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중심병원 지정기관

home >연구중심병원 지정기관>아주대학교병원>주요기술

주요기술

원스텝 줄기세포 체내 분화를 이용한 유양골 재생용 조성물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정현훈

연구분야

줄기세포

적용분야

유양골 재생, 만성 중이염, 진주종성 중이염

기술 개요

본 발명은 원스텝 줄기세포 체내분화 기술 기반으로하는 유양골 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 만성 중이염 또는 진주종성 중이염 수술 시에 원스텝으로 편리하게 유양골 재생효과를 얻을 수 있음

기술 특징

3차원 다공성 스캐폴드 및 지방조직 함유 유양골 재생용 조성물

  • 3차원 다공성 스캐폴드와 지방유래 세포, 그리고 혈장은 유양골 결손에서 골 재형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로, 유양동 수술 시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지방조직과 전 혈장을 이용하여 골재생에 사용하는 기술임

    수술 시 원스텝으로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으며, 신속한 유양골 재생효과 제공

기술 우수성

제거된 유양동의 신속한 복구·회복

  • 3차원 다공성 스캐폴드 및 지방조직 함유

    유양동삭개술 시 제거되는 지방조직을 채취, 3차원 스캐폴드에 다시 이식하면 유양골 조직으로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확인

    본래 형태에 가까운 유양골 재생을 통해 재발의 위험을 낮추면서 수술 후 불편감 해소, 환자에 최적의 치료 결과 기대

  • 수술 부산물의 활용을 통한 골재생 촉진 방법

    유양동 수술 시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지방조직과 전 혈장을 이용하여 골재생을 촉진하도록 함


수술 시 원스텝으로 편리하게 유양골 재생효과를 제공, 신속한 회복이 가능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본 기술은 수술 후 회복과 재생을 돕기 위한 의학 분야인 재생의료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만성 중이염 등 수술 후 효과적인 유양골 재생을 위한 줄기세포 치료제로 직접 활용이 가능함

    세계 재생의료 분야 시장 규모 및 전망

  • 재생의료 시장은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장기, 조직 및 세포의 재생이나 대체에 중점을 둔 분야로, 질병의 치료와 수술, 회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조직공학, 분자생물학 등 기술의 융복합 적용이 수반되고 있음
  • 시장조사기관인 Technavio의 2020년 Global Regenerative Medicine Market Report에 따르면, 재생의료 분야 시장 규모는 2019년 약 63억 9천만 달러 규모이며, 연평균 20%의 성장률로 2024년에 159억 4천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주요 시장 참여자로는 Integra LifeSciences, MiMedx, Osiris Therapeutics 등 미국의 업체들이 주를 이루며, 국내 에서는 주요 바이오 기업과 대학·기관 들을 중심으로 기술개발과 제품 출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임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및 PCT 출원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10-2021-0110755 A 원스텝 줄기세포 체내 분화를 이용한 유양골 재생용 조성물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PCT/KR2022/012390 Composition for Regenerating Mastoid Using In Vivo One Step Stem Cell Differentiation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COTL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진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의학유전학과 정선용

연구분야

뇌질환

적용분야

인지기능장애, 알츠하이머, 치매

기술 개요

본 발명은 COTL1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진단 키트에 관한 기술임

기술 특징

COTL1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발현 컨트롤

  • COTL1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미토콘드리아 형태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의 발현이 억제될 경우에는 학습능력 및 기억력을 저하시킴

    이를 활용하여, 치매, 파킨슨병, 학습장애, 실인증, 건망증, 실어증, 픽병, 경도인지장애 및 빈스완거병 등 인지기능 장애 질병의 예방 및 치료 가능

기술 우수성

인지기능장애의 효과적 예방 및 치료 가능

  • COTL1 발현에 따른 인지기능 변화 실험

    COTL1 발현 억제 마우스, COTL1 발현 억제회복 마우스 및 정상 마우스를 이용한 수동 회피 실험

    COTL1 발현이 감소할 때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이의 발현이 증가될 때 인지기능이 회복될 수 있음을 확인함

  • COTL1 단백질 발현 촉진

    발현 촉진제 또는 활성화제를 이용하여 COTL1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

    인지기능장애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음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본 기술은 인지기능장애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술로, 치매, 파킨슨병, 학습장애, 실인증, 건망증, 실어증, 픽병, 경도인지장애 및 빈스완거 병 등 폭 넓은 인지기능 장애성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적용이 가능함
  • 대표적인 인지기능장애성 질병으로 치매는 치료 방법에 크게 수술적 치료, 약물 치료로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 약물치료를 통한 예방·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세계 치매체료제 시장 규모 및 전망

  • 글로벌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데이터모니터헬스케어에 따르면, 세계 치매치료제 시장규모는 2018년 약 26억 8천만 달러 규모이며, 연평균 29.4%씩 상승하여 2024년에 약 126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국내 치매치료제 시장의 주요 시장 참여자로는 GemVax&KAEL, CHABiotech, Aribio, D&D pharmatech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및 미국 특허 출원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10-2526197 B1 COTL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진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US 17/777,464 COMPOSITION FOR DIAGNOSIS, PREVENTING OR TREATING COGNITIVE DYSFUNCTION COMPRISING COTL1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네라티닙을 관절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생화학교실 김유선

연구분야

관절염

적용분야

퇴행성 관절염

기술 개요

본 발명은 네라티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RIP3의 발현증가 또는 활성증가에 의해 진행되는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임

기술 특징

네라티닙을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퇴행성 관절염의 발병과 진행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RIP3의 활성 억제제로 세포내 키나제 억제제인 네라티닙을 적용함
    • 연골 파괴 감소, 골극 형성 촉진 및 연골하 골판 두께 감소의 방지 통한 퇴행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 제공

