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식품안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본 발명은 식품 조리공정의 각 관리점에 대한 작업내역 및 작업환경에 대한 데이터들이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점에 대한 관리점별 오염도값과 조리하고자하는 최종식품에 대한 최종 오염도값을 추정하는 오염도 추정부; 및 상기 관리점별 오염도값 및 상기 최종 오염도값을 상기 관리점별로 미리 설정된 허용한계기준과 비교하고, 상기 관리점별 오염도값 및 상기 최종 오염도값이 상기 허용한계기준에 미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를 구비한 위해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 본 과제에서는 서울시 음식점의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미생물검사가 상당한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서울시 소재 음식점들의 위생수준을 파악 ◦ 식중독균의 검출 시간과 비용 감소 효과 ◦ 분석시간의 단축은 식중독의 저감화, 식품위생관리 등에 기여 ◦ 식중독균이나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질병의 발병 및 확산을 예측하는데 사용 ◦ 국내 QRA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함과 동시에 국내의 미흡한 정량적 위해 평가를 음식업계에 적용함으로써 실용적인 방법론을 제시 ◦ 우리나라의 경우, 음식점 위생평가는 식품위생법에 준한 최소한의 법적규제 및 기준만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단편적인 위생점검표에 의한 사후 시정조치만이 부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실정으로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 음식점의 위생관리가 매우 중요함. 그러므로 HACCP 제도의 효과적 적용에 의한 예방적인 차원에서 본 과제의 위생관리 프로그램은 효율적인 위생관리 전산 프로그램
관심기술등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