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등록·검색

home >기술등록·검색>기술검색

기술검색

방광암 예후 진단 마커

  • 분야보건의료
  • 거래유형국내기술이전 해외기술이전 투자유치 
    특허지원 
  • 업체-
왼쪽으로 이동
오른쪽으로 이동

기술개요

*본 기술은 방광암 예후 진단을 위한 신규 바이오 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HOXA9, ISL1 및 ALDH1A3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의 메틸화 패턴에 따른 발현 특성을 이용하는 비근침윤성(표재성) 방광암 진단 및 방광암 예후 진단 마커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임. - 방광암은 현재 국내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비뇨기계 종양으로 방광암의 발생기전 및 진행은 여러 가지 원인 및 단계를 거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염색체나 유전자이상에 대한 연구 및 방광암의 발생 및 재발,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예후인자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방광암은 최초 진단 시 표재성암과 침윤암으로 분류할 수 있고, 약 75%의 환자에서 표재성으로 나타나며 표재성 종양은 재발이 흔하여 재발한 표재성 종양의 30% 정도에서는 이전보다 더 높은 악성도 또는 병기로의 진행을 보이며, 10% 정도에서는 근육층으로의 침범을 나타냄. - 낮은 악성도의 Ta 병변의 경우 50 ~ 70%에서 재발하고, 5% 정도에서 침윤성 방광암으로 진행하며, 높은 악성도의 T1 병기와 G3 악성도로 발견된 방광암, 다발성 상피내암, 높은 재발률, 방광내 BCG 요법 후 종양의 잔류, p53 유전자의 발현 등이 보고되어 있음. - 침윤성 방광암에서는 방광적출술이 표준적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침윤성 방광암의 근치적 수술 후 예후는 T병기, N병기, 임파절 밀도, 악성도, 종양의 크기, 개수, 형태, 임파선/혈관침범 여부 및 요로상피의 상태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근침윤성 방광암의 80 ~ 90%는 이전 표재성방광암의 과거력이 없이 나타나는 일차성 근침윤성 방광암이나, 15% 정도는 이전에 표재성 방광암에서 침윤성 방광암으로 진행한 경우에 해당함. 그리고 첫 진단 시 침윤성 방광암으로 진단된 경우와 첫 진단 시에는 표재성 방광암이었으나 재발하여 침윤성 방광암으로 진행된 경우도 있음. - 이러한 잦은 재발과 병기의 진행은 방광암에서 자주 제기되는 문제점이며 방광암의 재발 및 침윤성으로 진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의 발견이나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임. - 유전자이상에 대한 연구결과로 방광암에서 1q21-24, 3p24, 6p22, 8q21-22, 10q22-23, 12q15-21, 17q11-21,17q22 등의 유전자 증폭이 자주 발견된다는 보고도 있지만 HOXA9, ISL1 및 ALDH1A3 유전자와 방광암 예후와의 관련성에 관한 내용은 전혀 알려진 바가 없음. - 본 발명에서는 방광암 암조직에서 HOXA9, ISL1 및 ALDH1A3 유전자가 과메틸화됨을 발견하였으며, 방광암과 상기 특정 유전자들의 발현 관련성에 대해 최초로 규명하였음.

기술특징

․방광암(bladder cancer)은 비뇨기계 영역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암으로서, 서양에서는 매년 인구 10만 명당 16.5명이 발병하는데 비하여 한국에서는 4.5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이처럼 서양에 비하여는 발생률이 낮으나, 해마다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비뇨기계 암 중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암으로 알려져 있음. ․ 방광암은 침윤정도에 따라 크게 비침윤성(non-muscle invasive) 방광암과 침윤성(invasive) 방광암으로 구분됨. 비침윤성 방광암은 암이 근육층의 침범 없이 점막에 국한된 병변으로써 경요도 방광절제술(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 또는 방광내 항암제 또는 BCG를 주입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게 치료가 가능하나, 암의 재발과 침윤성 암으로의 진행이 문제가 됨. 한편, 침윤성 방광암은 암이 근육층까지 침투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의 치료를 위하여는 근치적 방광적출술과 함께 복잡한 요로전환을 수행하여야할 뿐 아니라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 따라서, 일차 치료 후 재발과 진행에 대한 예측과 조기발견 및 예방이 매우 중요함. ․ 최근에는 DNA 메틸화 측정을 통하여 암을 진단하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DNA 메틸화는 주로 특정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의 CpG 섬(CpG island)의 시토신에서 일어나고, 그로 인하여 전사 인자의 결합이 방해를 받게 되어 특정 유전자의 발현이 차단되는 것으로서, 종양 억제 유전자의 프로모터 CpG 섬의 메틸화를 검색하는 것이 암 연구에 큰 도움이 되며, 이를 메틸화 특이 PCR이나 자동 염기 분석 등의 방법으로 검사하여 암의 진단과 스크리닝 등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종양 관련 유전자의 프로모터 메틸화가 암의 중요한 지표이며, 이를 암의 진단 및 조기 진단, 발암 위험의 예측, 암의 예후 예측, 치료 후 추적 조사, 항암 요법에 대한 반응 예측 등 다방면으로 이용할 수 있음. 실제 혈액이나 객담, 침, 대변, 소변 등에서 종양 관련 유전자의 프로모터 메틸화를 조사하여 각종 암 진료에 사용하려는 시도가 최근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방광암의 진단을 위한 용도로 사용한 예가 없음.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근침윤성(표재성) 방광암 조직으로부터 마이크로 어레이 분석을 통해 방광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메틸화되는 HOXA9, ISL1 및 ALDH1A3 유전자가 과메틸화되어 있으며, 유전자 발현은 하향 조절됨을 확인함으로써 방광암을 특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진단키트를 개발하였다는 점에 특징이 있음.

문의처

문의처 - 회사명, 담당자,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정보 제공
회사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담당자 김대현
전화번호 043-713-8840 팩스번호 043-713-8908
이메일 technomart@khidi.or.kr

관심기술등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