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복압성 요실금의 정량적 진단장치 및 요실금 진단 센서

  • 분야의료기기
  • 거래유형국내기술이전 특허지원 
  • 업체-
왼쪽으로 이동
오른쪽으로 이동

기술개요

․요실금은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소변이 나오는 배뇨이상으로 의학적인 위험성은 없으나 여성의 사회적 활동 또는 위생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질병으로 현대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나아감에 따라 요실금 장애를 겪는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 2003년에 실시된 대한배뇨장애 및 요실금 학회의 요실금 유병률 설문조사에 따르면 30대 이상에서 여성은 41.2%, 남성은 6.4%에서 요실금이 있으며 여성의 경우 기침, 재채기 등 복압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소변이 흘러나오는 복압성 요실금의 유병률이 30대에 26.0%, 40대 41.2%, 50대에 44.9%, 60대에 46.8%, 70대에 43.0%로 많은 사람들이 요실금으로 고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여성의 요실금 유병률과 요실금이 삶에 미치는 영향 : 인구비례 표본추출법에 의한 조사) ※ 많은 사람들이 나이가 들면 당연히 생기는 것으로 알고 참고 지내거나 수치스러운 병으로 생각하여 감추려하지만 요실금은 결코 자연적인 현상이 아닌 병적 상태이며, 치료를 통해 극복 할 수 있는 범위의 질병임 ․요실금은 그 발생 원인에 따라서 복압성요실금, 절박성요실금, 복합성요실금으로 구분되어진다. 이중 전체 요실금의 80~90%를 차지하는 복압성요실금은 갑작스런 복압의 상승(기침,재체기 등)으로 방광내압이 증가하여 뇨 누출을 제어하는 요도 폐쇄압보다 커지게 될 때 뇨 누출이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고령의 여성뿐만 아니라 분만 경험이 있는 젊은 여성에게서도 나타난다. ※ 이외 방광이 너무 예민하여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방광근육이 수축하여 소변이 새는 절박성요실금은 전체의 20~30%를 차지하는데, 이는 중추신경 이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그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복압성요실금 환자 중 25%가 절박성요실금을 같이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요실금의 유병률이 가장 높은 복압성요실금의 대표적인 진단방법으로 환자가 느끼는 증상과 병력을 문진하는 병력청취, 골반저근의 처짐 정도와 신경 기능을 확인하는 신체검사, 방광과 요도의 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요역동학 검사 등이 있다. ※ 의사의 주관적인 진단에 의존하는 위의 요실금 진단 방법은 오진의 가능성이 있고(병력청취, 신체검사),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으며(신체검사, 요역동학검사), 요실금을 진단할 때 긴장 등에 의하여 잘못된 정보를 획득할 가능성이 있다. ※ 요역동학 검사는 소변이 방광에 저장되어 배뇨시 요도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까지의 방광 및 요도의 기능에 대하여 평가하는 검사로 요속측정, 요도내압측정, 방광내압측정, 요누출압 검사 등이 있다. ※ 종래 가장 각광받고 있는 객관적인 요실금 진단 방법인 요누출압(LPP) 측정 방법은 한가지의 파라메타만으로 진단하게 되어 있어 해당 파라미터는 정상이면서 다른 파라메타에 문제가 있어 약한 요실금 증상이 있는 환자를 진단하기 어렵다 ․요실금의 병적 진행 상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골반 저근의 수축압력과 근전도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골반 저근의 수축 압력과 근전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없다. ※ 요실금의 병적 진행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골반 저근의 수축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수축압을 측정한 후에 환자에 부착한 센서를 근전도 측정센서로 바꾸어 근전도를 측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압력과 근전도의 동기화된 정보를 얻을 수 없으므로 압력과 근전도로부터 요실금의 정도를 정확히 평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기술특징

․현재 요실금의 정보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요실금 진단기는 국내․외적으로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기술의 개발은 국내 기술이 국외 기술력보다 높아지게 되는 기술 역전의 기회가 되어 국내 의료기 개발 연구의 확대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정확한 생체 신호의 측정 및 생체 신호 분석 알고리즘은 의공학 분야의 원천 기술로써 각종 질변의 검출 장비 개발과 분석 및 치료기기 개발에 많은 응용과 활용이 기대되며 국내 보건의료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기술은 요실금 환자의 수치심을 최소화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요실금의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요실금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요실금 정도에 따른 적절한 치료방법의 선택과 치료정도의 정량적 평가를 보조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질병의 특성상 소비될 수 밖에 없었던 진단비용 및 보조용품 구입에 따른 환자의 경제적 낭비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 한다. 아울러,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약 160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 뿐만 아니라 21억원 이상의 수출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문의처

문의처 - 회사명, 담당자,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정보 제공
회사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담당자 김대현
전화번호 043-713-8840 팩스번호 043-713-8908
이메일 technomart@khidi.or.kr

관심기술등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