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항비만용 면역원성 하이브리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백신조성물

  • 분야보건의료
  • 거래유형국내기술이전 해외기술이전 투자유치 
    특허지원 
  • 업체-
왼쪽으로 이동
오른쪽으로 이동

기술개요

기존의 비만 치료제는 어느 하나 예외 없이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다국적 제약사들이 연구 개발 중인 비만 치료제 역시 유사 메카니즘을 갖기에 부작용이 완전히 해소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Table 1). 하지만 본 기업의 비만치료제인 비만백신은 아포지단백질 B-100과 결합하는 항체를 체내에서 유도시킨다. 이렇게 유도된 항체는 간에서 생합성 되는 VLDL, IDL, LDL의 구성성분인 ApoB-100에 결합하여 VLDL과 HDL의 interaction을 저해하여 lipoprotein lipase의 기능을 차단하고, VLDL 과 LDL이 LDL-like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입체장애로 차단하며, 항체의 tagging에 의해 antibody mediated opsonization이 진행되어 대식세포에 의한 탐식을 증진시킨다그.. 위와 같은 일련의 작용으로 인해 지방이 복부 및 각 조직에의 저장을 차단하고, macrophage에 의해 탐식된 후 지방 빛 단백질이 정상 분해되어 간으로 역 수송 및 배설되는 메카니즘으로 매우 효율적으로 복부 지방조직 형성을 차단하여 비만을 억제하였다

기술특징

현재 사용 중인 비만 치료 및 예방 약물은 심각한 부작용들이 보고되어있다. 예를 들면 1940년대에 개발된 amphetamin은 중독성이, phentermine, fenfluuramine (fenfluramine은 1997년 9월 FDA 승인 취소)은 심장판막손상을 야기시켰다. 현재 널리 사용 중 인 Meridia (sibutramine hydrochloride)와 Xenical (orlistat)은 체중 감소 및 유지를 돕는 약물로 1997년 FDA의 승인을 받았지만 1998년과 2001년 사이에 Meridia의 치료를 받은 환자 중에 150명이 입원하고, 그 중 29명은 사망하였으며, Xenical을 복용한 환자군에서도 복통과 지방변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부트라민 제제 (Meridia, Reductil)의 경우 한국식약청은 1년 이상 사용할 수 없으며, 효능ㆍ효과를 비만 관리에서 보조 요법으로 제한하고, 심혈관계 질환자 투여금기 사항을 경고로 강화했다. 중추신경계 약물과 병용하는 것도 금지했다. 기존의 비만 치료제는 어느 하나 예외 없이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다국적 제약사들이 연구 개발 중인 비만 치료제 역시 유사 메카니즘을 갖기에 부작용이 완전히 해소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국내의 비만 치료제 연구동향은 한방개념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한 대체의약품으로서, 비만 조직에의 혈관생성을 억제하거나(안지오랩), 자율신경계의 자극을 통해 지방의 연소를 유도(크리스탈 지노믹스), 지방대사 촉진, IDPc 활성억제로 영양소의 저장형 지방 전환 억제(티지바이오텍, 엠바이오랩) 등의 방법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들의 원리는 기존 치료제의 한계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아류에 속한다. 그러나 본 기업의 비만치료제는 지단백질인 ApoB-100을 공략하는 항체를 유도, 지방의 체내 축적을 차단하는 항체치료제 개념의 새로운 백신 치료제로서 세계 최초의 신개념의 비만 치료제이며, 새로운 비만 치료 메카니즘으로 안전성과 효율성이 우수하며, 기존 비만 치료제와 차별화된다. 또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요요현상을 효율적으로 억제하고, 체중 조절의 필요성에 따라 투약 조절이 가능하며, 지방 대사의 전반에 걸쳐 정상성을 유지시키므로 치료제로서 뿐만 아니라 예방약으로서의 시장 개척이 가능하다.

문의처

문의처 - 회사명, 담당자,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정보 제공
회사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담당자 김대현
전화번호 043-713-8840 팩스번호 043-713-8908
이메일 technomart@khidi.or.kr

관심기술등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