기술 우수성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퇴행성 관절염 예방·치료용 조성물 제공

  • RIP3의 퇴행성 관절염 발병 영향성 규명

    RIP3 유전자가 결여된 마우스를 사용하여 RIP3가 퇴행성관절염 관여인자들의 신호전달계 활성화 확인

    RIP3가 퇴행성관절염 진행을 촉진시킴을 규명

  • 네라티닙을 통한 RIP3의 활성 억제
    • 네라티닙이 RIP3에 결합하여 RIP3 활성화에 의해 유도된 골관절염을 유발하는 유전자인 mmp3, mmp13 및 cox2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

      관절노화에 따른 연골조직 파괴를 억제하고 연골형성을 촉진시켜, 퇴행성 관절염을 치료

    • 네라티닙은 이미 유방암 치료제로 FDA 승인을 받은 물질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 신속한 상용화가 가능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은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물리 요법에 의한 통증·염증 완화와 수술에 의한 치료, 약물 요법 등을 통해 치료하고 있음
  • 네퇴행성 관절염 치료 분야는 지금까지 근본적인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영역 으로 분류되어 관련 수요가 매우 높게 나타남

    세계 골관절염 치료제 시장 규모 및 전망

  • 시장조사기관 MarketsandMarkets의 Osteoarthritis Therapeutics Global Market Reports에 따르면, 세계 골관절염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73억 달러 규모이며, 연평균 8.7%씩 상승하여 2025년에 약 11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국내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를 개발 중인 주요 시장 참여자로는 스마트셀랩, 엑소스템텍, 하플사이언스 및 입셀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등록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10-2536315 B1 네라티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비타민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턱관절 골관절염 치료용 약학조성물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치과학교실 강정현

연구분야

턱관절, 치의학

적용분야

턱관절 골관절염

기술 개요

본 발명은 비타민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턱관절 골관절염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 턱관절 골관절염 진단,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에 관한 기술임

세계 골관절염 치료제 시장 규모 및 전망

기술 특징

비타민 D를 활용한 턱관절 골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

  • 비타민 D의 혈중 농도 증가에 따라 턱관절 골관절염이 개선될 수 있으며, 혈중 농도를 바탕으로 턱관절 골관절염의 예후를 확인할 수 있음

    턱관절 골관절염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 턱관절 골관절염 진단 또는 예후예측용 바이오마커로의 활용이 가능함

기술 우수성

효율적인 턱관절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

  • 비타민 D에 의한 턱관절 골관절염 치료 효과

    초기 턱관절 골관절염이 발병된 환자군에서 비타민D의 혈중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됨

    세계 골관절염 치료제 시장 규모 및 전망

비타민 D에 의한 턱관절 골관절염 바이오 마커 활용

  • 비타민 D에 의한 턱관절 골관절염 바이오 마커 활용

    검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비타민 D 수준 확인, 발현 수준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턱관절 골관절염 진단

    턱관절 골관절염의 예후 예측에 정보를 제공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턱관절 퇴행성 골관절염은 10대 초반부터도 발병 가능하며 진행할 경우 교합변화, 저작불편감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 및 처치가 매우 중요함 영상을 이용하여 진단하는 방법 이외의 상용화된 모니터링 마커 및 치료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음 실정임
  • 2021 건강보험공단 턱관절장애 진료 현황 분석자료에 따르면, 국내 턱관절 질환 관련 진료비는 2019년 기준 458억원으로, 5년 간 47%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세계 골관절염 치료제 시장 규모 및 전망

  • 시장조사기관 MarketsandMarkets의 Osteoarthritis Therapeutics Global Market Reports에 따르면, 세계 골관절염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73억 달러 규모이며, 연평균 8.7%씩 상승하여 2025년에 약 11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골관절염 분야의 주요 업체로는 크리스탈지노믹스, 코오롱생명과학 등이 있으며, 턱관절 골관절염 분야는 주로 의료기관, 대학병원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리스트

국내 특허 등록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10-2545305 B1 비타민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턱관절 골관절염 치료용 약학조성물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PCT/KR2022/012390 턱관절 골관절염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Shp-1-2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약리학교실 박상면

연구분야

뇌질환

적용분야

파킨슨병, 퇴행성 뇌질환

기술 개요

본 발명은 SHP-1/-2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과 이를 투여하여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방법 및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기술임

기술 특징

SHP-1/-2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조성물

  • SSHP-1/-2의 발현 또는 활성이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세포질 내 루이 소체의 주요 단백질인 α-시누클레인을 전이 시킴을 확인

    SHP-1/-2 또는 FcγRⅡB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을 통해, α-시누클레인에 의해 유발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 방법을 제공

기술 우수성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과 치료 및 진단

  • α-시누클레인이 인접 세포로 전이되는 작용 기전 규명

    SHP-1/-2의 활성화가 α-시누클레인의 전이에 관여하며, SHP-1/-2의 활성화는 α-시누클레인의 수용체인 FcγRⅡB에 의하여 매개된다는 것을 확인

    SHP-1/-2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를 통해 α-시누클레인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을 억제할 수 있음

  • α-시누클레인이 인접 세포로 전이되는 작용 기전 규명

    SHP-1/-2의 활성화 여부 측정을 통한 퇴행성 뇌질환 진단 SHP-1/-2의 활성화 여부를 측정을 통해 퇴행성 뇌질환 진단이 가능함을 확인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의 스크리닝 및 진단용 키트로 활용 가능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파킨슨병의 치료는 현재 도파민 제제등 치료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상 운동증 및 합병증 등 부작용이 있음
  • 인구 고령화와 함께 파킨슨병 환자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의 진단은 MRI, PET 촬영 및 의사 소견에 따르고 있어, 이를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안도 요구됨

