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한 뇌손상 질환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
본 기술은 사람에서 뇌에 대한 독성 위험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작-기반 측정(mechanism-based assays)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유전체학 방법(functional genomics method)을 사용하여 뇌손상 질환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신규한 마커들을 동정함으로써 완성했다. 본 기술은 뇌손상 질환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신규한 뇌손상 질환 진단용 마커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뇌손상 질환 진단용 마커로 사용할 수 있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뇌손상 질환 진단용 조성물 및 뇌손상 질환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뇌손상 질환을 조기에 효과적으로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신규한 뇌손상 질환 진단용 마커, 뇌손상 질환 진단용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뇌손상 질환 진단용 조성물 및 상기 뇌손상 질환 진단용 마커를 이용한 뇌손상 질환의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뇌손상 질환 진단마커는 뇌손상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90개의 유전자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을 포함한다. 상기 뇌손상 질환은 MDMA(3,4-methylenedioxymethamphetamine hydrochloride)에 의해 유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커는 차세대에서 MDMA에 의해 유발되는 뇌손상 질환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90개의 유전자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뇌손상 질환의 예측 및 진단 방법은 (a) 뇌손상 질환 의심환자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하기 표에 기재된 90개의 유전자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그 발현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정상 대조군 시료로부터 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그 발현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a) 단계의 측정결과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대뇌피질 조직 또는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기술은 정상 조직 또는 세포에 비해 뇌손상 환자의 조직 또는 세포에서 발현양이 감소 또는 증가되는 유전자들을 다량으로 스크리닝하였고, 스크리닝된 유전자들을 뇌손상 질환 진단용 마커로 사용할 경우 뇌손상 질환을 조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MDMA 약물에 의해 후세대에 유발될 수 있는 뇌손상 질환을 진단 및 예측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기술에 따른 뇌질환 진단용 마커 유전자들은 뇌질환의 발병 여부를 조기에 신속하게 또한 정확하게 진단 및 예측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비용 부담을 줄이면서 동시에 생존률을 증가시키는 데 매우 유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심기술등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