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3/4분기 보건산업 고용 98.1만 명, 전년比 4.2% 증가
진흥원, 2021년 3/4분기 보건산업 고용 동향 발표
보건산업분야 신규 일자리 9,201개 창출
…코로나19 4차 대유행에도 산업별 사업장 수 모두 증가
전체 제조업 대비 2.2배 높은 보건산업 일자리 성장률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은 2021년 3/4분기 보건산업 고용 동향을 발표하였다.
□ (총괄) 2021년 3/4분기 보건산업 종사자 수는 98.1만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4.2% 증가하였다.
○ 산업별로는 의료서비스 종사자 수가 81만2천 명으로 총 종사자의 82.8%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약 7만7천 명(7.9% 비중), 의료기기 5만6천 명(5.7% 비중), 화장품 3만6천 명(3.7% 비중) 순으로 나타났다.
○ 전체 제조업 일자리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9% 증가하며 회복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보건산업 일자리는 전년 동기대비 4.2% 증가하며 전체 제조업 대비 약 2배 높은 성장을 기록하였다.
□ 2021년 3/4분기 보건산업 고용 동향의 주요 특징별 상세내용은 다음과 같다.
□ (산업별) 종사자 수 증가율(전년 동기대비)은 의료기기산업이 5.7%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 의료서비스(+4.4%), 제약(+4.2%) 순으로 높았다. 반면, 화장품 산업이 2.8% 감소세를 보였다.
○ (제약) 2021년 3/4분기 제약산업 종사자 수는 7만7천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4.2% 증가하였다.
- 보건제조산업(제약, 의료기기, 화장품)분야 중 총 종사자 증감의 61.4%(3,102명)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지난해 같은 시점 대비 4.2%(+0.6%p) 증가율로 일자리 상승세를 보였다.
- ‘300인 이상’(전체 제약산업의 61.7% 차지) 제약산업 사업장의 종사자 수가 전년 동기대비 5.3% 크게 증가한 것이 전체 제약 산업의 종사자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 산업분류별로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3,072명) 분야에서 전년 동기대비 38.5%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으며, 그 뒤로 ‘완제의약품 제조업’(53,098명, +3.6%),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19,387명, +2.0%), ‘한의약품 제조업’ (1,785명, +0.8%), 순으로 나타났다.
○ (의료기기) 2021년 3/4분기 의료기기산업 종사자 수는 5만6천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5.7% 증가하였다.
-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자가 진단키트 수요가 꾸준히 확대 되면서 관련 업종인 ‘그 외 기타 의료용 기기 제조업’(+8.3%)에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전기식 진단 및 요법 기기 제조업’(+8.0%),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관련 제품 제조업’(+5.5%) 분야 순으로 나타났다.
- 반면, ‘안경 및 안경렌즈 제조업’ 종사자 수는 여전히 감소세(△1.9%)를 보이고 있지만 감소폭은 둔화되었다.
○ (화장품) 2021년 3/4분기 화장품산업 종사자 수는 3만6천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2.8% 감소하였다.
- 화장품 산업의 종사자 수는 4분기 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지만, 금년 3/4분기에 들어서 감소폭이 완화되었다.
- 화장품 산업의 종사자 수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사업장 수는 2020년 3/4분기 이후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 (의료서비스) 2021년 3/4분기 의료서비스산업 종사자 수는 81만2천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4.4% 증가하였다.
- 병·의원 등을 포함하는 의료서비스산업은 보건산업 중에서 사업장 수 비중(89.4%) 및 종사자 수 비중(82.8%) 모두 가장 높게 차지하고 있다.
- 산업분류 중 ‘한방 병원’ 분야의 종사자 수가 2018년 4/4분기(+10.5%) 이후 금년 3/4분기(+17.1%) 기준으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 또한, ‘한방 병원’ 의 사업장 수도 전년대비 8.3%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이면서 종사자 증감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 (성별) 보건산업 종사자의 성별 구성은 여성이 72만9천 명(74.3%), 남성이 25만2천 명(25.7%)으로 여성 종사자 수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제약(66.0%) 및 의료기기(60.0%) 산업은 남성 종사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의료서비스(81.3%) 및 화장품(56.8%) 분야는 여성 종사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 2017년 3/4분기 대비 제약 및 의료기기 산업에서는 여성 종사자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반대로 화장품 및 의료서비스 산업에서는 남성 종사자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 (연령별) 보건산업 연령별 종사자 수는 ‘29세 이하’에서 27만8천명(28.3%)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30대 26만7천 명(27.2%), 40대 22만6천 명(23.0%), ‘50대 이상’ 20만1천 명(21.5%) 순으로 나타났다.
○ 청년층(29세 이하) 종사자 수는 당 분기에 접어들어 전체 종사자 수(명) 증감의 15.3% 해당하는 6,035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2.2% 상승하며 청년층의 일자리 회복이 지속되고 있다.
- 화장품산업을 제외한 나머지 산업에서는 청년층 종사자 수가 전년 동기대비 2~6%의 증가율을 나타냈으며, 특히 의료기기산업에서 6.5%로 가장 큰 성장을 보였다.
○ 50대 이상 종사자 수의 비중은 21.5%로 타 연령층에 비해 차지하는 비율은 낮지만,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은 각각 50대 7.9%, 60세 이상 12.4%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사업장 규모별) 보건산업 사업장 규모별 종사자 수는 ‘30인 이상 300인 미만’이 38만9천 명(39.6%), ‘30인 미만’ 35만1천 명(35.8%), ‘300인 이상’ 24만1천 명(24.6%) 순으로 나타났으며, ‘300인 미만’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종사자 비중이 75.4%에 달한다.
○ ‘30인 미만 사업장’ 종사자 수는 의료서비스 3만1천 명(90.6%), 의료기기 2만2천 명(6.4%), 화장품 7,210명(2.1%), 의약품 3,128명 (0.9%)순이며, 일반의원(전체 보건산업의 38.1%)을 포함하는 의료서비스산업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사업장인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종사자 수 증가율이 5.5%로 가장 높았으며, 산업별로는 의료기기산업 15.0%, 의료서비스산업 6.4%, 제약산업 5.3% 순이며, 유일하게 화장품산업에서는 8.2% 감소하였다.
□ (신규 일자리) 2021년 3/4분기 보건산업 신규 일자리 수는 9,201개 창출되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0.4% 증가하였다.
○ 신규 일자리는 보건의료 종사자가 포함된 의료서비스 분야에서 7,566개로 88.0%의 비중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제약 727개, 의료기기 564개 및 화장품 344개 순으로 창출되었다.
○ 직종별로는 ‘보건·의료 종사자’ 분야 3,649개 39.7%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간호사’ 분야 1,657개(18.0%), ‘의료기사·치료사·재활사’ 분야 570개(6.2%), ‘경영지원 사무원’ 분야 537개(5.8%), ‘생명과학연구원 및 시험원’ 분야 531개(5.8%) 순으로 분석되었다.
□ 진흥원 산업통계팀 신유원 팀장은 “보건산업은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양질의 일자리 역시 지속해서 창출하고 있다”고 밝히며, “코로나19의 상황이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일자리 증가율이 전체 제조업 대비 2배 이상 높게 성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 문의 : 보건산업혁신기획단 산업통계팀 조홍미 연구원 ☎ (043)713-8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