    세계 파킨슨병 치료제 시장 규모 및 전망

  • 시장조사기관 Research and Markets의 2021 Parkinson's Disease Treatment Market Report에 따르면, 세계 파킨슨병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19년 약 35억 달러이며, 연평균 12.6%의 성장률을 통해 2029년 약 115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임
  • 파킨슨병 치료제 분야의 주요 시장 참여자로는 Abbvie, Boehringer Ingelheim, Lundbeck, Novartis, Pfizer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등록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10-1838802 B1 Shp-1-2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US 10085976 B2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mprising inhibitor for expressing or activating of SHP-1/-2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NAMPT 대사조절에 의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생화학교실 김유선

연구분야

염증성 질환

적용분야

크론병, 궤양성대장염 등 만성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기술 개요

본 발명은 NAMPT(니코틴아미드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대사조절에 의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

세포의 에너지 대사과정에 중요한 유전자 NAMPT를 조정한 대장염 완화 기술

염증성 대식세포에서 NAMPT 유전자를 특이적으로 결여시킨 유전자 변형 마우스에 NAMPT의 생성물인 NMN(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을 주사한 결과, 대장염 증상 완화가 확인됨

    • NMN 처리가 KO 마우스를 중증 대장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체중 감소 및 DAI 감소를 회복 시켰다는 것을 마우스 생존률로 확인함
    • PBS 주입은 33% 생존(12마리 중 4마리)을 보인 반면, NMN 주입은 67% 생존(12마리 중 8마리)을 보이는 것을 확인함
    • NMN 처리가 KO 마우스의 대장염에 의한 장조직의 손상 정도 (H&E, c-Casp3, TUNEL)가 현저히 감소됨
    • 또한 염증의 정도 (f4/80) 도 NMN 처리에 의해 현저히 감소함을 장조직에서 확인

기술 우수성

NAMPT 결핍에 따른 염증 질환 환자에 맞춘 약품 제조 가능

  • 염증성 질환 중증도 약화 효과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NMN)를 인체 내 투여하여, NAMPT 의존적 NAD+(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누클레오타이드,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생합성 경로의 활성화로 염증성 질환의 중증도를 낮출 수 있음

    • NAMPT는 NAD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당뇨, 암, 관절염, 노화 등 다양한 질병과 연관이 있음
    • NAMPT 활성 조절 경로를 통한 대장염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함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만성염증성장질환은 치료법이 명확하지 않고 한번 발생하면 치료와 관리가 지속되어야 하는 질병으로, 염증 발생 위치에 따라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으로 나뉨

    만성염증성장질환의 주요 증상

  • 컨설팅업체인 IMARC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궤양성 대장염 시장은 2021년 69.2억 달러에서 2027년 97.1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5.6% 성장이 예상됨
  • 컨설팅업체인 Coherent Market Insights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크론병 치료 시장은 2022년 109.2억 달러에서 2030년 151.7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4.2% 성장이 예상됨

    세계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분야 시장 규모 및 전망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및 미국 출원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2022-0047932 A NAMPT 대사조절에 의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PCT/KR2022/012390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litis by NAMPT metabolic regulation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간암 진단용 신규 혈액 바이오마커 GULP1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교실 은정우

연구분야

간질환(내과계)

적용분야

간암 진단 바이오마커,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기술 개요

본 발명은 간세포암에 특이적으로 발현이 변화하는 GULP1을 간암 진단용 바이오마커로 활용하는 기술임

기술 특징

간암 치료용 타켓으로 활용 가능한 신규 혈액 바이오마커

  • 간암 환자 대부분은 기저 간경변증으로 인해, 조직 검사시 출혈의 위험성이 높아 상당함 위험성을 부담함
  • 본 발병은 혈액을 기반으로 한 간암 진단 방법으로 유전 정보를 획득하는 액체 생검기술(Liquid biopsy) 적용이 가능함
    • 조직검사는 상당한 위험 부담을 감수해야 하는 것에 비해, 액체 생검은 혈액으로 진단이 가능하므로 침습적이지 않고 간편함
    • 혈액은 조직검사와 달리 치료 과정 중 여러 번 채혈이 가능하며, 치료 과정 중 치료 반응이나 잔존암 예측에 적합함

기술 우수성

간암환자의 혈청 AFP 및 혈청 GULP1의 조합에 따른 진단력 향상

  • GULP1은 간암에 특이적으로 발현이 변화하므로, 간세포암 특이적인 마커로 이용할수 있으며, 단독 또는 AFP와 함께 조합하면 간세포암을 더욱 정확하게 진단 및 예측 할 수 있음
    • 간암 환자 145명(아주대학교병원 및 기타 병원 시료 제공)을 대상으로 하여 AFP와 GULP1에 대한 암 진단율을 평가해보았을 때 AFP의 경우 44%, GULP1의 경우 70%로 평가됨
    • AFP와 GULP1을 병용 진단 마커로 사용하게 될 시 진단비율은 81%까지 상승함

AFP와 GULP1의 간암 진단비율 결과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본 발명은 혈액을 기반으로 한 간암 진단용 바이오마커로 1) 간암 진단 시장 및 2)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시장으로 분류될 수 있음
  •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인 Grand View Research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간암 진단시장은 2022년 87.2억 달러에서 2030년 146.1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6.67% 성장이 예상됨
  •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인 Coherent Market Insights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혈액기반 바이오마커 시장은 2022년 188억 달러에서 2030년 492.8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2.8%의 높은 성장이 예상됨

세계 간암 진단 및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시장 규모 및 전망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출원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2023-0055667 A 간암 진단용 신규 혈액 바이오마커 GULP1 및 이의 용도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GULP1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재발성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교실 은정우

연구분야

간질환(내과계)

적용분야

간암 진단 바이오마커,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기술 개요

본 발명은 GULP1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재발, 간암 전이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

간암 재발 관련 GULP1의 선택적 억제를 통한 재발성 간암 치료

  • 본 발명에서 도출된 간암 재발 관련 GULP1의 선택적 억제는 간암의 증식〮이동〮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간암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가 될 수 있음

