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하드 캅셀에 적합한 필름 형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기술

  • 분야기타
  • 거래유형국내기술이전 해외기술이전 투자유치 
  • 업체-
왼쪽으로 이동
오른쪽으로 이동

기술개요

본 기술의 목적은 기존의 동물성 젤라틴 하드캅셀을 대체할 수 있는 적합한 제조 원료에 대한 연구 및 이에 사용되는 원료의 최적 함량과 제조에 대해 규명하고 이를 산업화하는 것이다. 캅셀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젤라틴은, 동물의 가죽 또는 뼈에서 얻어지는 콜라겐을 산 또는 알칼리 처리한 다음 열수 추출하여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의 일종이다. 그러나, 젤라틴은 고가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캅셀의 제조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젤라틴이 동물성 성분이라는 이유로 채식주의자 및 많은 종교주의자들이 젤라틴으로 제조된 캅셀의 사용을 회피하고 있다. 특히, 몇 년 전 광우병의 출현으로 인하여 동물성 단백질 제품의 위험성이 크게 제기되고 있어 젤라틴의 사용이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젤라틴의 단점 때문에 젤라틴을 대체할 수 있는 식물성 물질을 이용한 캅셀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드 캅셀에 적합한 식물성 캅셀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하던 중 전분, 가소제 및 겔화제의 최적 함량 및 제조 조건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기술특징

(1) 하드캅셀에 적합한 전분의 양 결정 (2) 하드캅셀에 적합한 가소제의 양 결정 (3) 하드캅셀에 적합한 겔화제의 양 결정 (4) 전분(감자, 녹두, 물밤)을 이용한 필름 및 하드캅셀의 제조 (5) 전분(감자, 녹두, 물밤)을 이용한 필름 및 하드캅셀의 물성 ① 인장강도 및 연신율 측정 ② 산소 투과율 측정 ③ 수분율 측정 (6) 기존 HPMC 하드캅셀과 전분을 이용한 하드캅셀 (7) 겔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전분 하드캅셀의 제조 ① 녹두 전분 하드캅셀 ② 물밤 전분 하드캅셀

문의처

문의처 - 회사명, 담당자,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정보 제공
회사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담당자 김대현
전화번호 043-713-8840 팩스번호 043-713-8908
이메일 technomart@khidi.or.kr

관심기술등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