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u-Health 서비스 활성화 기반 구축(과제 전체 요약)

u-Health 서비스 활성화 기반 구축(과제 전체 요약) : 작성자, 카테고리, 작성일, 조회수, 출처 및 기타,원문보기 및 기타,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전체관리자 카테고리 정책
작성일 2011-06-30 조회수 3,074
출처 및 기타
원문보기 및 기타
첨부파일

[연구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책임자 : 이윤태]

Ⅰ. 연구개발의 목적

○ u-Health 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 표준화 연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교재 개발, 지식포탈 구축을 통해 u-Health 서비스 활성화 기반을 구축하고자 함


Ⅱ. 연구개발의 내용 및 결과

가. u-Health 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
□ u-Health 서비스 개념 설계
○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u-Health 서비스의 정의와 범위를 설계함

□ 국내외 u-Health 서비스 현황 조사
○ 국내 30개 기관의 u-Health 서비스 유형, 제공기관, 제공내용, 적용 장비, 운영실적 등의 실태를 조사?분석함
○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EU, 노르웨이를 대상으로 u-Health 정의, 주요 정책, 서비스 제공기관?인력?서비스 내용, 관련 법령 등을 조사?분석함
○ 산출물 :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분석(1건), 국외 u-Health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1건)

□ 원격의료 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 우선순위 선정
○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개발을 추진하되, 당해연도에는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당뇨병, 의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과를 중심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인프라에 해당하는 시설?인력?장비는 공통요소로서 개발을 추진함

□ 원격의료 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
○ 원격의료 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개발방법론의 표준프레임워크 기본안을 개발함
○ 원격정신건강 서비스 가이드라인(기본안)을 개발함
○ 원격당뇨관리 서비스가이드라인(기본안)을 개발함
○ 원격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통 시설?인력?장비 가이드라인(기본안)을 개발함
○ 산출물 : 원격의료 서비스 가이드라인(3건)

□ 건강관리 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
○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표준 프레임워크 기본안을 개발함
○ 건강관리서비스 시설?인력?장비 가이드라인 기본안을 개발함
○ 건강관리서비스 운동상담 및 지도 가이드라인 기본안을 개발함
○ 산출물 :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2건)

나. u-Health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교재 개발
□ u-Health 전문인력 수급현황 조사 분석
○ 309명의 조사 대상자를 상대로 u-Health 산업의 현황 및 전망, 인력수급 현황, 인적자원개발 현황, 교육과정 개발 수요, 교육과정 개설 수요에 대한 조사분석을 함
○ 조사분석 결과에서 u-Health 산업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직무라고 나타난 ‘u-Health 서비스 및 상품 기획/개발자’에 대하여 그 직무를 정의하고 분석함
○ 산출물 : u-Health 전문인력 수급현황 조사.분석(1건)

□ u-Health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
○ 수급현황 조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u-Health 입문자 중심의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필요한 7개 교육과목 교재를 텍스트, e-book, 동영상 등으로 개발함
○ 산출물 : u-Health 입문자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1건) 및 교육교재 개발(1건)

다. u-Health 지식포탈 구축
□ u-Health 지식포탈 구축
○ 참여 연구진을 대상으로 지식포탈 요구사항을 분석, 지식포탈 사이트를 구축함
uhips.or.kr 도메인 및 u-health.re.kr 도메인 확보

□ u-Health 관련 정보 제공
○ u-Health 관련 국내.외 뉴스, 연구 및 시장동향 정보 약 300건을 제공하고, u-Health 관련 연구결과물을 콘텐츠화함

□ u-Health 지식포탈 평가단 구성 및 평가지표 개발
○ u-Health 지식포탈 사이트 평가를 위한 평가단을 일반인 30명과 전문가 20명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HonCode를 바탕으로 한 평가지표를 개발함

라. u-Health 표준 개발, 보급 및 확산 방안 연구
□ u-Health 기기 및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표준 개발
○ u-Health 표준화 현황 분석 및 표준화 전략 개발
국내?외 u-Health 표준화 현황 분석
u-Health 표준화 전략 개발 및 표준화 추진계획 수립
○ 검증된 u-Health 기술의 국내 표준화
산출물 : 국내 신규 표준 개발(2건)
? u-Health 용어 표준화를 위한 용어 추출, 정제, 선정 방법 지침(TTA 2011-040)
? IEEE 11073 개인건강기기 표준 순응도 검증 지침(TTA 2011-042)
○ u-Health 표준용어 개발
u-Health 표준 용어를 개발하기 위한 용어 추출, 정제 및 선정 방법에 대한 기술문서 개발
기초적인 u-Health 표준용어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산출물 : 데이터베이스
○ 국제표준의 국내표준 부합화 추진 전략 수립
국제표준의 국내표준 부합화 추진을 위한 국제표준 조사 및 분석
국제표준의 국내표준 부합화 추진 계획 수립
산출물 : 국제표준의 국내표준 부합화(2건)
? IEEE 11073-10404 Pulse Oximeter (맥박산소측정기)
? IEEE 11073-10441 Cardiovascular fitness and activity monitor (심혈관 건강 및 활동 감시기)

□ u-Health 관련 표준 보급 및 확산 방안에 대한 연구
○ u-Health 표준의 활용에 제약이 되는 요인과 표준에 대한 인식,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분석
○ 상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공급자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구조화된 조사표를 개발하고 u-Health 표준의 활용에 제약이 되는 요인과 표준에 대한 인식,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 실시
○ 산출물 :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표준 보급에 제약이 되는 요인과 그 대처 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2건)
u-Health 표준 교육 프로그램 구성 가이드라인
u-Health 표준 확산을 위한 표준 교육 커리큘럼 구성 가이드라인
○ u-Health 표준 자문위원회 운영 및 인력양성 요구사항 조사
u-Health 표준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
표준 자문위원회에서 협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u-Health 표준화 추진 방향을 제시
u-Health 표준화 인력양성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인력양성을 위한 추진 방향을 제시
○ IEEE 11073 기반의 개인건강기기 순응도 검증 시험 방안 제시
IEEE 11073 기반 개인건강기기 표준 순응도 검증 기술문서 개발
IEEE 11073 기반 개인건강기기 표준에 대한 순응도 검증 소프트웨어 개발
? 표준 순응도 검증을 위한 기본 모델의 개발
? 프로토콜 검증용 툴(Automated Test Tool) 개발
? 유선통신을 활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발
○ 원격의료영상 시스템 표준화 기술 연구
원격의료영상 시스템 서비스 현황 분석
원격의료영상 시스템 서비스 관련 기술 국제 표준화 현황 분석


Ⅲ.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개발된 u-Health 서비스 표준프레임워크와 기본안들은 전문가와 현장의 지속적인 피드백과 보완을 통해 정립되어야 함
○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교재는 u-Health 전문인력 교육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음
○ 개발된 u-Health 지식포탈 사이트는 전문가 및 일반인의 u-Health 지식 창고로 활용할 수 있음
○ 개발된 u-Health 기기 및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표준을 활용하여 다양한 의료 솔루션 및 장비들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함으로써 개인건강기기의 보급을 확대하고 u-Health 산업을 활성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