    본 발명의 기전은 GULP1의 억제를 통해 GULP1과 ARF6의 결합을 억제하여 ARF6-GTP의 단백 안정성을 감소 시키고, ARF6의 활성화를 저해하여 β-catenin의 활성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EMT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음

간암 재발 및 전이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제공

본 발명은 분리된 간암세포에서 GULP1의 발현 수준 측정을 통한 간암 재발 또는 간암 전이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또한 제공하고 있음

기술 우수성

마우스 모델을 통한 GULP1의 전이능 및 재발능 검증

  • GULP1의 간암 전이 관여 여부 확인을 위하여 꼬리 정맥 주사로 GULP1의 전이능 확인

    siGULP1을 형질감염시킨 ras-NIH-3T3 세포를 꼬리 정맥에 주사한 마우스의 폐에 생긴 nodule의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GULP1의 전이능을 확인

  • GULP1의 간암 재발능 관여 여부 확인을 위하여 꼬리 정맥 주사로 GULP1의 재발능 확인
    • 형질감염시킨 Huh-7을 마우스의 간에 주사하여 형성된 종양 조직과 종양을 절제한 후 재발된 종양조직에서 IHC 시행하여 GULP1의 발현을 확인
    • 정상 간조직에 비해 절제한 종양조직에서 GULP1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절제한 종양 조직에 비해 재발된 종양 조직에서 발현이 더 증가되는 것을 확인

GULP1의 억제에 의한 간암재발 억제능을 확인 결과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본 발명은 재발성 간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간암 치료제 시장으로 분류될 수 있음 간세포암(HCC)은 원발성 간암의 가장 흔한 유형으로, 전체 간암의 약 90%를 차지하며, 매년 미국에서 약 40,000명의 간암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됨
    글로벌 간세포암 치료제 4상 임상시험 현황 - Intervention, Sponsor, Country, Year of Star., Year of Comp.
    글로벌 간세포암 치료제 4상 임상시험 현황
    Intervention Sponsor Country Year of Star. Year of Comp.
    GADOXETIC ACID Takeda USA 2012 2016
    Meglumine Gadoterate Reata Pharmaceuticals, Inc. Poland 2013 2018
    Norepinephrine iNtraarteriel/… Boehringer Ingelheim USA 2016 2019
    Sorafenib Ramp-Up Regimen Eisai Inc. Germany 2010 2014
    Sorafenib Standard Dosing Re… Eisai Inc. Germany 2010 2014
    Xihuang Capsules Novartis Vaccines Australia 2014 2019
  •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인 Data Bridge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간세포암 치료제 시장은 2022년 10.4억 달러에서 2030년 19.5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8.2%의 높은 성장이 예상됨

    세계 간암 진단 및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시장 규모 및 전망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출원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2023-0055666 A GULP1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재발성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체트병 및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약학조성물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미생물학교실 손성향

연구분야

난치, 희귀질환(염증성질환)

적용분야

베체트병, 류마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 및 자가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기술 개요

본 발명은 펩타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유도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

P1 내지 P5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반응 유도 조성물

  • 펩타이드 혼합물을 자가염증/자가 면역반응으로 유발된 베체트병 마우스 동물모델에 복강주사하거나 피부외용제로 도포한 결과, 베체트병 마우스 모델의 피부 궤양과 피부 염증 개선이 확인됨

    베체트병 환자 혈장에서 싸이토카인 인터루킨-17(IL-17)이 높게 발현되며, 이는 염증 증상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 펩타이드 투여로 IL-17이 감소됨

    GULP1의 억제에 의한 간암재발 억제능을 확인 결과

  • 관절염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 혼합물 투여군은 PBS 대조군과 비교 할때 중증도가 감소하는 효과를 보임

    관절염 치료제인 MTX 투여군도 관절염 중증도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7주 이후부터는 펩타이드 투여군의 효과가 더 확실하게 나타남

    콜라겐 유도 관절염 마우스 모델 내 관절염 중증도 변화 결과

기술 우수성

자가염증/자가 면역질환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안정성 확인

  • 형광을 붙인 펩타이드를 마우스모델에 복강 주사 후 대식세포를 분리하여 형광 표지된 대식세포의 빈도를 FACS로 분석하여 복강 내 펩타이드 유지 시간을 측정함

    P1, P2 및 P4 펩타이드는 생체 내에서 48시간 경과 한 후에도 복강 내 남아 있는 것이 확인됨기술적용 시장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류마티스 관절염 및 베체트병은 자가염증/자가면역질환으로 면역체계 이상 반응에 의하여 질병이 발생함
    • 류마티스 관절염의 주요 증상

    • 베체트병의 주요 증상

  •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에 따르면, 세계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1년 263억 달러 규모이며, 연평균 4.53% 상승하여 2026년 328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베체트병은 희귀병으로 분류됨

    세계 류마티스 관절염 및 베체트병 치료제 분야 시장 규모 및 전망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미국, 유럽 및 중국 특허 출원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2023-0055666 A 펩타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US 17/782,336
3 EP 20 895 836.3
4 CN 2020800095793.3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3차원 영상을 투영한 증강현실 의료영상 기기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신경외과학교실 노태훈

연구분야

뇌종양, 뇌혈관질환

적용분야

증강현실 헬스케어 기기, 증강현실 의료영상 기기

기술 개요

본 발명은 증강현실 의료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증강현실 의료영상 기술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

환자의 기존 의료영상과 촬영된 3차원 영상을 투영시킨 증강현실 기술

  • 본 발명은 환자의 기존 의료영상에서 추출한 특징점과 촬영된 3차원 영상에서 추출한 특징점을 분석하고 매칭시켜 실시간으로 증강현실 의료영상을 제공할 수 있음

    뇌 영상을 투영한 증강현실 영상

기술 우수성

다양한 의료영상에 적용 가능한 증강현실 의료영상 기술

  • CT, MRI, X-ray 또는 초음파 영상을 활용한 증강현실 의료영상 구축
    증강현실 의료영상은 CT, MRI, X-ray 또는 초음파 영상 등을 활용하여 구축 가능

