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전점 전기영동 및 바이오칩을 이용한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의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본 기술은 천연상태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전기영동(nativ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등전점 전기영동, 미세채널 랩온어칩 분석을 이용한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의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상기 전기영동과 랩온어칩 분석을 통해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의 조기 진단 지표로서 알려져 있는 변형된 HDL 검출을 간편하게 분석하면서도 시각화 할 수 있기 때문에 고혈압, 동맥경화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 치매 등과 같은 뇌혈관계 질환, 또는 당뇨, 비만 등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발생 위험을 예측하거나 진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질환들의 조기 진단용 키트를 개발할 수 있다.
․노화는 고밀도 지단백 (high-density lipoprotein; HDL) 구조 및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물리적, 생화학적 변형의 발발에 따른 만성적인 프로세스로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급성 상반응물질, C-반응성 단백질 (C-Reactive Protein; CRP)의 순환 증가를 수반한다. 최근, 노화에 따라 증가되는 죽상동맥경화증은 항산화 유전자의 상향 조절 실패와 관련되며, 산화적 스트레스는 노화 맥관구조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Collins et al. Cire.Res. 104, e42-e54, 2008). 그러나, 노화에 따른 HDL 및 HDL의 주요 구성성분인 아포지단백 (apoA-I)의 기능적, 구조적 특성 변화를 연구한 보고는 전무하다. 현재, 노화 관련 사용되는 바이오마커로는 텔로미어 길이에 관한 것이 알려져 있을지라도, 보편적이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며, 이는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들의 치료 및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기술은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의 조기 진단 방법의 개발을 위하여 연구노력한 결과, 등전점 전기영동 및 랩온어 칩 분석을 이용하여 변형된 HDL 검출을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고, 또한 시각화 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고,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년층으로부터 얻어진 HDL3 (E-HDL3)은 청년층으로부터 얻어진 HDL3 (Y-HDL3)와 달리, 미세유체 채널 또는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보다 빠른 전기이동도를 나타내며, 보다 높은 등전점 즉, 염기성 등전점 대략 pI 8.1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E-HDL3의 특성은 당화된 아포지단백 (glycated apoA-I; gA-I)의 특성과 유사하였다. ․본 기술은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의 조기 진단 지표로서 알려져 있는 변형된 HDL 검출을 간편하게 분석하면서도 시각화 할 수 있기 때문에 고혈압, 동맥경화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 치매 등과 같은 뇌혈관계 질환 또는 당뇨, 비만 등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발생 위험을 예측하거나 진단할 수 있어 다양한 질환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은 핵심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관심기술등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