016년 3분기 의료기기 산업 일자리는 4만2천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하였다.
 
2017년에도 의료기기 생산 6.8%, 수출 5.6%, 매출 5.9% 등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세계적인 경기 둔화, 비관세 장벽의 심화 등 제한적 위축요인이 있으나, 국내 기업 기술력 및 경쟁력 향상, 상위 기업의 특화 품목(영상 진단장치, 치과용 임플란트 등) 수출 확대로 2017년 수출은 5.6%의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였다.
- 특히 기술력을 보유한 중견․중소기업이 품질 및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신흥국으로 수출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내수시장에서는 치과용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연령이 65세로 확대*되면서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이 확대되고, 영상진단기기(초음파, X-ray 시스템 등)의 디지털화 등 IT 융합기기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연령: 75세(‘14년) → 70세(’15년) → 65세(’16.7월)
 


< 의료기기 수출입 추이 및 전망 >



< 의료기기 생산 추이 및 전망 >



정책적으로는 2017년 고위험 치료기기․재료, 의료로봇 등 IT·BT 융복합 의료기기 실용화를 위한 중개연구센터(’16년 6개 → ’17년 10개)와 임상시험 지원이 확대되어 시장 진입이 쉬워지고,
 
2016년 중국으로 시작한 현지화 진출 지원이 2017년 중국․러시아로 확대되면서 무역 장벽 극복과 공공입찰 진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4) 화장품

 
2016년 화장품 산업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37.5% 증가한 35.6억 달러, 생산은 지난해보다 13.3% 증가한 12.2조원으로 추정하였다.
 
고용보험 종사자 기준 2016년 3분기 화장품 산업 일자리는 3만1천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6%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2017년에도 화장품 산업은 생산 10.4%, 수출 24.5%, 매출 12.5% 등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였다.
 
유럽․미국 등 화장품 강국 수출 확대, 글로벌 브랜드향 ODM 수출 확대로 수출 호조가 지속될 것이며, 다만 그간 화장품 수출을 견인한 중국․홍콩에 대해서는 전년도 높은 베이스와 규제 확대로 수출 증가율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중국의 지속적 화장품 수입 통관 규제 강화, 로컬 기업의 빠른 성장 등
 
내수시장의 경우 중국인 입국 관광객 증가가 둔화되면서 면세점 채널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나, 국내 중소형 브랜드(드럭스토어 등)향 ODM 수요 확대, 기능성화장품 제도 개선(품목 확대), 온라인 채널 성장에 따른 수익성 개선 효과 등으로 생산 및 매출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 화장품 수출입 추이 및 전망 >



< 화장품 생산 추이 및 전망 >


정책적으로는 타겟 국가의 피부 특성에 맞는 화장품 개발을 위한 국가별 피부특성은행 확대(’15년 14개 도시 → ’17년 19개 도시), 기능성 원료 개발 지원 등으로 기술경쟁력이 강화되고,
 
화장품 - 뷰티 산업 연계 지원 등으로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5) 2017년 키워드 및 향후 계획
 
기업 패널조사를 통해 2017년 보건산업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천연, 바이오의약품, 친환경, 건강, 모바일 헬스케어, 항노화 등으로 나타났다.



[2017년 보건산업 키워드]
 


이상의 전망은 지난 12월 14일(수)에 개최한 「2017년 KHIDI 보건산업 전망 포럼」을 통해 발표되었으며, 진흥원은 향후 지속적으로 산업 동향 조사 결과 및 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2017년 보건산업은 지속 성장이 예상되나, 중국 등 신흥국의 비관세 장벽 강화, 미국 대선 공약이 실제 정책화되는 방향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
 






※원문을 확인하시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