    CT, MRI, X-ray 또는 초음파 영상 등 의료영상에서 재구성된 3차원 영상의 특징점과 환자의 3차원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매칭시켜 합성된 영상을 제공함

  • 수술 전 시뮬레이션 및 의료 교육 자료 활용
    환자의 신체 내부에 대한 증강현실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수술 전 시뮬레이션 및 의료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의료영상과 촬영된 깊이 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마커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제공 방법보다 제작비용과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증강 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에 가상 영상을 투영함으로써 눈으로 보는 현실 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임
  • 본 발명은 헬스케어 증강현실(AR) & 가상현실(VR) 기술 시장에 포함되며, 헬스케어 증강현실 기술은 전체 시장에서 약 75%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Global Market Insights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헬스케어 증강현실 및 가상 현실 기술 시장 규모는 2022년 25억 달러에서 연평균 21.0% 성장하며, 2031년 139억 달러 규모 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헬스케어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기술 시장 규모 및 전망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등록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2476832 B1 증강현실 의료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증강현실 의료영상 제공방법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내시경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신경외과학교실 노태훈

연구분야

뇌종양, 뇌하수체종양

적용분야

내시경, 의료영상기기, 의료영상 제어 시스템

기술 개요

  • 내시경은 직접 병변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만들어진 의료기기임
  • 본 기술은 머리 위치 변경 범위와 내시경 카메라 위치 변경 범위의 매칭 결과를 이용하여 내시경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하는 내시경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

시술자의 위치를 고려한 내시경 카메라 위치 제어 장치

  • 본 기술은 시술자의 머리 움직임을 수신하는 송수신기, 머리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변경 설정기, 내시경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 매칭기, 매칭 결과를 이용하여 카메라 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음

기술 우수성

시술자 위치 학습형 제어 시스템

  • 내시경 카메라의 직관적인 제어

    시술자의 머리 위치 변경 범위와 내시경 카메라의 위치 변경 범위의 매칭 결과를 이용하여 내시경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내시경 카메라의 직관적인 제어가 가능하며 정교한 시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시술자 편의성의 고려한 위치 제어

    시술자의 습관적인 움직임을 학습하고 학습한 결과를 내시경 카메라의 위치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내시경 카메라의 위치 제어에 노이즈로 작용하는 움직임을 제거하여 안전한 시술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

    머리 위치의 변경 범위와 내시경 카메라의 위치의 제어 범위의 매칭 과정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본 기술은 내시경에 적용되는 기술로 개복 수술과 같은 침습적 절차를 통해서만 검사할 수 있었던 관절과 체강 내부를 의사가 볼 수 있게 해주는 관형 장치 등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 내시경 장비 시장에 적용이 가능함
    구분, 발명의 명칭 안내
    구분 발명의 명칭
    성장 촉진요인
    • 표적 질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내시경 수요의 급증
    • 의료 인프라 및 내시경 연구 분야를 개선하기 위한 전세계 정부, 조직의 투자 및 자금과 보조금의 증가
    • 기술적으로 진보된 내시경 기기 구매 및 내시경 유닛 확장에 투자하는 의료기관의 증가
    • 보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진단 및 치료를 달성하기 위한 내시경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
    • 내시경 시술이 필요한 염증성 장 질환(IBD) 및 대장암(CRC) 발생률의 증가
    • 최소 침습 수술에 대한 선호도 증가
    • 감염병 확산 방지 및 효율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일회용 내시경 기기 도입 확대
    성장 억제요인
    • 미국의 불리한 의료 개혁
    • 개발 도상국에서 내시경 절차의 높은 간접비
    • 내시경 시술 중 높은 코로나(COVID-19) 전파 위험성
  • 전 세계 내시경 장비 시장은 2021년 273억 4,23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7.5%로 증가하여, 2026년에는 392억 7,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내시경 장비의 경우는 올림푸스, 후지 등 일본 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90% 이상인 것으로 확인됨

    세계 내시경 장비 시장 규모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등록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2245186 B1 증강현실 의료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증강현실 의료영상 제공방법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항염증 펩타이드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미생물학교실 손성향

연구분야

염증성질환

적용분야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기술 개요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항염증 펩타이드에 관한 것으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

기술 특징

면역 반응 조절 효과가 확인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신규 항염증 펩타이드

  • In vivo Balb/c 마우스에 펩타이드 피부 도포 투여 후 cyotkine 분비 세포 빈도 억제 확인

    펩타이드가 아토피 관련 cytokine 인 IL-31 발현 세포 빈도를 억제함

  • 마우스에 피부 도포 투여 후 면역세포 조절 확인: IL-4Ra, CCR3, CTLA4 positive cell 빈도 억제

    IL-4Ra, CCR3, CTLA-4 positive cell 빈도는 아토피 환자에서 증가되어 있고, 아토피 마우스에 펩타이드 피부 도포 후 splenocytes에서 빈도가 억제됨

