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산업통상자원부

home 자료실 유관기관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러시아 임플란트 시장 동향

러시아 임플란트 시장 동향 : 작성자, 카테고리, 등록일, 조회수, 출처,원문링크,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록일 2021-11-18 조회수 2,266
출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원문링크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781/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82617&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

- 2019년 러시아 임플란트 수입시장 점유율 한국 1위 기록 -

- 러시아 내 노년층 인구 비율 증가로 임플란트 시장 규모 커질 것 -

 

상품명 및 HS Code

 

  o 상품명: 임플란트

 

  o HS Code: 9021.29


시장규모 및 동향

 

  o 현재 러시아에서는 2017년 발표한 '2025 국가 보건의료산업 육성 프로그램' 에 따라 러시아 자국 내에서 의료 관련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첨단 의료기기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o 하지만 아직 임플란트 등 고기술을 요하는 제품은 수입의존도가 높은 편이며, 또한 노년층 인구 증가로 인해 임플란트 시장의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모스크바 연구기관인 Abercade의 발표에 따르면, 2020년 러시아 임플란트 시장 규모는 약 1억에서 1억 3천만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했음. 또한 러시아 의료기기 관련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연평균 5%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어 관련 시장 성장 가능성이 높은 편임.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러시아 임플란트 국가별 수입동향 (HS Code 9012.29 기준)

(단위: 달러, %)


순위

국가

2017

2018

2019

점유율(%)

증감률

(%)

2017

2018

2019

1

대한민국

31,474,345

32,592,274

36,469,201

34.00

33.83

35.82

11.90

2

스웨덴

8,989,668

9,555,755

17,144,092

9.71

9.92

16.84

79.41

3

독일

27,220,579

25,795,372

15,407,580

29.40

26.78

15.14

-40.27

4

이스라엘

10,517,633

10,507,914

11,252,239

11.36

10.91

11.05

7.08

5

스위스

6,256,151

8,224,143

8,413,965

6.76

8.54

8.27

2.31

6

미국

3,479,492

5,183,695

6,400,417

3.76

5.38

6.29

23.47

7

프랑스

1,096,674

1,733,784

1,862,643

1.18

1.80

1.83

7.43

8

벨라루스

947,087

292,402

1,251,506

1.02

0.30

1.23

328.01

9

이탈리아

691,842

806,581

1,127,212

0.75

0.84

1.11

39.75

10

리히텐슈타인

985,148

931,756

1,022,157

1.06

0.97

1.00

9.70

주: 2019년도 수입액 기준 정렬, 증감률은 2019년 기준 전년 동기대비

자료: GTA (20.05.18)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o 러시아의 한국산 임플란트(HS Code: 9012.29) 수입액은 2019년 기준 약 3600만 달러로 수입국 1위를 차지하여 대러시아 최대의 수출국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증감률 또한 11%를 기록하여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음.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국가

기업명

제품이미지

가격

대한민국

Osstem

Implant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osstem.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0pixel, 세로 200pixel

약 20,000 RUB

(274 USD)

스위스

Straumann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traumann.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0pixel, 세로 500pixel

약 50,000 RUB

(685 USD)

미국

BioHorizon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biohorizons.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0pixel, 세로 363pixel

약 45,000 RUB

(616 USD)

독일

XiVE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xive.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0pixel, 세로 224pixel

약 30,000 RUB

(411 USD)

이스라엘

MIS Implants Technologie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is.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87pixel, 세로 176pixel

약 20,000 RUB

(274 USD)



유통구조


  o 러시아 임플란트의 경우 해외 브랜드들이 러시아 지사를 두고 공식 판매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별도의 딜러를 통해 유통되고 있음. 특히 제조사들의 해외 법인이 러시아에 위치함으로써 관련제품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러시아의 경우 생산기술의 이전 효과를 누릴 수 있음.


  o 특히 러시아 판매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Osstem'의 경우도 모스크바에 법인을 설립하고, 카잔, 블라디보스토크 등 다양한 지역에 지점을 두고 판매하고 있음.


  o 러시아에 법인을 두고 있지 않은 기업들은 파트너사 또는 독점 딜러들을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임플란트 및 치과의료기기를 취급하는 러시아 유통업체가 직접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관세율 및 규제, 인증 등

 

  o 임플란트 제품 (HS Code 9021.29 기준) EAEU 수입관세는 0%이며, 부가가치세는 20%임.

 

HS Code

해설

관세율

9021.29

기타 의료보조용 기기

기본세율 0%

자료: www.alta.ru/tnved/

 

  o 인증의 경우 2017년 5월부터 유라시아 경제연합 공통 규제 (EAEU)를 도입했으며, 2020년까지 기존의 러시아 의료기기 등록 시스템과 EAEU 규제가 모두 유효함.

 

  o 제품 등록은 러시아 연방보건부에서 관리하며, 서류가 많고 현지어 공증이 필요하여 1년 정도 소요됨. 러시아 정부에서는 의료기기 인허가 과정 간소화를 추진하고 있음.

 

  o 직접적으로 피부에 접촉하거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품은 지정 의료기관에서 추가로 임상시험을 진행하여 연방소비자권익보호원에서 위생증명서를 발급 받아야 함.


□ 관련 전시회




전시회명

2020 러시아 모스크바 국제 치과 포럼 및 전시회

기간/장소

20.09.21.~20.09.24. /

14, Krasnopresnenskaya nab., Moscow, Russia

홈페이지

http:// http://www.dental-expo.com/

참가업체 수

500개 업체(2019)

참관객 수

36,709(2019)

참가한 한국 업체 수

42개 업체(2019)

전시분야

치과용 의료기기, 장비, 용품, 임플란트 등


시사점

 

  o 러시아 임플란트 시장은 노령인구 비율 증가, 구강 건강에 관한 관심 증가 등으로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임.

 

  o 특히 임플란트 시장은 수입의존도가 높아 유망한 분야임. 정부에서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 중이고 관련 진출기업들에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러시아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생산 현지화 등을 검토해 볼 수 있음

 

  o 또한 많은 임플란트 진출기업 중 국내기업의 약진이 돋보이는 상태로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해 진출한다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o 러시아 치과용 제품 유통업체 Karodent의 CEO인 Mr. Armen은 러시아 내에서 한국산 임플란트 등 치과기자재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관련한 국내 기업들의 관심도 늘어나는 바 임플란트 등 관련 시장에서의 한국산 제품의 위상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이라고 언급함.