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유관기관 공지사항
home 정부지원사업안내 정부/유관기관 공지사항
박근혜 대통령 방미 계기, 보건의료 분야 한미 경제협력 확대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15-10-16 | 조회수 | 5,803 |
첨부파일 |
박근혜 대통령 방미 계기, 보건의료 분야 한미 경제협력 확대
- 보건의료 경제사절단으로 23개 기업·협회 참여, 총 4건 양해각서 체결, 바이오․제약 네트워킹 세미나 개최 -
□ 박근혜 대통령 방미(訪美) 계기에 21개의 의료기관,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기업 및 2개 공공기관 등이 보건의료 분야 경제사절단으로 참여하여 총 4건의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보건의료분야 최대 시장인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 (붙임 1) 보건의료분야 경제사절단 현황 참조
○ 경제사절단(기업·단체·기관) 총 164개소 중 보건의료 분야 기업․단체 등은 23개소가 동행하였는데 이는 지난 중국(상해) 순방에 이어 보건의료 분야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미국시장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 또한, 보건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은 보건의료분야 경제사절단 지원, 한․미 보건의료 분야 협력 강화 등을 위한 대표단*(수석대표 : 장옥주 차관)을 파견, 10.14일 워싱턴에서 1:1 기업 상담회를 비롯하여 한-미 기업·협회간 양해각서 체결, 바이오․제약 네트워킹 세미나, 한-미 첨단산업 파트너십 포럼 등을 지원하였다고 밝혔다.
* (붙임 2) 한-미 첨단산업 파트너십 상담회, 바이오·제약 네트워킹 세미나 및 포럼 행사
* (대표단) 보건복지부 차관, 보건산업정책국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동 의료해외진출지원단장 등
□ 10.14일 오전(미국시간 기준)에 개최된 양해각서 체결식에는 한국측 3개 기관과 미국측 4개 기관이 참여하여 총 4건의 양해각서가 체결되었다.
○ 제약․바이오 분야는 INIST ST社가 LSK Bio Pharma社에 신약으로 개발되고 있는 항암제의 비임상․임상시험용 시료 공급과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개발 및 원료의약품 생산․공급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 의료기기 분야는 PCL社-Orasure社간 체외진단기기 사업협력 및 공동개발 양해각서 1건을,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과 Greater Richmond社(버지니아주 리치몬드시 출자회사) 및 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UPMC)간에 미국 의료기기 시장진출 협력과 의료기기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 각각 2건이 체결되었다.
<참고 : 양해각서 체결 주요 내용 >
① (韓)INIST ST社-(美)LSK Bio Pharma社
- 면역항암제(BTK Inhibitor, HCI-1401/4547)의 원료의약품 공급 MOU
② (韓)PCL社-(美)Orasure社
- 체외진단 의료기기 포괄적 사업협력 및 R&D 공동개발 MOU
③ (韓)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美)Greater Richmond社
- 미국 의료기기 시장진출을 위한 정보제공 등 협력 MOU
④ (韓)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美)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
- 의료기기 공동 R&D 개발 협력 MOU
□ 뒤이어, 정부조달, IT정보보안, 바이오․제약, 제조업혁신․연구개발(R&D) 등 4개 분야에 대한 첨단산업별 네트워킹 세미나가 진행되었는데 이 중 제약·바이오 세션은 보건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 제약․바이오 세션에는 한․미 보건의료 관계자 70여명이 참여하여 5개 한국 기업 개발 제품 등에 대한 기업설명회(IR)와 2개 미국 기관의 보건의료 분야 R&D 기술사업화 등에 대한 발표를 통해 양측 기업을 알리고 한․미 바이오·제약 산업관계자의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참고 : 네트워킹 세미나 발표 기업․기관 >
① (한국측) (제약․바이오 4개社) 메디포스트, 녹십자홀딩스, 보령제약, 한미약품, (의료기기 1개社) PCL
② (미국측) TEDCO, The New York Stem Cell foundation
□ 10.14(수) 오후(미국시간 기준)에는 박근혜 대통령과 한국과 미국의 경제사절단 등 300여명이 참여하는 ‘한-미 첨단산업 파트너십 포럼’이 개최되었다.
○ 이 포럼에서 이영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은 ‘한․미 보건의료산업 협력방안’을 발표하여 한국 보건의료산업의 강점과 잠재력, 정부의 육성정책 및 한․미 보건의료 협력 분야를 제시하였다.
□ 또한, 10.15(목) 오후(미국시간 기준)에는 재미 한인보건의료인*과 보건의료분야 경제사절단 등 100여명이 참석하는 ‘재미 한인 보건의료인 네트워킹의 날’ 행사가 개최될 예정이다.
* 재미 한인의사협회(KAMA), 재미 한인제약인협회(KASBP), NIH 한인과학자협회(NIH-KSA) 등
* (붙임 3) ‘재미한인보건의료인의 네트워킹의 날 행사 개요
○ 동 행사에서 배병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한국 보건의료산업 세계화 전략’을 통해 「2020 Medical Korea Vision과 보건의료산업 미래화·세계화 전략」을, NIH 한인과학자협회장은 ‘재미 한인 보건의료인 활동 소개’를 각각 발표할 예정이며, 이 행사를 통해 보건의료 분야 경제사절단과 재미 한인 보건의료인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 보건복지부 장옥주 차관은 “미국은 보건의료 분야의 세계 최고․최대 시장으로 금번 보건의료분야 23개 경제사절단 참여와 현지에서 다양한 활동은 앞으로 한국 보건의료산업의 미국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계기를 마련한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 <미국시장 현황> (제약) 3,400억불(전세계 시장점유율 약 34.4%)로 세계 1위 / (의료기기) 1,254억불(전세계 시장점유율 약 39%)로 세계 1위 / (화장품) 379억불(전세계 시장점유율 약 15%)로 세계 1위
○ “우리나라도 바이오·제약, 의료기기, 임상시험 등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분야가 많은 만큼, 양국이 강점이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공동연구 및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간다면 우리 기업이 미국 시장 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고 밝혔다.
* 세계최초 줄기세포 치료제 품목허가(파미셀社, 하티셀그램-AMI) 등 총 4개 줄기세포 치료제 보유, 세계최초 바이오시밀러 유럽 EMA허가(셀트리온社, 램시마) 등 5개 바이오시밀러 보유 등
** (임상시험 프로토콜 국가순위) (`07) 세계 19위 → (`14) 세계 7위, (도시순위) (`07) 서울 12위 → (`14) 서울 1위, 우리나라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연평균 11.7% 성장
※원문을 확인하시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