기술 우수성

아토피 피부염 미충족 수요를 해결 가능한 펩타이드 치료제

  • In vivo 아토피 피부염 관련 cytokine 조절 펩타이드 → 가려움증 조절
  • In vivo 아토피 피부염 관련 cell surface receptor 조절 → 면역 조절
  • 펩타이드가 in vitro lymph node cell, splenocyte 배양 세포 내로 전달
  • 펩타이드가 in vivo 피부 조직 내로 전달, 피부 조직 내에서 2 시간 이상 유지
  • 펩타이드가 마우스 복강내에서 1 시간 이상 유지
  • 아토피 피부염 마우스에 펩타이드 피부 도포 투여 후 아토피 피부염 증상 호전, 피부조직 재생 효과
  • 복강 주사 및 피부 도포 투여 단회 독성 시험에서 안전성 확인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함
    아토피 피부염 주요특징 안내
    아토피 피부염 주요특징
    • 호전과 악화를 반복, 만성 질환
    • 유전, 환경, 면역학적 요인, 피부 보호막 이상 등 복합적 원인
    • 부모가 아토피 피부염인 경우 자녀에서 75% 이상 발병
    • 80%에서 면역학적 이상 반응
    • 심한 가려움증 → 긁음 → 피부손상 → 습진 → 가려움 심화 → 악화
    • 영유아기 아토피 피부염 그룹에서 성장 후 천식, 비염, HSV, 대상포진, 농가진, 결막염, 백내장, 망막박리 증가
    • 6세에서 14세까지 전세계 유병율 7.3-7.5%
  • 시장조사기관인 Fortune Business Insights의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시장 규모는 2019년 150억 달러 규모이며, 연평균 5.8% 상승하여 2027년에 245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분야 시장 규모 및 전망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및 PCT 출원 완료(미국, 유럽 출원 예정)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10-2021-0179908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항염증 펩타이드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PCT/KR2021/019190 Anti-Inflammatory Peptide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테트라제노코커스 할로필러스를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미생물학교실 손성향

연구분야

염증성질환

적용분야

베체트병,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 만성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기술 개요

본 발명은 테트라제노코커스 할로필러스(Tetragenococcus halophilus),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파쇄물을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

테트라제노코커스 할로필러스를 포함하는 희귀난치성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 베체트병(Behcet's disease)은 구강 및/또는 생식기의 반복적인 아프타성 궤양, 포도막염(uveitis) 및 피부 병변 증상을 갖는 희귀난치성 염증성 질환임
  • 항염증 활성 효과를 가진 테트라제노코커스 할로필러스 균주를 베체트병 유사 마우스 모델에 투여하여 외음부 염증 증상, 피부 궤양 증상 및 홍반 증상이 호전되는 양상을 확인함

기술 우수성

테트라제노코커스의 염증성 발현 조절 효과 확인

  • 락테이트 생산에 따른 짧은 사슬 지방산 전환 효과

    테트라제노코커스 할로필러스는 락테이트를 생산하고, 락테이트는 체내에서 장내 미생물에 의해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등의 짧은 사슬 지방산(short-chain fattyacids; SCFAs)으로 전환될 수 있음 부티레이트는 전사 인자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

  • CD83 및 CD40의 발현 조절을 통한 수지상 세포의 활성화 및 면역 반응 조절

    테트라제노코스 처리를 한 경우에서 CD83 및 CD40의 발현 빈도가 모두 감소 이를 통해 테트라제노코커스 할로필러스가 수지상 세포 활성화 분자의 발현 조절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베체트병은 반복적으로 입 안에 궤양이 생기고 성기부에 궤양이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 눈 안에 염증이 발생하여 시력을 잃을 수도 있는 만성 염증성 질환을 의미함

    베체트병의 주요증상

  • 시장조사기관인 Technavio의 Behcet's Disease Therapeutics Market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베체트병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19년 2억 2,450만 달러 규모이며, 연평균 5.58% 상승하여 2025년에 3억 1,58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베체트병 치로제 분야 시장 규모 및 전망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등록 및 미국 출원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2135195 B1 테트라제노코커스 할로필러스를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US 10085976 B2 Composition comprising tetragenococcus halophilu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Behcet's disease or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용 바이오마커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해부학교실 박선아

연구분야

퇴행성 치매 분야

적용분야

알츠하이머 치료제, 알츠하이머 진단 키트

기술 개요

  • 현재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는데, 대부분 베타아밀로이드 및 타우단백이 진단기술 대상 임. 이들은 치료제 타겟이기도 하기에 치료과정에서 직접 영향을 받아 치료 효능 분석을 정확하게 하는데 제한이 있음. 또한 치매가 심해짐에 따라 그 정확도가 감소함
  • 비베타아밀로이드 및 비타우 단백 중 알츠하이머 치매의 진단 뿐 아니라 치매 심화도(인지기능 및 생활수행능력 저하)를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기술을 개발함
  • 본 기술은 OPCML, YWHA(14-3-3), CHGA 및 CHGB mRNA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바이오마커

  • 뇌척수액 단백체 정량분석을 통해서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알츠하이성 치매 환자에서 유의하게 발현량 차이가 나는 단백의 조합을 확인함
  • 회귀방정식 및 머신러닝 분석을 이용하여 진단 유용성 및 치매 심화도 연관성이 가장 높은 마커를 찾음

기술 우수성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 및 임상연관성 위한 최적의 단백질 확인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Mordor Intelligence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치료제의 세계 시장규모는 약 69억 8,600만 달러로, 2027년까지 연평균성장률 5.51%를 기록하며 약 96억 3,800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됨

    세계 알츠하이머 진단 및 치료제 시장 규모 및 전망

  • 최근에는 아밀로이드베타(Aβ), 타우(Tau) 단백질을 타깃하는 파이프라인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단순 증상 완화가 아닌 근본 치료제 연구개발이 필요함

관련 기업 동향

의약품 조사기관 아이큐비아 자료에 따르면, 2020년 표적항암제 시장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사의 타그리소가 전체 매출 1위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남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기업 발명의 명칭 매출액 (2020년)
AstraZeneca 타그리소(Tagrisso) 1,065억원
Roche 퍼제타(Perjeta) 741억원
Pfizer 입랜스(Ibrance) 573억원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등록 및 미국 출원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2232200 B1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바이오마커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KR 1992060 B1 알츠하이머치매 진단 체액 바이오마커 후보 단백4종
3 US 2022-0003787 A1 Biomarker proteins for diagnosing alzheimer's dementia and use thereof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사포그릴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정연훈

