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치료용 리포지셔닝 약물Repositioned drug for lung cancer therapy
- 본 기술은 STK11 돌연변이 폐암의 치료를 위한 항암제용 강심 배당체(Cardiac Glycosides, CG)계 약물들의 신규 제재 개발 가능성을 최초로 제시함.- Digoxin을 비롯한 CG계 약물들은 강심제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었음.- 최근 CG계 약물들의 항암 효과가 알려지면서, 다양한 항암 임상시험이 진행되었으나, CG계 약물들의 항암치료용 임상적 바이오마커의 부재로 현재 임상적 성공을 거두지 못함.- STK11 돌연변이는 폐암의 주요한 인자로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표적약물 개발이 미미함.- CG계 약물들이 STK11 돌연변이 암세포의 생장을 선택적으로 억제함을 최초로 발견함.- 또한, CG계 약물들은 기존에 FDA에 승인된 폐암(비소세포폐암: NSCLC) 치료제들보다 STK11 돌연변이형 폐암에 더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 - 현재, Digoxin을 비롯한 CG계 약물들이 STK11 정상형 대비 돌연변이형 폐암세포의 생장을 선택적으로 억제함을 확인, 동물모델에서 그 효능을 입증함.- 따라서, 강심 배당체(Cardiac Glycosides, CG)계 약물들을 STK11 돌연변이 폐암의 치료를 위한 최초의 표적약물 치료 방법으로 보고하였음.
- 높은 빈도로 확인되는 STK11-돌연변이 폐암에서 기존에 강심제의 용도로 사용되었던 Cardiac glycosides 물질을 처리함으로써 암 세포의 성장이 저해됨을 확인함.- 기존 약물(Digoxin)의 리포지셔닝 조성물로, 제품 단가가 낮고 수급이 용이함.- Cardiac glycosides 물질은 기존에 많은 독성, 안전성 및 임상 데이터가 존재하여, 비교적 신규 임상시험 진입이 용이함.- 폐암 환자에서 STK11 돌연변이 여부를 바이오마커로 활용하여 Cardiac glycosides의 임상시험을 진행하면 성공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됨.- 해외권리 확보를 통해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
관심기술등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