연구분야

인공와우, 난청, 중이염

적용분야

감각신경성 난청 치료제

기술 개요

  • 사포그릴레이트(sarpogrelate)는 혈소판 및 혈관의 세로토닌 수용체(serotoninreceptor, 5-HT2)를 선택적으로 길항하는 새로운 작용기전을 가지는 혈소판응집 억제제로 혈소판내 저장되었다가 분비되어 혈소판을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혈관수축과 평활근세포 증가를 자극하여 청신경과 청각세포의 기능 저하를 예방함
  • 본 기술의 사포그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청각세포 사멸의 억제 및 청각세포 내항산화 효소의 발현 증가 등을 통해 소음에 의해 유발되는 난청을 보호하여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

기술 특징

소음성 난청이 유발된 동물모델 확립

사포그릴레이트 (50 mg/kg)는 1일 1회 7일간 복강투여 하였으며, 투여 후 백색 잡음(white noise) 100dB을 50분 동안 노출시켜 소음성 난청이 유발된 동물모델을 확립

Balb / c 마우스를 이용한 인비보 (in-vivo) 실험에 대한 개략도

기술 우수성

사포그릴레이트의 감각신경성 난청 예방 및 치료효과

  • 소음 노출에 따른 사포그릴레이트 전처리 효과

    사포그릴레이트 전처리 후, 노이즈 노출전,노출 1일, 1주, 2주일 후에 좌, 우 청성뇌간반응 을 측정한 결과 청력 역치감소에 따른 소음에 의한 청력 감소예방 및 보호 효과를 확인

  • 소음 노출에 따른 사포그릴레이트 전처리 효과

    청각세포주인 HEI-OC1세포에 사포그릴레이트 전처리 후 H2O2 처리에 의한 세포독성 및 사멸 억제를 WST-1 분석 한결과 청각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본 기술은 소음성 난청 치료제 시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세계 소음성 난청치료제 시장은 2020년 기준 1,035,570 백만 달러 규모에서1.1%의 연평균성장률로 성장하여 2024년에는 1,081,892백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단위 : 백만명, 달러

세계 소음성 난청치료제 시장규모 및 전망 - 기업,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CAGR('20~'24)
세계 소음성 난청치료제 시장규모 및 전망
기업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CAGR('20~'24)
환자수 1,151 1,163 1,176 1,189 1,202 1.1%
치료 환자수 1,036 1,047 1,058 1,070 1,082 1.1%
시장규모 1,035,570 1,046,961 1,058,477 1,070,121 1,081,892 1.1%

* 자료 : Sensorine사의 SENS-401 가치평가보고서, 2017년 미국 질병관리본부 보고서, KFF(Kaiser Family Foundation)의 연령별 세계 인구 통계 기반 KISTI 추정

국내외 난청 관련 임상 현황

국내외 모두 소음성 난청을 적응증으로 허가 받은 의약품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나, 외국의 사례에서는 임상 3상 중인 파이프라인을 포함하여 다수의 의약품이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국내외 난청 관련 임상 현황 - 적응중, 의료기기/의약품명, 연구기관 안내
적응중 의료기기/의약품명 연구기관
Sensorineural Hearing Loss Behavioral: Sound stimulation (주)이어로직코리아
SSNHL(Sudden Sensory Neural Hearing Loss) Procedure: oxygen administration 연세대학교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Central Device: Hearing aids 서울아산병원
Neural Sensory Hearing Loss Procedure: M-mode ultrasonography 연세대학교
Hearing Loss,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Drug: AM-111 Auris Medical, Inc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등록 및 미국 출원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1905865 B1 사포그릴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US 2020-0121629 A1 Composition, containing sarpogrelat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sensorineural hearing loss
3 EP 3610869 A1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미만형 위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의과학교실 허훈

연구분야

암질환, 위장관 악성종양

적용분야

항암, 항암 보조제, 위암 바이오마커, 위암진단용, 위암 치료제

기술 개요

  • 미만형 위암은 진행 및 증식속도가 빠르나 일반적인 내시경 초음파로는 진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며, 조기 발견시 높은 완치율을 보이고 있음
  • 본 기술은 위암 조직 내 암 관련 섬유모세포에서 분비 및 발현이 증가되는 TINAGL1을 바이오마커 조성물로 구성하고 있으며, TINAGL1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만형 위암 진단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

TINAGL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마커 조성물

현재 미만형위암에서 암 관련 섬유 모세포(CAF)의 양이 정상 섬유 모세포 (NAF)의 양보다 많음이 확인됨

암관련 섬유모세포에서 TINAGL1의 유전자가 급속하게 증가한 것으로 미만형 위암 환자의 진단 가능

기술 우수성

미만형 위암 진단 바이오마커 및 치료제로 활용

  • 미만형 위암 암관련섬유모세포에서의 TINAGL1의 영향

    미만형 위암의 암관련섬유모세포에서 TINAGL1 발현이 높았으며, TINAGL1은 암세포의 FAK 신호를 활성화시켜 미만형 위암의 전이 및 종양 형성을 향상시킴

  • TINAGL1 고발현에 따른 환자 예후와의 연관

    TINAGL1의 고발현은 모든 환자 및 장형 환자의 예후와는 관련성이 없었으나, 높은 기질 비율을 나타내는 미만형 위암에서 TINAGL1의 고발현이 환자의 나쁜 예후에 높은 관련성을 보임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위암은 전세계적으로 4번째로 진단되는 일반적인 암으로, 점차 위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음
  • 장자료 조사기관 Marketwatch에 의하면, 세계 위암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6년까지 8.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되며, 2022년 이후 연평균성장률 15.3%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Global Asthma Drugs Market 2022-2026

관련 기업 동향

의약품 조사기관 아이큐비아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면역항암제 시장에서 키트루다가 전체 매출 1위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남

관련 기업 동향 - 기업, 제품명, 매출액(2020년) 안내
기업 제품명 매출액(2020년)
Ipsen Pharma 소마툴린 오토젤 8억 5,560만 달러
Merck & Co, Inc. 키트루다(Keytruda) 1억 2,621만 달러
Bristol-Myers Squibb Company 옵디보(Opdivo) 119억 8,500만 달러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등록 및 미국 출원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2427871 미만형 위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diffuse type gastric cancer, and medical use thereof)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US 17/907,791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자궁경부암 환자의 항암방사선 치료 반응성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조오연

연구분야

유방암, 부인암, 육종

적용분야

자궁경부암 진단

기술 개요

본 기술은 has-miR-150-3p 및 PRDM1(PR/SET domain 1)의 mRN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RN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궁경부암 환자의 항암방사선 치료 반응성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 조성물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

자궁경부암 환자의 항암방사선 치료 반응 예측용 바이오 마커

  • 항암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 치료 전과 외부 방사선 치료 18-23Gy 시점의 mRNA(gene expression) 또는 miRNA(regulation of gene expression)를 비교하여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유전자들을 발견함

    RNA 발현량의 상대적 변화를 통해 자궁경부암 환자의 항암방사선 치료 반응 예측 가능

기술 우수성

효과적인 자궁경부암 환자의 항암방사선 치료 반응성 예측

  • 두 단계에 걸친 mRNA 및 miRNA 분석 및 선별 진행을 통한 신뢰성 제고

    자궁경부암의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인지 확인하기 위해, 방사선 치료 전/후(2주)간의 혈장 엑소좀 miRNA를 분석하여 fold change(발현량 통계 분석)를 통해 임상 변수가 나타나는 miRNA를 검출하고 이들 miRNA에 대한 메커니즘, 네트워크, IPA Database, 유전자, 함수 범주 벤다이어그램 등의 분석 및 선별 과정을 통해 자궁경부암 조기 진행 관련 miRNA의 상관관계를 규명함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과정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위암은 전세계적으로 4번째로 진단되는 일반적인 암으로, 점차 위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음
    • 바이오마커의 활용

    • 자궁경부암 진단기기 및 서비스 주요기업

  • 세계 자궁경부암 진단 시장은 2020년 72억 3,00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6.04%로 성장하여 2023년에는 86억 2,000만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Global Cervical Cancer Diagnostics Market 2020~2023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및 PCT 특허 출원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2020-0165752 A 자궁경부암 환자의 항암방사선 치료반응성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 WO WO2021/112612 A1 Biomarker composition for predicting response of cervical cancer patient to chemoradiotherapy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

조기 간암 진단을 위한 엑소좀 유래 microRNA 바이오마커 및 그 용도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학교실 조효정

연구분야

소화기, 간

적용분야

조기 간암 진단

기술 개요

본 발명은 mUICC 병기 I 이하의 조기 간암을 높은 정확도와 민감도로 진단이 가능한 microRNA 마커로, 신규한 조기 간암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임

기술 특징

조기 간암 진단 바이오 마커

  • 새로운 혈청 간암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기 위해 간암 세포가 분비하는 엑소좀 내부의 microRNA를 분석하고, 간암 엑소좀에서 특이적으로 과발현되는 microRNA를 규명하여, 현재 신뢰성을 갖는 바이오마커가 없는 조기 간암에서 진단적 정확도가 높은 새로운 혈청 바이오마커를 발굴함
  • 본 기술에 따른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키트는 비침습적 체외진단이 가능한것으로, 단순한 혈액 검사만으로도 modified International Union Against cancer UICC (mUICC) 병기 I 이하의 조기 간암의 환자를 쉽게 선별 및 진단할 수 있음
  • 아울러, 소량의 혈액만으로도 우수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어, mUICC 병기 I 이하의 조기 간암 진단에 있어 정확성〮간편성〮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함

    RNA 발현량의 상대적 변화를 통해 자궁경부암 환자의 항암방사선 치료 반응 예측 가능

기술 우수성

조기 간암 진단을 위한 혈중 마커 검증

  • 조기 간암 진단을 위한 혈중 마커로서의 miR-10b-5p 검증

    혈청 엑소좀 miR-10b-5p의 경우 간암 진단의 AUC가 0.932 이였으며, 2cm 미만의 조기 간암 진단(mUICC 병기 I)의 경우 AUC 0.934로 상당히 좋은 성적을 나타냄
    - 혈청 엑소좀 miR-10b-5p가 간암 또는 mUICC 병기 I 이하의 조기 간암 진단에 있어서 우수한 정확도 및 민감도를 갖는 바이오마커임을 확인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과정

  • microRNA 마커 조합을 통한 임상적 유의성 검증
    • mUICC 병기 I 이하의 조기 간암 진단에 있어서 miR-10b-5p, miR-215-5p, 및 AFP를 모두 마커로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정확도 및 민감도를 갖는 바이오마커임을 확인함
    • 특히 miR-10b-5p는 AFP의 진단의 정확도 및 민감도를 보완하거나 개선할 할 수 있음을 확인함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과정

시장 동향

기술적용 시장

  • 미국 비즈니스 컨설팅 기업 프로스트앤설리번(Frost&Sullivan)은 2021년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매출이 992억 2,000만 달러에서 2025년에는 1,20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매출

  • 특히, 암 진단시장은 체외진단 시장 중 가장 큰 성장이 예상되는 분잔진단 시장으로, 지난 2020년 130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9%씩 성장해 2023년 에는 약 186억 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 되고 있음

    암 체외진단 글로벌 시장 규모

특허 포트폴리오

특허 리스트

국내 특허 등록 완료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안내
No 문헌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1 KR 2241455 B1 조기 간암 진단을 위한 엑소좀 유래 microRNA 바이오마커 및 그 용도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담당자 연락처

  • 담당자 : 백승우 팀장
  • 소속 : 아주대학교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 의료기술사업팀
  • 연락처 : 031-219-4221
  • 이메일 : swbaek1@ajo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